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POD

중국의 북한 관리 책략

중국은 동맹국 북한을 어떻게 조정, 관리하는가?
박인규 저자(글)
퍼플 · 2024년 10월 10일
0.0
10점 중 0점
(0개의 리뷰)
평가된 감성태그가
없습니다

제작사양

제작사양 테이블로 표지, 본문, 제본을(를) 나타낸 표입니다.
표지 본문 제본
컬러 흑백 무선
  • 중국의 북한 관리 책략 대표 이미지
    중국의 북한 관리 책략 대표 이미지
무료배송 소득공제
18,500
적립/혜택
550P

기본적립

3% 적립 550P

추가적립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550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300원
배송안내
무료배송
배송비 안내
국내도서/외국도서
도서 포함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도서+사은품 또는 도서+사은품+교보Only(교보굿즈)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교보Only(교보배송)
각각 구매하거나 함께 20,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20,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해외주문 서양도서/해외주문 일본도서(교보배송)
각각 구매하거나 함께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업체배송 상품(전집, GIFT, 음반/DVD 등)
해당 상품 상세페이지 "배송비" 참고 (업체 별/판매자 별 무료배송 기준 다름)
바로드림 오늘배송
업체에서 별도 배송하여 1Box당 배송비 2,500원 부과

1Box 기준 : 도서 10권

그 외 무료배송 기준
바로드림, eBook 상품을 주문한 경우, 플래티넘/골드/실버회원 무료배송쿠폰 이용하여 주문한 경우, 무료배송 등록 상품을 주문한 경우
4/25(금) 출고예정
POD 배송일정 안내
예상 출고일은 주문상품의 결제(입금)가 확인되는 날 기준으로 상품을 제작하여 상품 포장 후 교보문고 물류센터에서 택배사로 전달하게 되는 예상 일자 입니다.
연휴 및 토,일,공휴일을 제외한 근무일 기준이며 날씨나 택배사의 사정에 따라 배송이 지연 될 수 있습니다.
POD도서 제작기간 유의사항
  • POD(Publish On Demand) 도서는 주문이 발생하면, 상품을 제작하여 보내드리므로 도서 예상출고일은 평일 기준, 최소 3일에서 최대 5일 정도 소요됩니다.
  • 양장(하드커버) 도서의 경우 아래와 같이 절차가 추가로 소요되기에 표기되는 예상출고일보다 2-3일 정도 기간이 더 소요될 수 있습니다.
  1. 파일검수 및 파일작업 (1일소요)
  2. 인쇄출력작업 (1일소요)
  3. 표지출력코팅 및 싸바리작업 (1일소요)
  4. 내지제본 및 성책작업 (1일소요)
  5. 건조 후 배송
기본배송지 기준
배송일자 기준 안내
로그인 : 회원정보에 등록된 기본배송지
로그아웃 : '서울시 종로구 종로1' 주소 기준

주문일로부터 영업일 기준 평균 4일 이후 발송

(토요일) 예상 출고일이 토요일일 경우, 익 영업일에 출고될 수 있습니다.

(양장도서) 주문일로부터 영업일 기준 7일 내 출고됩니다.

로그인정확한 배송 안내를 받아보세요!

알림 신청하시면 원하시는 정보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알립니다.

  • 본 상품은 주문 후 제작되는 맞춤도서입니다.
    주문기간에 따라 도서 출고일은 영업일 기준 최소 3일에서 최대 8일이 소요됩니다.

알립니다.

취소/반품에 대한 안내

POD도서는 고객 주문 후 제작되는 도서로, 단순변심 및 착오로 인한 취소, 반품이 절대 불가하니 이점 반드시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책 소개

  • POD도서는 도서를 전자파일로 보유하고, 주문 시 책의 형태로 인쇄/제본되는 도서입니다. 디지털 데이터로 제작하므로, 출판사에서 제작한 일반도서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전자 파일은 별도로 제공되지 않습니다.)
  • POD도서는 주문 후 제작이 진행되므로, 실제 배송까지는 시일이 소요됨을 양해 부탁드립니다.
  • POD도서는 판매자가 지정한 형태로 판형과 제본, 칼라와 흑백 등의 인쇄가 이루어집니다.
  • POD도서의 판매 가격은 제작단가의 조정에 의해 변동될 수 있습니다.
  • POD도서는 별도의 부록이 제공되지 않습니다.

이 책이 속한 분야

본 서는 중국과 북한 양국이 1961년 체결한 중-북 동맹 조약 체제를 어떻게 관리, 운용해 오고 있으며, 특히 강대 동맹국으로서 중국이 그동안 북한과 지속적인 '갈등과 냉각 관계 유지에도 불구하고 동맹을 계속 유지해 오고 있는
실익은 무엇인지, 그리고 특히 제1세대 지도부인 마오저뚱 시기 이래 현 제5세대 지도자 시진핑 집권에 이르기까지 중국이 동맹국인 북한을 어떻게 전략적으로 관리하고 조정해 왔는지를 국제정치학적 '동맹 이론'의 관점에서 분석
하였다. 우선 양국이 체결한 ‘중-북 동맹조약’의 내용과 그 실효성 여부를 살펴보는 한편, 중-북 양국이 동맹 관계를 유지하면서도 상호 갈등과 협력을 상시적으로 반복해 온 이유와, 또한 중국 최고지도부의 대북 인식과 가치관 변화
로 인한 ‘국가 정체성’ 변화에 따라 중국의 대북 전략과 책략도 상이하게 조정되고 관리되어 온 메카니즘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서는 총 7개의 장으로 구성되었다. 먼저 제1장에서는 ‘북한은 중국의 진정한 동맹인가?’ 라는 질문과 함께 서론 부분으로서 본 서의 연구 목표와 기존의 선행 연구들을 조사, 검토하고, 이어 분석 방법과 분석 체계 등
에 관해 기술했다. 제2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제시해 주는 국제정치학의 주요 이론들을 살펴보았다. 먼저 중국과 북한 간의 국제정치 현상을 설명하는 비대칭 동맹이론과 동맹안보딜레마, 그리고 구성주의 시각에서
국가의 정체성 관련 이론들을 설명했다. 제3장에서는 중국과 북한이 정권 수립 이래 체결한 중-북 동맹의 구체적 내용과 국제정치적 의미, 그리고 중국의 국가 정체성 변화에 따른 중-북 관계의 전략적 메커니즘을 역사적으로
고찰해 보았다. 제4장에서는 중화인민공화국이 건국될 당시부터 제4세대 후진타오 지도부가 집권한 시기까지의 중국의 대북 동맹 유지 전략을 설명했다. 특히 제1-4세대 지도부를 중국의 국가 정체성에 따라 나누어, 사회주의
국가 정체성이 지배적이었던 제1세대 마오저뚱(毛澤東)시기, 이후 개발 도상국 정체성이 강했던 제2,3 세대인 덩샤오핑(鄧小平) 및 쟝저민(江澤民)시기, 그리고 2000년대 이후 개발도상국에 강대국 정체성이 가미된 제 4세대 후진타오(胡錦濤)시기로 나누어 각 시기의 대북 전략 메커니즘을 탐색해 보았다. 이어 제5장과 제6장에서는 2012년에 집권한 제5세대 지도부인 시진핑(習近平)시기의 중국의 대북전략 메커니즘을 시기별로 세분화하여 중점적으로 분석했다. 제5장에서는 시진핑 집권 제1시기를 관계조정기와 갈등심화기로 나누어 분석했고, 제6장에서는 시진핑 집권 제2시기로서 동맹회복기와 상호연대기로 나누어 분석했다. 마지막 제7장에서는 중국의 대북 전략 관리과정에서 나타난 정책적 시사점과 미래의 중-북 관계 전망에 관해 조망하고, 이러한 현재의 중-북 관계 상황에서 우리의 전략적 고려사항 등도 고찰해 보았다.

작가정보

저자(글) 박인규

저자는 서울대학교 인문대학과 서울대 행정대학원(정책학 석사), 그리고 미 Harvard 대학 정치행정대학원(Harvard Kennedy School, 행정학 석사)을 졸업한 후 고려대 행정대학원에서 정책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2023-24년에는
이화여대 정치외교학과 초빙교수를 역임하였으며, 현재는 경희사이버대 문화창조대학원에서 외래교수로 재직 중이다.
1986년 외무고등고시(제20회)에 합격하여 외교부 근무를 시작한 이래 주로 중국 및 북한 업무를 다루어 왔으며, 본부에서는 대북정책협력과장, 동아시아통상과장, 국무총리비서실 의전참사관을 거쳐 이후 대통령직속 국가브랜드위원회 대외협력국장, 동북아역사재단 정책기획실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2014~15년에는 미 Harvard 대학 정치행정대학원(Kennedy School Ash Cente)에 방문학자(visiting Scholar)로 파견, 근무했다.
해외주재 공관으로는 주중국대사관과 주폴란드대사관 등에서 서기관, 영사, 참사관 및 공사참사관으로 근무하였으며, 이후 주사우디아라비아대사관 공사 겸 총영사, 주캐나다대사관 공사 겸 총영사, 그리고 주벨기에대사관 겸 유럽연합(EU) 대표부에서 차석대표(사)로 근무했다. 주요 연구 실적으로는 『한국의 대중국 외교정책 결정 과정에 관한 연구』(1990), 『Can Kim Jung-un’s regime remain stable? 』(2015);『인민일보 보도 분석을 통한 중국의 대북정책 변인에 관한 연구』(2023)외 다수 논문이 있으며, 개인 저서로는 『글로벌 시대를 비상하는 중국』(중국의 정치경제학)과 『내가 본 유럽-유럽연합』(유럽의 정치경제학)이 있다.

목차

  • 제 1 장 북한은 중국의 진정한 동맹인가? 9
    제1절 중-북 간 새로운 연대 구축 9
    제2절 중-북 관계의 기존 연구들 18
    제3절 연구의 분석 체계 31
    제 2 장 동맹 이론과 구성주의 시각에 대한 이론적 고찰 38
    제1절 동맹 이론에 관한 고찰 38
    1. 동맹의 기원 및 정의 38
    2. 동맹과 관련한 주요 이론들 42
    3. 동맹의 지속 및 변화 요인 49
    4. 안보-자율성 교환 동맹과 동맹안보딜레마 54
    제2절 구성주의 시각과 국가 정체성 이론 65
    1. 구성주의 시각과 국가 정체성 65
    2. 국가의 정체성과 국가 이익 70
    제 3 장 『중-북 동맹조약』과 비대칭 동맹안보딜레마의 내용은? 74
    제1절 중국의 국가 정체성 변화 양태 74
    1. 사회주의국가 정체성 75
    2. 개발도상국 정체성 78
    3. 이중적(개발도상국 + 강대국) 정체성 81
    4. 글로벌 강대국 정체성 86
    제2절 『중-북 동맹조약』의 체결 배경 및 내용 90
    1. 『중-북 동맹조약』체결 배경 90
    2. 『중-북 동맹조약』구체 내용 95
    3. 『중-북 동맹조약』의 국제정치적 의미 101
    제3절 중-북 비대칭동맹과 동맹안보딜레마 105
    1 . 중-북 양국의 동맹안보딜레마 105
    2. 중국과 북한의 전략적 관리 조정 기제 112
    가. 중국의 대북한 관리 기제 112
    나. 북한의 대중국 자율성 기제 118
    제 4 장 중국은 북한을 어떻게 조정, 관리해 왔는가? 132
    제1절 마오저뚱(1949-76) 시기 124
    1. 사회주의국가 정체성 124
    2. 전통적 사회주의 동맹 강화 126
    제2절 덩샤오핑(78-92) 및 쟝저민(93-02) 시기 139
    1. 개발도상국 정체성 139
    2. 북한의 개혁 개방 설득, 유도(78-92) 140
    3. 갈등과 협력 관계의 반복(93-02) 146
    제3절 후진타오(03-12) 시기 164
    1. 이중적(개도국+강대국) 정체성 164
    2. 정상적인 국가 관계로의 지향 167
    제 5 장 시진핑 제1시기의 대북 동맹관리 전략은? 183
    제1절 이중적(개도국+강대국) 정체성 186
    제2절 관계 조정기(2012-2013) 194
    1. 신형대국관계와 동맹안보딜레마 195
    2. 대북전략 조정 기제(냉각관계 진입) 209
    제3절 갈등 심화기(2014-2017) 212
    1. 북한 핵문제와 동맹안보딜레마 212
    2. 대북전략 조정 기제(갈등 심화) 238
    제 6 장 시진핑 제2시기의 대북 동맹관리 전략은? 241
    제1절 ‘글로벌 강대국’정체성 241
    제2절 동맹 회복기(2018-2019) 248
    1. 동맹관계 회복 및 전략적 결속 249
    2. 대북전략 조정 기제(동맹결속력 회복) 264
    제3절 연대 강화기(2019.8-2022) 266
    1. 동맹안보딜레마 해소 및 사회주의 연대 266
    2. 대북전략 조정 기제(이념적 연대) 272
    제 7 장 중-북 관계의 정책적 시사점과 향후 전망은? 275
    제1절 정책적 시사점 275
    제2절 시진핑 제3기의 중-북 관계 전망 284
    제3절 한국의 정책적 고려사항 289
    참고문헌 295

기본정보

상품정보 테이블로 ISBN, 발행(출시)일자 , 쪽수, 크기을(를) 나타낸 표입니다.
ISBN 9788924136524
발행(출시)일자 2024년 10월 10일
쪽수 309쪽
크기
152 * 225 mm

Klover 리뷰 (0)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Klover리뷰를 작성해 보세요.

문장수집 (0)

문장수집 안내
문장수집은 고객님들이 직접 선정한 책의 좋은 문장을 보여주는 교보문고의 새로운 서비스입니다. 마음을 두드린 문장들을 기록하고 좋은 글귀들은 "좋아요“ 하여 모아보세요. 도서 문장과 무관한 내용 등록 시 별도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리워드 안내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드립니다.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판매가 5,000원 미만 상품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이 책의 첫 기록을 남겨주세요.

기분 좋은 발견

이 분야의 신간

용선생 추론독해 초등 국어 3단계
이벤트
  • 사카모토 데이즈 20권
  • 팬텀 버스터즈 출간 기념!
01 / 02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