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의 소문 속에 살았다
없습니다
도서+사은품 또는 도서+사은품+교보Only(교보굿즈)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20,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1Box 기준 : 도서 10권
로그아웃 : '서울시 종로구 종로1' 주소 기준
이달의 꽃과 함께 책을 받아보세요!
1권 구매 시 결제 단계에서 적용 가능합니다.
알림 신청하시면 원하시는 정보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해외주문/바로드림/제휴사주문/업체배송건의 경우 1+1 증정상품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책 소개
이 책이 속한 분야
수상내역/미디어추천
이 국가의 패배는 ‘나라’를 짓밟을 것이다.
그때 나의 ‘나라’와 함께 패배하는 쪽에 서 있고 싶다.”
패배한 나라의 여든 살 사상가는 무엇을 기억하는가? 필패를 직감하고도 태평양전쟁에 참전했던 청년은 귀국 후 일본을 대표하는 사상가가 되었다. 전후 평화운동의 중심에서 맹활약하던 이 사상가는 수십 년이 흘러 어느덧 초로의 나이에 접어들어 인생을 회고한다. 그의 회고록은 이렇게 시작한다. “여든 살이 되었다. 어린 시절 길에서 보던 느린 걸음의 노인들이 떠오른다. (…) 그들이 페리 제독의 흑선을 처음 보았을 때 얼마나 놀랐을지.” 페리 원정으로부터 시작된 일본의 개항, 그리고 그 후 세계사 속에서 일본이 걸어온 길은 러일전쟁, 중일전쟁 그리고 종국엔 태평양전쟁으로까지 치달았다. 그리고 거기에 “팔십오 년을 전쟁의 소문 속에 살았다”는 쓰루미 슌스케의 삶도 있었다. 사상가로, 혹은 참전인으로, 그리고 때로는 그저 한 노인으로 여든 살부터 여든여섯 살까지 7년 동안 그가 이어온 이야기 속에는 ‘패전국’의 지식인으로서 그거 한평생 품어온 고민과 모순이 녹아 있다.
열아홉, 패배하는 쪽에 서기로 선택하다
작가정보
鶴見俊輔
일본을 대표하는 사상가 겸 철학자. 1922년 도쿄 아자부구 산겐야정(현 미나토구 모토아자부)에서 태어났다. 아버지와 외할아버지 모두 정치 이력을 가진 유력한 가정에서 자랐으나 반항적인 청소년기를 보내다 1937년 다니던 중학교를 중퇴 후 미국으로 건너가 하버드대학 철학과에 입학했다. 1941년 태평양전쟁 발발 후 일본으로 돌아와 자카르타 해군 무관부 군속으로 전쟁을 경험했다. 패전 직후 마루야마 마사오 등 전쟁에 반대하는 지식인들과 함께 1946년 『사상의 과학思想の科學』을 창간하며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평화운동에 지속적으로 힘을 쏟았으며 반전시민운동인 ‘소리 없는 소리의 모임’, 평화헌법 9조를 지키기 위한 ‘9조 모임’ 등에 주도적으로 참여했고, 베트남 전쟁이 발발하자 반전운동 ‘베트남에 평화를! 시민연합’을 이끌며 미국과 대립하기도 했다. 이외에도 2015년 타계할 때까지 70여 년간 다양한 분야를 횡단하며 수많은 연구와 매체, 사회운동을 이끌었다. 학술적으로는 ‘전향’을 20세기 전반기 일본의 사상 체계를 집약적으로 드러내는 엘리트들의 집단적 체험으로 새로이 규정한 것으로 유명하다. 주요 저서로 『전향』 『전후 일본의 대중문화』 『전후 일본의 사상前後日本の思想』(공저) 등이 있다.
홋카이도대학 대학원 미디어커뮤니케이션연구원 교수. 전문 분야는 미디어문화연구, 음악사회학, 한일관계사. 1976년 서울에서 태어나 서울대 언론정보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도쿄대 대학원 학제정보학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저서로 『日韓ポピュラ-音樂史: 歌謡曲からK-POPの時代まで』『Postwar South Korea and Japanese Popular Culture』『케이팝의 작은 역사』 『K-POP 新感覺のメディア』『일본을 금하다: 금제와 욕망의 한국 대중문화사 1945-2004』 『戰後韓國と日本文化: 「倭色」禁止から「韓流」まで』 등이 있다.
목차
- 1 스크랩북
기억 속의 노인들 / 학교라는 계단 / 상황에서 배우다 / 전쟁의 버팀목 / 미스 마플의 추리법 / 중도하차 / 사자병풍 / 선집의 편집자 / 영화의 수명 / 내게 와닿는 목소리 / 미니 신문 / 모아둔 것의 행방
2 희미한 기억들
사신과의 경주 / 통하는 것과 통하지 않는 것 / 넘쳐흐르는 것 / 핀으로 고정하기 / 갈림길에서 / 올 타임 베스트 / 변하지 않는 척도 / ‘천천히’부터 시작하기 / 정치사의 맥락 / 넘침에 관하여 / 무소처럼 걸어라 / 에드거 앨런 포의 되감기
3 나만의 색인
기억의 재편집 / 별명으로 시작하기 / 조사 / 보이지 않는 노력 / 별명 / 반동의 사상 / 조상 찾기 / 서서히 친해지는 친구 / 여름방학이 끝나고 / 망각록 / 내부에 살고 있는 외부 / 슬픈 결말
4 쓰지 않은 말
언어의 사용법 / 인간의 언어를 뛰어넘는 꿈 / 자랑스럽다는 말 / 김학영의 “얼어붙는 입”과 일본 / 꿈에서 만나는 일본어 / 말 뒤에 있는 말 / ‘만약’이 금지될 때 / 나도 모르는 내 안의 언어 / 번역의 틈새 / 말에 묻어나는 통찰력 / 이순 / 부재한 채 전해지는 언어
5 그때
그가 한 발을 내디뎠다 / 두 개의 사건 / 크게 파악하는 힘 / 1904년의 반전론 / 제일 처음 한 방울 잡담의 역할 / 내면의 소극장 / 써내지 못한 문제 / 일본 교육사 외전 / 미국과의 단절 / 보이지 않는 수집품 / 자신을 지키는 길
6 전쟁의 나날
소문 속에서 자라다 / 부분 점수 / 기억 속에서 커가는 존재 / 나는 왜 교환선에 탔는가 / 내가 바라는 것 / 탈주의 꿈 / 전기를 읽다 / 투란도트 공주 / ‘대동아전쟁’은 어디에 있었나 / 역사의 그림자 / 서로 / 나의 독일어
7 미국, 그 안과 밖
폭풍우의 밤 / 화성으로부터의 침공 / 미국인 가족 / 미일전쟁 / 체험을 통해 다시 읽기 / 바위 위의 헌법 / 공자가 말하길 / 멕시코에서 미국을 바라보다 / 고대 왕국 / 대화를 나누는 장소 / 국가군으로 이루어진 세계에서 / 농락당한 사람 / 다 쓰지 못한 말 _277
후기
옮긴이의 말
책 속으로
나는 그 전쟁에서 일본이 미국에 질 것을 알고 있었다. 일본이 정당하다고 생각한 것도 아니었다. 다만 질 때는 지는 쪽에 서야 할 것 같았다. 만약 이기는 쪽에 남아 수용소에서 먹을 것 걱정 없이 지내다가 미일전쟁의 끝을 맞이하게 된다면 그 이후로 내가 살아가야 할 길이 보이지 않을 듯했다. 그건 그냥 흐릿한 느낌이었다. 그러나 육십이 년이 지난 지금 돌아봐도 후회하지 않는다. 희미하지만 그 자체로 흔들림 없는 사상이라는 것도 존재한다고 나는 믿는다. _「사신과의 경주」
나는 눈을 뜰 때 여러 층의 의식이 기억에 남아 있는 사이에 그 흔적을 글로 옮긴다. 무의미할 때도 많지만 가끔 괜찮은 생각과 만나기도 한다. 인간은 있어도 되지만 없어도 된다는 감촉도 그중 하나다. 거기서 한 단계 더 깨어나면서 인간은 있어도 되지만 만약 있다면 이유를 달아 서로 죽이지 않아야 한다는 생각으로 진입한다. 그리고 그 생각은 절대로 움직이지 않는다. _「에드거 앨런 포의 되감기」
팔십 대에 접어든 후로는 세상을 뜬 사람과 살아 있는 사람 사이의 구별이 옅어졌다. 칠팔십 년을 만난 사람은 그 자체로 매우 강한 존재감을 가지고 내 안에 살아 있다. 마루야마 마사오는 육십 년도 더 이전인 전쟁 중에 논문을 통해 알게 되어 실제로 육십이 년을 만난 사람이다. 그의 죽음은 만남의 끝이 아니다. _「잡담의 역할」
이치노미야 사부로는 전쟁에서 죽었다. 나가이 미치오도 죽었다. 그때 이치노미야 집에는 왜 그렇게 자주 놀러 갔더라? 두 살 많은 누나가 예뻤잖아. 내가 대답하자 나가이가 맞장구를 쳤다. 나도 그랬어. 죽기 전에 많은 이야기를 나누지 못했지만 두 사람이 육십 년 동안이나 같은 마음을 숨기고 있었다는 것을 그때서야 알았다. _「중도하차」
내 기억에서 사람들의 이름이 사라져간다. 지명은 훨씬 더 빠르다. ‘있을’ 뿐인 망망대해를 향해 나아가는 기분이다. ‘있다’의 저편에 ‘없다’가 있을 것이라는 이 상상력도 곧 사라지고 나면 나는 ‘그저 있을 뿐인 상태’가 되어 사라질 것이다. 그때까지 내 기억 속 색인을 계속 편집해나가려고 한다. _「기억의 재편집」
‘망각록’이란 걸 쓰기 시작했다. 인용도 없이 내가 썼든 남이 썼든 상관 않고 우선 눈에 보이는 것은 모두 적어둔다. 건망증을 자각하게 된 후부터 시작한 일인데 벌써 열두 해가 지났다. 그렇게 적어놓고 나중에 다시 읽으면서 직접 각주를 단다. _「망각록」
출판사 서평
열아홉 살, 쓰루미 슌스케는 미국의 전쟁포로 수용소에 있었다. 미국은 “일본으로 돌아가는 교환선에 타겠느냐”고 물었고 그는 “타겠다”고 했다. 쓰루미 슌스케의 전 일생의 기로를 가른 결정이다. 그는 일본이 반드시 질 것이라고 예상했고, 일본의 전쟁은 정당하지 않다고 보았다. 하지만 그럼에도 그 자신은 “패배하는 쪽에 서 있고 싶다”고 생각했다. 자신이 전쟁을 일으킨 ‘정부’에 반대하는 것과 별개로 일본은 자신의 뿌리이며, 그곳의 가족, 친구가 곧 자신의 ‘나라’이기 때문에 이 ‘나라’가 패배할 때 함께 패배하는 쪽에 서 있고 싶었다는 것이다. 이는 그의 ‘나라’, 곧 가족과 친구가 실제 전쟁으로 다치고 죽을 동안 미국 수용소 한편에서 편안히 지낼 수 없다는 결의이기도 했다.
쓰루미 슌스케는 자신이 이 결정을 끝까지 후회하지 않았다고 적었다. 그러나 그는 이 결정으로 인해 민간인 신분으로나마 전쟁에 참여하게 됐다. 그는 일본 점령지에서 해군 군속으로 매일 간부를 위한 신문을 만들었고, 그 신문은 어떤 식으로든 일본군에 기여했을 것이다. 패전 후 그가 펼친 평화·반전 운동과는 관계없이 이 또한 사실이다. 그는 자신이 말한 ‘나라’, 즉 가족과 친구와 함께 사선에 서며 그들을 배반하지는 않았을지는 모른다. 그러나 그는 이 때문에 자신이 반대하는 ‘국가’로부터 벗어나지도 못했다. ‘나라’의 편에 서는 동시에 ‘국가’의 죄에 일부 동참한 그의 선택은 이 에세이 내내 반추되며 집단의 죄와 개인의 윤리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미국과 일본, 그 안과 밖
쓰루미 슌스케는 일본에서 ‘불량소년’으로 지내다 중학교를 중퇴 후 열다섯 살부터 열아홉 살까지 미국에서 유학했다. 자연스럽게 그의 학문적 정체성도 미국의 것과 가깝게 형성됐다. 그는 실제로 이 책에서 “여든다섯 살이 된 지금도 내 철학의 고향은 미국이다”라고 고백하기도 한다. 그러나 그는 또한 누구보다도 전후 일본에서 미국을 ‘지식의 종가’로 삼고 흉내 내는 데 비판적인 사람이었다. 이 에세이 곳곳에서 그는 정답을 정해놓는 일본의 학교 시스템과 미국을 비롯한 서구를 스승으로 좇는 일본 학계를 지탄하며 고정된 의미에서 ‘넘쳐흐르는 것’ ‘모호한 표현의 효과’ 등에 집중한다. 그런 것으로부터 사고가 넓어지고 탄력이 생겨난다는 것이다. 쓰루미 슌스케는 그러한 확장된 사고를 한 인물로 ‘존 만지로’ 등 러일전쟁 이전의 일본인이나 ‘크로버’ 일가, ‘헨리 데이비드 소로’ 등 미국 문명 밖에서 새로운 탐구를 한 인물, 그리고 ‘가네코 후미코’ ‘김학영’ 등 일본 내부의 이방인을 소개한다.
미국에서도 ‘하버드대학의 유일한 일본인 학부생’으로서 내내 외부인이었고, 일본에서도 학계에 종속되지 않고 일찍이 경계에 서서 ‘학제적’ 방법론으로 연구 활동을 했던 쓰루미 슌스케의 독특한 시각을 이러한 대목들에서 읽을 수 있다. 그러나 미국과 일본을 대립시키며 미국을 극복하는 데 역점을 두는 그의 시각에서 일본은 때때로 ‘미국에 패배한 나라’ ‘강대국에 점령된 나라’로서만 드러나곤 한다. 그 사이에서 진정으로 피해를 입었던 한국 등은 아주 잠깐씩 ‘그 바깥’으로서만 언급될 뿐이다. 이는 앞서 말했듯 “패배하는 쪽에 서 있고 싶다”고 고백하며 자신의 나라를 ‘패배한 나라’로 규정한 쓰루미 슌스케가 끝까지 스스로 안고 있던 모순이다.
여든, 망각하는 자의 사상
여든 살부터 여든여섯 살까지 연재한 이 에세이에서 쓰루미 슌스케는 ‘노화’ ‘죽음’에 대해서도 솔직하게 써 내려갔다. 먼저 떠난 친구와 제자의 이야기가 등장하기도 하고(일부는 전쟁에서 죽었다), 죽은 후의 자신을 상상하기도 하며, ‘잊어버리는 것’에 대한 공포를 토로하고, ‘망각록’이라는 것을 적고 있다고 이야기한다. 전쟁을 겪고 또 수십 년 동안 평화운동을 했으며 일본을 대표하는 철학자이기도 했던 한 늙은 사상가의 내면이 솔직하게 서술돼 있다. 그는 나이가 들면서도 자신의 내면에 끝까지 남아 있는 것들, 그리고 마지막까지 자신을 지탱해주는 것들에 대해 썼다.
건망증을 자각한 후 망각록을 적어가면서까지 무언가를 기억하려고 하고, 또 한편으로 ‘자신이 무엇은 잊고, 무엇은 기억하는지’ 알고자 노력했던 쓰루미 슌스케의 기록은 그 자체로 울림이 있다. 사실 여든의 노인이 써 내려간 이 에세이 자체가 그가 잊을 수 없었던 것에 대한 ‘망각록’이기도 하다. 그가 잊을 수 없던 것들, 소학교 친구들의 별명, 미국 하숙생 시절 작은 아파트에서의 티타임, 전쟁의 포화 속에서 겪은 죽음의 공포, 군병원에서 간호사들이 했던 연극, 전후 가족들과 찾아간 아우슈비츠 수용소 등에 대해 듣고 나면 자연스레 이러한 질문이 마음이 남게 될 것이다. 동시대 역사 속에서, 그리고 우리의 삶 속에서 우리가 마지막까지 기억할 것은 무엇인가?
기본정보
ISBN | 9791169092142 |
---|---|
발행(출시)일자 | 2024년 03월 28일 |
쪽수 | 304쪽 |
크기 |
119 * 200
* 24
mm
/ 483 g
|
총권수 | 1권 |
Klover 리뷰 (0)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문장수집 (0)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판매가 5,000원 미만 상품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
반품/교환방법
* 오픈마켓, 해외배송 주문, 기프트 주문시 [1:1 상담>반품/교환/환불] 또는 고객센터 (1544-1900) -
반품/교환가능 기간
상품의 결함 및 계약내용과 다를 경우 문제점 발견 후 30일 이내 -
반품/교환비용
-
반품/교환 불가 사유
(단지 확인을 위한 포장 훼손은 제외)
2)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악세서리 포함) 등
3)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예) 음반/DVD/비디오,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4)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1)해외주문도서)
5) 디지털 컨텐츠인 ebook, 오디오북 등을 1회이상 ‘다운로드’를 받았거나 '바로보기'로 열람한 경우
6)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7)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8) 세트상품 일부만 반품 불가 (필요시 세트상품 반품 후 낱권 재구매)
9) 기타 반품 불가 품목 - 잡지, 테이프, 대학입시자료, 사진집, 방통대 교재, 교과서, 만화, 미디어전품목, 악보집, 정부간행물, 지도, 각종 수험서, 적성검사자료, 성경, 사전, 법령집, 지류, 필기구류, 시즌상품, 개봉한 상품 등 -
상품 품절
-
소비자 피해보상 환불 지연에 따른 배상
2) 대금 환불 및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함
상품 설명에 반품/교환 관련한 안내가 있는 경우 그 내용을 우선으로 합니다. (업체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