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향토밥상

먹는 보물 숨은 보약
농민신문사 · 2024년 11월 20일
0.0
10점 중 0점
(0개의 리뷰)
평가된 감성태그가
없습니다
  • 향토밥상 대표 이미지
    향토밥상 대표 이미지
  • A4
    사이즈 비교
    210x297
    향토밥상 사이즈 비교 146x217
    단위 : mm
01 / 02
무료배송 소득공제
10% 18,000 20,000
적립/혜택
1,000P

기본적립

5% 적립 1,000P

추가적립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1,000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300원
배송안내
무료배송
배송비 안내
국내도서/외국도서
도서 포함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도서+사은품 또는 도서+사은품+교보Only(교보굿즈)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교보Only(교보배송)
각각 구매하거나 함께 20,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20,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해외주문 서양도서/해외주문 일본도서(교보배송)
각각 구매하거나 함께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업체배송 상품(전집, GIFT, 음반/DVD 등)
해당 상품 상세페이지 "배송비" 참고 (업체 별/판매자 별 무료배송 기준 다름)
바로드림 오늘배송
업체에서 별도 배송하여 1Box당 배송비 2,500원 부과

1Box 기준 : 도서 10권

그 외 무료배송 기준
바로드림, eBook 상품을 주문한 경우, 플래티넘/골드/실버회원 무료배송쿠폰 이용하여 주문한 경우, 무료배송 등록 상품을 주문한 경우
주문정보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기본배송지 기준
배송일자 기준 안내
로그인 : 회원정보에 등록된 기본배송지
로그아웃 : '서울시 종로구 종로1' 주소 기준
로그인정확한 배송 안내를 받아보세요!

이달의 꽃과 함께 책을 받아보세요!

1권 구매 시 결제 단계에서 적용 가능합니다.

해외주문/바로드림/제휴사주문/업체배송건의 경우 1+1 증정상품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북카드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책 소개

이 책이 속한 분야

방방곡곡 발로 찾은 향토 별미 65선
한국인의 얼과 흥취 흐르는 건강한 순례
먹는 보물 & 숨은 보약 ‘향토밥상’과 만나다!!
농민신문 문화부 향토밥상 취재팀 기자들이 전국을 누비며 가공하지 않은 보석 같은 향토음식 65건을 발굴, 한권의 책으로 묶어 내놨다. 지역을 차별화하는 콘텐츠가 중요한 시대를 맞아 먹는 것만큼 사람에게 큰 감동을 주는 선물도 없다. 우리 향토음식을 잘 보존하고 확산시켜 간다면 지방소멸 시대에 큰 경쟁력이 될 것이라는 기획의도에 따라 지방소멸을 극복, 지역재생에 힘을 보태고자 ‘향토밥상’이라는 제목으로 연재된 기획기사(2022년 2월~2024년 10월)를 모아 ‘먹는 보물 숨은 보약 향토밥상’으로 출간한 것이다.
취재팀에 따르면 감춰진 음식을 더듬어 찾는 과정은 쉽지 않다. 그 지역의 먹거리에 대한 풍부한 상식과 끊임없는 공부를 요구한다. 가장 맛나고 효능이 좋은 시기를 아는 것도 중요하다. 더구나 자연의 순환에 따라 얻은 제철 먹거리로 만든 향토음식이야 말로 사람의 몸에 좋은 보약이 될 수 있다는 이유다. 이런 음식은 오래전부터 지역 주민의 삶에 깊숙이 스며있어 이에 다가가기 위해선 섬세한 접근이 요구되는 게 사실이다.
향토음식 취재는 취재원에게 ‘음식에 대한 첫 기억’을 묻는 것으로 시작하는데, 취재원은 한참을 생각하다 오래된 옛 기억을 꺼내 놓곤 한다는 것. 어릴 적 어머니가 해주신 음식의 손맛, 친구들과 바다로 나가 놀며 캔 조개, 술과 안주로 이웃과 허기를 달래던 이야기, 결혼 후 처음 낯선 음식을 접하며 놀란 사연, 부담 없이 몇 푼 주고 사서 먹던 삼시 세끼의 추억 등등…. 그들의 삶의 일부이자 전부이기도 한 이야기와 비법을 털어놔 의미가 크다는 설명이다.
‘K-FOOD’라는 명명과 함께 세계 곳곳으로 우리 먹거리가 수출되거나 소개되고 있지만 길거리 음식이나 가공품이 대부분을 차지해 한식의 본질적인 맛과는 거리가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는 것도 사실이다. 또 유명 한정식집이나 전문요리점 등에서 판매되는 화려하고 값비싼 음식을 한식으로 본령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우리 땅에서 나온 식재료를 활용하고 지역주민들로부터 오랜 기간 동안 사랑받고 많은 비밀과 이야기를 가진 원석(原石)과 같은 음식이야 말로 향후 진정한 K-FOOD의 보고라고도 말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평가다.
향토음식 등 우리 고유의 것을 통해 지방소멸을 막고자 지역에서 고군분투하시는 많은 분들에게 경의를 표하는 한편, 이에 관심 있는 모든 분들께 일독을 권한다. 아울러 한국인의 얼과 흥취가 흐르는 ‘향토밥상’을 찾아 떠나는 건강한 순례에 동참해보자!

작가정보

저자(글) 농민신문 문화부 향토밥상 취재팀

기획·편집 총괄
김기홍(농민신문사 편집본부 문화부장)

글쓴이
김보경, 서지민, 지유리(농민신문 기자)

사진
김병진, 이종수, 현진(농민신문 기자)
김건웅, 김도웅, 김원철, 백승철, 지영철(프리랜서)
농민신문DB, 기타

표지 사진
향토 음식의 일종인 비빔밥이 요즘은 K푸드 열풍에 힘입어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고 있다. 사진(메인)은 몇 가지 약초
를 추가해 만들어 더욱 맛깔스럽고 보약도 되는 충북 제천의
약초비빔밥, ‘약채락(藥菜樂)’. 지역의 숨은 향토 음식들이 ‘
먹는 보물’들처럼 빛날 날이 다가오고 있다.

표지 약초비빔밥 스타일링 정나래(요리연구가)

목차

  • 1장 │ 인천ㆍ경기도
    작지만 알찬 잣 넣어 고소한 맛 두 배 가평 ‘잣두부’ 14
    툭툭 끊기는 구수한 메밀면 강화 ‘칼싹두기’ 20
    쫄깃하고 고소한 맛의 신세계 동구 ‘닭알탕’ 26
    고추장 푼 국물에 참게·새우 넣어 시원 칼칼 고양 ‘미꾸라지털레기’ 32
    좁쌀로 만든 건강 죽 양주 ‘연푸국’ 38
    복 부르는 담백한 음식 이천 ‘볏섬만두’ 44
    쫄깃한 식감에 칼칼한 맛 화성 ‘맛찌개’ 48

    2장 │ 강원도
    담백한 장맛에 깔끔한 뒷맛 강릉 ‘꾹저구탕’ 56
    새콤달콤 밥도둑이 여기 있었네! 강릉 ‘명태식해’ 60
    흰쌀밥에 두툼한 살 올려 한입 강릉 ‘장치찜’ 66
    미식가 가을 먹킷리스트 채우다 양양 ‘송이밥’ 72
    기분 ‘째지게’ 맛있는 음식 양양 ‘째복물회’ 78
    입안에 녹아드는 구수한 맛의 향연 ‘정선 곤드레밥’ 84
    허기 달래 준 추억의 별미 정선 ‘메밀국죽’ 90
    한입 물면 오도독, 알싸한 맛 또 생각나네! 홍천 ‘메밀총떡·올챙이국수’ 96

    3장 │ 충청도
    쫄깃한 초록 알갱이 그득…수고로움에 찬사를 영동 ‘올뱅이국’ 104
    부드러운 모래무지에 소주 한잔 찰떡궁합 옥천 ‘마주조림’ 110
    기력 채워주고 강태공 마음 달래주네 진천 ‘붕어찜’ 116
    수라상 부럽잖은 코스 요리 충주 ‘꿩고기’ 122
    봄꽃보다 기다려지는 햇우어회 한 접시 논산 ‘웅어회’ 128
    고소함 가득해 밥이 술술 당진 ‘깻묵된장’ 134
    교황 입맛도 사로잡은 검은 김치 당진 ‘꺼먹지’ 138
    꼬들한 식감, 시원한 국물 보령 ‘세모국’ 144
    새콤한 파김치, 감칠맛 장어 살…으뜸 보양식 보령 ‘파김치붕장어찌개’ 150
    달큰한 호박을 밥에 쓱 비벼 한입 서산 ‘호박지찌개’ 156
    선지·채소 꽉 채워 속 든든 천안 ‘병천순대국’ 160
    게 내장 깊은 맛, 게살 감칠맛 폭발 태안 ‘게국지’ 166
    낙지 야들야들 국물 담백…바다가 입안에 태안 ‘박속밀국낙지탕’ 172

    4장 │ 광주ㆍ전라도
    쌈 싸먹는 튀김…자꾸만 생각나네 광주 ‘상추튀김’ 180
    해장 음식계에서 넘 볼 수 없는 명성 군산 ‘물메기탕ㆍ풀치조림’ 184
    꼬들꼬들한 식감, 결코 박대할 수 없는 맛 군산 ‘박대정식’ 190
    바위에 숨은 귀한 몸이랍니다 남원 ‘석이버섯전ㆍ백숙’ 196
    한 숟갈 뜨면 바다 향 물씬, 밥 먹는 재미 짭짤 부안 ‘곰소젓갈백반’ 202
    부드러운 조갯살 가득, 고소한 맛 풍부 부안 ‘백합죽’ 208
    진한 국물에 시래기 매력 전주 ‘오모가리탕’ 214
    탱글탱글한 속살 입안서 톡톡 고흥 ‘피굴’ 220
    대나무 순 회무침·대나무 향 밴 밥 竹이네 담양 ‘죽순회·대통밥’ 226
    밥도둑, 가을 꽃게가 돌아왔다 목포 ‘꽃게살비빔밥’ 232
    제철 맞은 멸치 한 쌈…고소한 봄을 먹다 순천 ‘정어리쌈밥’ 238
    바다 맛 품은 새조개, 시금치에 싸서 한입 여수 ‘새조개+돌산시금치 샤부샤부’ 244
    명절에나 맛보던 귀한 생선 찜하세요 영광 ‘덕자찜’ 250
    입안을 행복하게 하는 고소한 먹칠 장흥 ‘갑오징어먹찜’ 256
    뱃사람들이 자주 만들어 먹던 음식 장흥 ‘된장물회’ 262
    바다 뜸부기와 갈비탕의 조화 진도 ‘뜸북국’ 266

    5장 │ 대구ㆍ부산ㆍ경상도
    새벽 장터 사람들 속 든든하게 데워 준 음식 달성 ‘수구레국밥’ 274
    겉은 물컹, 속은 오도독…독특한 식감 매력 기장 ‘말미잘매운탕’ 280
    귀한 성게 알 듬뿍… 반가운 가을 맛 기장 ‘앙장구밥’ 284
    죽도 밥도 아닌 추억의 별식 김천 ‘갱시기’ 290
    석탄 먼지 시달린 광부의 별식 문경 ‘족살찌개’ 296
    고향의 맛 가득 봄철 건강 듬뿍 상주 ‘뽕잎한상’ 300
    반죽 얇게 더 얇게…귀한 손님 한 분이라도 더 대접 안동 ‘건진국수’ 306
    뽀얀 생선살, 얼큰한 국물 영덕 ‘물가자미찌개’ 312
    고기 귀하던 시절 묵 듬뿍, 속 든든해 만사태평 예천 ‘태평추’ 318
    다리 떨어진 부상 대게…된장·고추장에 숙성 울진 ‘게짜박이’ 324
    약수에 푹 삶아낸 몸보신 닭 요리 청송 ‘달기백숙’ 330
    회치고 부치고 끓여도…하얗게 살아 입에 감도는 봄 거제 ‘사백어’ 334
    중독성 있는 맛…가족 외식의 단골 메뉴 창원 ‘아귀불고기’ 340
    해산물이나 나물로 끓여 한입 후루룩 창원 ‘찜국’ 346
    고소하고 달달한 맛에 어느새 한 그릇 뚝딱 통영 ‘빼떼기죽’ 350
    속풀이 삼총사 쑤기미탕·졸복국·시락국 통영 ‘해장음식’ 356
    사시장철 속 달래주는 진한 국물 포항 ‘당구국’ 362
    달큼한 맛, 은은한 향 선사하는 하동 ‘은어밥’ 368

    6장 │ 제주도
    씹을수록 쌉싸래한 명품 조연 서귀포 ‘모멀조베기’ 376
    생고기는 쫀득, 막창은 야들 제주 ‘말고기회와 검은지름’ 382
    입에 짝 달라붙게 고아 국물 맛 진한 제주 ‘접짝뼈국’ 388
    음식점 주소 및 전화번호 393

출판사 서평

대한민국 구석구석 숨은 별미, ‘향토밥상’을 찾아

프랑스·중국 등 이른바 ‘음식대국’이라고 불리는 나라들에는 공통점이 있다. 국토가 넓거나 민족 구성이 다양하고, 다채로운 식재료를 활용한다는 것 등이다. 그런데 비교적 좁은 땅에 외국 문물을 적극 받아들일 기회가 적었던 대한민국은 어떨까?

도토리묵·골뱅이·깻잎·참외…, 이 음식들의 공통점은 거의 대부분 한국인들만 식용한다는 것이다. 탁자·비행기 빼고 다 먹는다는 중국에서마저 낯선 채소가 바로 깻잎이다. 일본은 멜론에 밀려 한때 사라졌던 참외가 최근 ‘차메’라는 한국 이름을 달고 팔린다고 한다. 독초로 여겨지는 고사리·두릅도 한국에서는 맛있는 제철 음식으로 대접받는다.

다들 알다시피 우리나라 국토의 70%는 산으로 이뤄졌다. 농사를 지을 수 없고 지역과 지역을 가로막는 산은 한때 국가 발전을 막는 장애물처럼 여겨졌다. 하지만 산이 만들어낸 경계선은 달리 생각하면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문화와 생활풍습을 만들어낸 요인이기도 하다. 급속한 산업화, 미디어 발달로 인한 취향의 획일화에도 향토의 맛은 여전히 자리를 지키고 있다.

농민신문 문화부 향토밥상 취재팀이 전국 각지를 돌아다니며 만났던 향토 음식들을 책으로 엮어냈다. 2022년 2월부터 2024년 10월까지 연재된 ‘향토밥상’ 기획기사 시리즈가 이 책의 토대가 됐다. 지역민들을 직접 만나고, 자연 환경과 계절뿐 아니라 지역의 독특한 환경을 반영한 신선한 음식들을 널리 알린다는 것이 취지다.

특히 조선시대 왕의 수라상이 전국 각 지역의 사정을 들여다보는 창(窓)이 됐듯, 지방소멸 시대를 극복하자는 사명으로 향토밥상 취재팀 기자들은 발로 뛰며 65가지 고향의 맛을 찾아냈다. 목차를 보면 “이런 음식이 있었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낯선 이름들이 한 가득이다. 우리가 몰랐을 뿐, 한식의 세계는 생각보다 광범위하고 다채로운 개성이 살아있다.

경기 양주 연푸국, 강원 강릉 꾹저구탕, 충남 당진 꺼먹지, 부산 기장 앙장구밥…. 이름만 들어서는 짐작도 안가는 음식들의 유래와 모양새, 맛 등이 눈앞에서 보는 것처럼 상세하게 펼쳐진다. 지역별 향토음식들은 우선 현지의 자연을 담고 있으며, 계절에 따라 가장 맛있는 시기가 있다. 아울러 각 지역의 풍속과도 깊은 연관성을 가졌다.

양반의 고장 경북 안동에서는 귀한 은어로 손님 대접에 낼 건진국시 육수를 냈다. 제주에서 혼례날 먹는 접짝뼈국은 예복을 차려입은 신부가 옷을 더럽히지 않도록 하는 배려가 숨어있다. 쌀 주산지인 경기 이천의 볏섬만두는 쌀가마니 모양으로 빚어 풍작을 기원했다. 각지의 향토음식은 단순한 먹거리에 그치는 게 아니라 삶과 문화, 공동체 등 많은 것들을 담은 존재다.

시대 변화에 따라 사라져가는 식재료를 조명하고 있는 것도 ‘향토밥상’이 가진 미덕 중 하나다. 강원 양양 특산물인 송이버섯은 올해 폭염으로 최악의 작황을 기록했다. 자생지도 날이 갈수록 줄어드는 추세다. 전북 전주 오모가리탕은 민물고기 어획량이 감소하면서 재료 수급이 어려워졌다.
기후 변화와 남획의 위험성을 새삼 깨닫는 동시에, 먹거리를 지키기 위한 전방위적 노력이 있어야 함을 ‘향토밥상’에서는 강조하고 있다. 아울러 고향의 맛을 보존하려는 농민들과 어민, 식당 사장님들의 고군분투에 응원을 보내고 싶어진다.

‘향토밥상’은 전국일주를 하듯 경기·강원·충청 등 각지의 맛을 탐험하는 즐거움을 준다. 침이 꼴깍 넘어가도록 만드는 생생한 묘사를 보면 어느새 여행을 떠나고 싶은 충동을 느끼게 된다. 미슐랭 레스토랑을 찾아가지 않아도, 비행기를 타고 외국까지 여행하지 않더라도 우리가 몰랐던 한국의 맛은 생각보다 가까이 있다. 다채로운 대한민국의 미식세계를 담아낸 ‘향토밥상’의 일독을 권한다.(정세진 맛칼럼니스트)

기본정보

상품정보 테이블로 ISBN, 발행(출시)일자 , 쪽수, 크기, 총권수을(를) 나타낸 표입니다.
ISBN 9788979471922
발행(출시)일자 2024년 11월 20일
쪽수 396쪽
크기
146 * 217 * 18 mm / 664 g
총권수 1권

Klover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문장수집 (0)

문장수집 안내
문장수집은 고객님들이 직접 선정한 책의 좋은 문장을 보여주는 교보문고의 새로운 서비스입니다. 마음을 두드린 문장들을 기록하고 좋은 글귀들은 "좋아요“ 하여 모아보세요. 도서 문장과 무관한 내용 등록 시 별도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리워드 안내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드립니다.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판매가 5,000원 미만 상품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이 책의 첫 기록을 남겨주세요.

교환/반품/품절 안내

    상품 설명에 반품/교환 관련한 안내가 있는 경우 그 내용을 우선으로 합니다. (업체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용선생 추론독해 초등 국어 3단계
    이벤트
    • [교보eBook 19주년] 미리 안내드려요! ✈
    • 2025 과학의 달 : 트렌드 사이언스
    01 / 02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