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을 담은 국어 교육의 이해
도서+사은품 또는 도서+사은품+교보Only(교보굿즈)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20,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1Box 기준 : 도서 10권
로그아웃 : '서울시 종로구 종로1' 주소 기준
이달의 꽃과 함께 책을 받아보세요!
1권 구매 시 결제 단계에서 적용 가능합니다.
패키지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책 소개
이 책이 속한 분야
- 국내도서 > 인문 > 교육학 > 교과교육과정 > 국어교육
- 국내도서 > 인문 > 교육학 > 교수/학습법 > 교수/지도법
- 국내도서 > 인문 > 대학교재 > 교육학
- 국내도서 > 대학교재 > 인문 > 교육학
국어 교육학의 입문서
작가정보
상명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문학교육론』(공저)
『문학교육을 위한 현대시작품론』(공저)
『시와 함께 배우는 시론』(공저) 외 다수
경인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국어과 교육과정 실행 연구』
『학생이 질문하는 즐거운 수업 만들기: 중등 활동편』(공저)
『핵심 질문: 학생에게 이해의 문 열어주기』(공역) 외 다수
경인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미디어교육과 비판적 리터러시』
『시작하겠습니다, 디지털 육아』
『리터러시의 진화』(번역) 외 다수
목차
- 개정4판 서문
초판 서문
1부
제1장 국어 교육의 필요성
1 언어의 본질적 기능은 무엇인가
2 이미 익숙한 모어를 왜 가르칠까
3 국어과 교육의 성격은 무엇인가
제2장 국어과 교육과정
1 국어과 교육과정이란 무엇인가
2 국어과 교육과정은 어떤 기능을 할까
3 국어과 교육과정은 어떻게 변해 왔을까
4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특징은 무엇일까
5 국어과 교육과정 변천의 쟁점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제3장 국어 교과서
1 교과서란 무엇인가
2 교과서에는 어떤 내용이 담겨 있는가
3 교과서는 어떻게 짜여 있는가
4 교과서를 어떻게 사용해야 할까
제4장 국어과 교수·학습 방법 및 수업 방법
1 좋은 국어 수업에는 어떤 특징이 있는가
2 국어과 교수·학습 모형과 절차는 어떠한가
3 국어 수업 설계에서 고려할 점은 무엇인가
4 국어 수업 실천에서 고려할 점은 무엇인가
5 국어 수업 성찰에서 고려할 점은 무엇인가
제5장 국어과 평가
1 국어 교육에서 평가가 왜 필요할까
2 국어과 평가는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까
3 평가를 위해 고려해야 할 점
4 국어과 평가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5 평가 도구는 어떻게 작성해야 할까
6 평가 결과는 어떤 방식으로 보고하는 것이 좋을까
2부
제6장 화법 교육
1 화법은 왜 가르쳐야 할까
2 화법이란 무엇인가
3 화법 교육에서는 어떤 내용을 지도할까
4 화법 교육은 어떤 방법으로 할까
5 화법 교육에서 평가는 어떻게 할까
제7장 읽기 교육
1 읽기는 왜 가르쳐야 할까
2 읽기란 무엇일까
3 읽기 교육에서는 어떤 내용을 지도할까
4 읽기 교육은 어떤 방법으로 할까
5 읽기 교육에서 평가는 어떻게 할까
제8장 쓰기 교육
1 쓰기는 왜 가르쳐야 할까
2 쓰기란 무엇인가
3 쓰기 교육에서는 어떤 내용을 지도할까
4 쓰기 교육은 어떤 방법으로 할까
5 쓰기 교육에서 평가는 어떻게 할까
제9장 문법 교육
1 문법 교육의 목표
2 문법 교육 내용은 무엇인가
3 문법 교육은 어떻게 해야 할까
4 문법 교육 연구의 실천적 반영
제10장 문학 교육
1 문학 교육은 왜 필요할까
2 어떤 관점에서 문학 교육에 접근해야 할까
3 문학 교육에서는 무엇을 지도할까
4 문학 교육은 어떻게 해야 할까
5 문학 교육 평가에서는 무엇을 고려해야 할까
제11장 매체 교육
1 매체는 왜 가르쳐야 할까
2 매체란 무엇인가
3 미디어 교육과 미디어 문해력이란 무엇인가
4 매체 교육에서는 어떤 내용을 지도할까
5 매체 교육의 방법은 무엇일까
6 매체 교육은 어떻게 평가할까
3부
제12장 언어 발달
1 언어 발달이란 무엇인가
2 언어 발달을 어떻게 볼 것인가
3 언어 발달의 조건은 무엇인가
제13장 초기 문해 지도 방안
1 초기 문해, 왜 중요한가
2 한글의 문자적 특성과 초기 문해 발달은 어떠한가?
3 한글 교육에서는 어떤 내용을 지도할까
4 한글 지도는 어떤 방법으로 할까
5 초기 문해, 어떻게 진단하고 중재할 것인가
제14장 국어 교육과 어린이와 청소년 문화
1 왜 어린이와 청소년 문화에 관심을 가져야 할까
2 어린이 청소년과 ‘Z세대’ 문화
3 어린이와 청소년의 미디어 이용 문화와 교육 방향
4 학교 밖 경험을 교실 수업과 연결하는 실제적 교육
제15장 국어 교육에서 영재와 학습 부진아 지도
1 왜 영재와 부진아에게 관심을 가져야 할까
2 국어 영재는 어떻게 가르쳐야 할까
3 국어 학습 부진아는 어떻게 가르쳐야 할까
제16장 다문화 가정 자녀를 위한 한국어 교육
1 학교 안의 새로운 제3의 학습자군의 출현에 따른 국어 교육의 외연 확장하기
2 다문화 배경 학습자의 유형별 특성
3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 체계
4 다문화 배경 학생을 위한 한국어(KSL) 교육 프로그램의 성격과 내용
5 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 방법
참고문헌
찾아보기
책 속으로
● 모든 교과는 교육적 보편성과 교과적 특수성을 동시에 확보하여 교과로서의 존립 근거를 갖는다. 국어과 교육도 교육적 보편성을 지니는데, 이는 곧 인간의 개인적· 사회적 성장에 기여할 수 있는 바가 있다는 의미이다. 국어과 교육은 늘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지고 기획·실행되었으며, 이로써 공동체의 일원들에게 교과로서의 위상을 확고히 하고 있다. 첫째, 국어 교육은 개인의 성장을 목적으로 한다. 둘째, 국어 교육은 범교과적인 능력을 획득하도록 한다. 셋째, 성장 후의 실용성을 목적으로 한다. 넷째, 문화의 계승· 창달을 목표로 한다. 다섯째, 문화 분석 능력의 향상을 목표로 한다. (24쪽)
●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이래 국어과의 내용 영역을 5대 영역으로 구분하던 것에서 ‘매체’를 새로 포함하여 ‘듣기 · 말하기’, ‘읽기’, ‘쓰기’, ‘문법’, ‘문학’, ‘매체’의 6대 영역으로 구분하고 있다. (42쪽)
● 국어 수업 설계는 국어 교수·학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전반적인 계획을 디자인하는 것을 말한다. 국어 수업을 설계함으로써 단원 및 차시 구성 요소들을 일관성 있게 잘 조직하여 각 활동이 개별적으로나 전체적으로 조화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교사는 국어 교수·학습의 변인을 고려하여 각각의 학습 활동이 학습 목표를 달성하는 데 유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계획하면서 학습자, 시·공간 환경, 상황 등을 고려하여 치밀하고도 유연하게 구성해야 한다. (107쪽)
● ‘읽는’ 인간은 고요하게 생각하고 사색하며 깊이 탐구하고 문제를 해결하며 창조한다. 읽기는 인간의 마음을 기르고 힘을 키운다. 이제 ‘읽는’ 인간을 길러 보자. 무엇을 어떻게 왜 읽는지를 가르쳐서 스스로 읽는 사람이 되게 해 보자. 읽기가 가진 가능성을 흠뻑 경험하게 하고 세상을 살아갈 힘을 한껏 기르도록 우리가 나서 보자. (195쪽)
● 숫자를 1부터 10까지 차례로 세어 보자. 가능한 대로 빨리 세어 보자. 매우 빠르게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면 거꾸로 헤아려 보자. 어린 아동이라면 더듬거릴 것이고 어른이라면 그것도 쉬울 것이다. 그러면 20부터 10까지 거꾸로 헤아려 보자. 영어로도 숫자를 거꾸로 헤아려 보자. 아마도 더디고, 집중해야 겨우 할 수 있을 것이다. 왜 그럴까? 아라비아숫자를 이미 다 알고 있고 영어로도 숫자를 알 터인데, 왜 잘 안 되는 것일까? 지식은 이미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지식이 왜 술술 풀려 나오지 않는 것일까? 이에 답하는 것이 바로 ‘기능(skills)’이다. 기능은 무엇을 수행하는 추동력으로, 그 정체를 드러내기는 어렵지만 능력의 핵심이 되는 요소이다. 가끔 지식이나 태도를 제외하고 이 기능만을 능력이라 일컫기도 하는데, 그만큼 기능이 능력의 본질을 담고 있는 핵심이며 독해 지도에서도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이다. (222쪽)
출판사 서평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불시에 맞이하게 된 비대면 수업 방식은 교실에서만 이루어지던 학교 교육을 근본에서부터 고민하도록 만들었다. chatGPT로 대표되는 인공지능의 본격적인 등장은 학교 교육의 역할에 대해 진지하게 성찰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학생 수의 급감 또한 교육과정, 교수·학습 방법, 평가 방법의 재구조화라는 과제를 제기하고 있다.
교육은 항상 사회의 변화와 함께해 왔다. 닥친 위기 속에서도 인간은 행복한 삶을 누릴 권리가 있고, 교육은 사회의 요구를 담아내면서 개인의 성장과 발달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이 책은 변화하는 사회를 반영하여 국어 교육의 미래를 고민하고 그것을 발전시키기 위한 단초를 제시한다.
1부는 국어 교육의 필요성에서 출발하여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교수ㆍ학습 및 평가 등 국어 교육에 관한 개괄적 내용을 다룬다. 2부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추가된 ‘매체’ 영역을 포함하여, 화법 교육, 읽기 교육, 쓰기 교육, 문법 교육, 문학 교육의 6대 영역의 핵심 내용을 다룬다. 3부는 언어 발달, 초기 문해력, 청소년 문화 등 인간의 성장 과정에 따른 국어 교육에서의 쟁점과 교실 내 학생들 사이의 편차 및 다문화 가정에서의 한국어 교육 등 사회적으로 제기되는 문제들을 다루고 있다.
그동안의 노력으로 쌓아 올린 ‘국어 교육의 현재’를 체계적으로 다루고 있으며, 끊임없이 탐구해야 할 ‘국어 교육의 미래’를 제시하는 이 책은 국어 교육학을 공부하고자 하는 이들에게 친절한 안내서가 될 것이다.
기본정보
ISBN | 9791167071170 |
---|---|
발행(출시)일자 | 2023년 08월 25일 |
쪽수 | 535쪽 |
크기 |
189 * 256
* 27
mm
/ 1219 g
|
총권수 | 1권 |
Klover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문장수집 (2)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판매가 5,000원 미만 상품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최신개정된건 사야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