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하는 소설
도서+사은품 또는 도서+사은품+교보Only(교보굿즈)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20,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1Box 기준 : 도서 10권
로그아웃 : '서울시 종로구 종로1' 주소 기준
이달의 꽃과 함께 책을 받아보세요!
1권 구매 시 결제 단계에서 적용 가능합니다.
알림 신청하시면 원하시는 정보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이 책의 이벤트
해외주문/바로드림/제휴사주문/업체배송건의 경우 1+1 증정상품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수상내역/미디어추천
- 미디어 추천도서 > 주요일간지소개도서 > 국민일보 > 2024년 11월 3주 선정
결과적으로 무조건 남는 게 있다고 믿는 편이었다.”
윤성희ㆍ장류진ㆍ조경란ㆍ김화진ㆍ정소현ㆍ박형서ㆍ백수린이
시작을 앞둔 당신에게 건네는 응원의 메시지
우리는 살아가며 수많은 ‘시작’의 기회를 만나지만 그럴 때마다 늘 자신 있게 뛰어들기란 쉽지 않다. 무언가를 완수해야 한다는 부담감, 알 수 없는 결과와 목적지에 대한 불안감, 낯선 상황에 대한 두려움이 들기 때문이다. 이 소설집은 그러한 우려를 뛰어넘고 용기 있는 발걸음을 내디딘 인물들의 이야기를 담아냈다. 사실 시작의 허들이 그리 높지만은 않다고, 당신은 지금도 매 순간 새롭게 시작하고 있다며 응원의 메시지를 전한다.
반복되는 일상에서도 삶을 한층 더 생기 있게 만드는 일은 바로 ‘시작’이 아닐까. 소소하게 시도하는 작은 변화부터 인생의 전환점이 될 도전까지, 익숙하고 안전한 것을 뒤로 한 채 낯선 세계로 뛰어듦은 그 자체로 우리를 성장시킨다.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보다 ‘시작하는 것’이 결과적으로 무조건 남는 일이기 때문이다. 이 책은 ‘노동’을 테마로 한 『땀 흘리는 소설』, ‘미디어’를 테마로 한 『연결하는 소설』, ‘사회적 약자’를 테마로 한 『공존하는 소설』 등의 후속 도서다.
이 책의 총서 (12)
작가정보

1999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단편 소설 「레고로 만든 집」이 당선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소설집 『거기, 당신?』, 『감기』, 『날마다 만우절』, 장편 소설 『구경꾼들』, 『상냥한 사람』 등을 썼다. 현대문학상, 이수문학상, 황순원문학상, 이효석문학상,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 김승옥문학상, 동인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2018년 단편 소설 「일의 기쁨과 슬픔」으로 창비신인소설상을 받으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소설집 『일의 기쁨과 슬픔』, 『연수』, 장편 소설 『달까지 가자』 등을 썼다. 젊은작가상, 심훈문학대상 등을 수상했다.

1996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단편 소설 「불란서 안경원」이 당선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소설집 『불란서 안경원』, 『풍선을 샀어』, 『일요일의 철학』, 『언젠가 떠내려가는 집에서』, 『가정 사정』, 장편 소설 『식빵 굽는 시간』, 『복어』 등을 썼다.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 현대문학상, 동인문학상, 이상문학상, 김승옥문학상을 수상했다.

2021년 문화일보 신춘문예에 단편 소설 「나주에 대하여」가 당선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소설집 『나주에 대하여』, 『공룡의 이동 경로』, 장편 소설 『동경』 등을 썼다. 오늘의 작가상을 수상했다.

2008년 문화일보 신춘문예에 단편 소설 「양장 제본서 전기」가 당선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소설집 『너를 닮은 사람』, 『품위 있는 삶』, 중편 소설 『가해자들』 등을 썼다. 젊은작가상, 김준성문학상, 현대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2000년 『현대문학』 신인추천으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소설집 『토끼를 기르기 전에 알아두어야 할 것들』, 『자정의 픽션』, 『핸드메이드 픽션』, 『끄라비』, 『낭만주의』, 장편 소설 『새벽의 나나』, 중편 소설 『당신의 노후』 등을 썼다. 대산문학상,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 김유정문학상을 수상했다.

2011년 경향신문 신춘문예에 단편 소설 「거짓말 연습」이 당선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소설집 『참담한 빛』, 『여름의 빌라』, 『폴링 인 폴』, 장편 소설 『눈부신 안부』, 중편 소설 『친애하고, 친애하는』 등을 썼다. 젊은작가상, 문지문학상, 이해조소설문학상, 현대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목차
- 머리말 ㆍ 시작하는 마음들, 붙잡고 싶은 마음들
윤성희 ㆍ 마법사들
장류진 ㆍ 백한 번째 이력서와 첫 번째 출근길
조경란 ㆍ 봄의 피안
김화진 ㆍ 근육의 모양
정소현 ㆍ 어제의 일들
박형서 ㆍ 실뜨기놀이
백수린 ㆍ 흑설탕 캔디
책 속으로
성규는 눈을 떴다. 그리고 심호흡을 크게 하고 멀리뛰기를 했다. 아버지가 만들었던 커다란 비눗방울 속에 자신이 들어가 있는 게 느껴졌다.
--- 윤성희, 「마법사들」 중에서
나는 엘리베이터를 향해 똑바로 걸어가기 시작했다. 숄더백을 한 번 추켜올리고, 한 손에는 아이스 아메리카노를 든 채로. 새로 산 구두 굽 소리가 경쾌했다.
--- 장류진, 「백한 번째 이력서와 첫 번째 출근길」 중에서
제가 선생님 밑에서 닭 요리를 배우기 시작한 지 채 10여 년밖에 되지 않았지만 저 스스로 뭔가 할 수 있을 것 같은 느낌이 들기는 처음입니다.
--- 조경란, 「봄의 피안」 중에서
재인은 속으로 ‘해 본 것’ 리스트에서 유독 도드라진 단어들을 읊었다. … 그리고 생각했다. 그 리스트는 흉터가 아니라 근육이야.
--- 김화진, 「근육의 모양」 중에서
차마 다 기억할 수도, 돌이킬 수도 없는 그것들은 명백히 지나가 버렸고, 기세등등한 위력을 잃은 지 오래다.
--- 정소현, 「어제의 일들」 중에서
우리는 어떤 식으로든 불멸하는 꿈들이어서, 가짜로 작별했고, 가짜로 외로우며, 다만 영원히 이어지는 실뜨기놀이의 이번 차례를 마쳤을 뿐이기에 …
--- 박형서, 「실뜨기놀이」 중에서
우습게도 느닷없이 아무래도 좋다는 마음이 들었다. 예상치 못했던 일이 주는 즐거움. 계획이 어그러진 순간에만 찾아오는 특별한 기쁨.
--- 백수린, 「흑설탕 캔디」 중에서
출판사 서평
시작을 앞둔 당신에게 건네는
응원의 메시지
우리는 살아가며 수많은 ‘시작’의 기회를 만나지만 그럴 때마다 늘 자신 있게 뛰어들기란 쉽지 않다. 무언가를 완수해야 한다는 부담감, 알 수 없는 결과와 목적지에 대한 불안감, 낯선 상황에 대한 두려움이 들기 때문이다. 이 소설집은 그러한 우려를 가뿐히 뛰어넘으며 용기 있는 발걸음을 내디딘 인물들의 반짝이는 이야기를 담아냈다. 사실 시작의 허들이 그리 높지만은 않다고, 당신은 지금도 매 순간 새롭게 시작하고 있다며 응원의 메시지를 전한다.
반복되는 일상에서도 삶을 한층 더 생기 있게 만드는 일은 바로 ‘시작’이 아닐까. 소소하게 시도하는 작은 변화부터 인생의 전환점이 될 도전까지, 익숙하고 안전한 것을 뒤로 한 채 낯선 세계로 뛰어듦은 그 자체로 우리를 성장시킨다.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보다 ‘시작하는 것’이 결과적으로 무조건 남는 일이기 때문이다.
반갑게 시작하는
처음 그 순간
전부라고 생각한 것이 전부가 아니었음을 알게 되었을 때 우리의 성장은 시작된다. 윤성희의 「마법사들」은 유년기의 불안을 딛고 일어선 10대들이 나누는 천진한 대화를 통해 ‘성장’과 ‘우정의 시작’을 따뜻한 시선으로 담아낸다. 장류진의 「백한 번째 이력서와 첫 번째 출근길」은 칠전팔기 끝에 첫 정규직 직장에 합격한 인물의 기쁨을 그렸다. 당찬 발걸음을 보고 있으면 흐뭇한 미소와 더불어 출근을 시작하는 그녀를 응원하게 된다. 조경란 「봄의 피안」의 인물은 스승에게 10년간 요리를 배운 뒤 처음으로 혼자서 요리 강의를 시작한다. 열렬한 환호 속에서 첫걸음마를 뗀 아기를 응원하듯, 스스로 뭔가를 할 수 있겠다고 깨달은 그를 응원하게 된다.
어제와 작별하고
오늘을 시작할 용기
시작을 주저하게 만드는 것은 깊숙이 들러붙은 좌절의 경험이 아닐까. 김화진의 「근육의 모양」 속 인물은 아쉬웠던 경험조차 ‘지우고 싶은 기억’ 혹은 ‘실패’라고 말하지 않고 ‘해 본 것’이라고 이름 붙인다. 지나간 것들을 수용하고 삶을 주체적으로 살아가겠다는 의지인 것이다. 정소현의 「어제의 일들」 역시 되돌릴 수 없는 시간과 작별하고 새로운 현재를 맞이하는 인물의 모습을 비춘다. 잔인한 학교폭력으로부터 비롯된 신체적 한계 속에서도 그 누구보다 스스로를 존중하며 삶을 개척해 나가려는 강인함을 드러낸다. 철저하게 현실적이면서도 신비감을 자아내는 박형서의 「실뜨기놀이」는 한낮의 꿈같은 여느 가족의 체험기를 들려준다. 인생에서 가장 중대한 시작과 끝은 역시 태어남과 죽음이듯, 환생이라는 소재로 벌어지는 일생일대의 사건과 생생한 공간 이동을 따라가다 보면 특유의 묘한 분위기에 사로잡히게 된다. 삶의 끝을 앞둔 노년에도 사랑을 시작할 수 있을까? ‘프랑스’, ‘피아노’ 그리고 ‘사탕’. 부드럽고 달콤한 향기가 나는 단어들이 한데 모여 감미로운 이야기를 완성한다. 백수린의 「흑설탕 캔디」는 70대 할머니가 지나온 세월을 조심스럽게 보듬어 나가며 만난 사랑의 순간을 그려 냈다.
기본정보
ISBN | 9791165702816 | ||
---|---|---|---|
발행(출시)일자 | 2024년 11월 08일 | ||
쪽수 | 240쪽 | ||
크기 |
148 * 211
* 20
mm
/ 517 g
|
||
총권수 | 1권 | ||
시리즈명 |
창비교육 테마소설 시리즈
|
Klover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문장수집 (0)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판매가 5,000원 미만 상품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