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어 완벽 이해를 위한 일본어 고전문법
도서+사은품 또는 도서+사은품+교보Only(교보굿즈)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20,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1Box 기준 : 도서 10권
로그아웃 : '서울시 종로구 종로1' 주소 기준
이달의 꽃과 함께 책을 받아보세요!
1권 구매 시 결제 단계에서 적용 가능합니다.
해외주문/바로드림/제휴사주문/업체배송건의 경우 1+1 증정상품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패키지
북카드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작가정보
韓美卿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학대학 명예교수, 문학박사 『일본어 고전문법』(2004)
『일본어의 역사』(공저, 2006)
『드라마로 보는 한국인과 일본인의 경어행동』(2007) 『韓国語の敬語入門』(공저, 2009)
『일본어학과 일본어교육』 1~7(편저, 2013) 『일본어 경어사』(2013)
權景愛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어통번역학과 교수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어과 졸업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일어일문학과 석사
일본 쓰쿠바대학 대학원 언어문예학과 언어학석사ㆍ언어학박사 『고대일본어의 음 탈락 연구』(2014)
목차
- 머리말 5
제1부 길라잡이
제1장 현대 일본어와 고어 17
1. 일본어의 시대구분 17
2. 문어체와 구어체 18
3. 현대어에 나타나는 문어체 표현 20
(1) 생활 속의 문어체 표현 20 ∥ (2) 학습 문형으로서의 문어체 표현 22
(3) 이름에 쓰인 문어체 표현 24 ∥ (4) 책이나 영화제목에 쓰인 문어체 표현 24
(5) 애니메이션에 나타나는 문어체 표현 26
제2장 고어에 대한 이해 28
1. 단어의 분류 28
(1) 자립어와 부속어 28 ∥ (2) 활용어와 비활용어 28 ∥ (3) 품사 분류 29
2. 고어와 현대어의 차이 29
(1) 역사적 가나 표기법과 현대 가나 표기법 29 ∥ (2) 현대어와 다른 고어의 어휘 34
(3) 고전문법과 현대어 문법 35
3. 활용과 활용형 37
(1) 활용이란? 37 ∥ (2) 활용형(活用形) 37 ∥ (3) 고어의 활용형의 용법 37
제2부 품사 각설
제1장 동사 47
1. 동사의 활용에 따른 분류 47
2. 동사 활용의 변천 47
3. 동사 활용의 종류 49
(1) 4단활용동사(四段活用動詞) 49 ∥ (2) 상1단활용동사(上一段活用動詞) 55
(3) 상2단활용동사(上二段活用動詞) 60 ∥ (4) 하1단활용동사(下一段活用動詞) 65
(5) 하2단활용동사(下二段活用動詞) 68 ∥ (6) ナ행변격활용동사(ナ行変格活用動詞) 74
(7) ラ행변격활용동사(ラ行変格活用動詞) 78 ∥ (8) カ행변격활용동사(カ行変格活用動詞) 82
(9) サ행변격활용동사(サ行変格活用動詞) 86
4. 보조동사(補助動詞) 90
5. 동사의 음편(音便) 91
제2장 형용사 93
1. 형용사 활용형의 용법 93
2. 형용사 활용의 종류 94
(1) ク활용형용사 94 ∥ (2) シク활용형용사 96
3. 형용사의 カリ활용(보조활용) 98
4. 형용사 어간의 용법 101
5. 형용사의 음편 102
제3장 형용동사 106
1. 형용동사 활용의 종류 106
(1) ナリ활용형용동사 106 ∥ (2) タリ활용형용동사 110
2. 형용동사 어간의 용법 111
3. 형용동사의 음편 111
제4장 조동사 114
1. 조동사란 무엇인가? 114
2. 조동사의 분류 114
(1) 조동사의 의미에 의한 분류 114
(2) 조동사가 접속하는 활용형(앞의 단어의 형태)에 의한 분류 115
(3) 조동사의 활용 형태에 의한 분류 116
3. 조동사 각설 117
(1) 단정(断定) 117 ∥ (2) 부정(否定) 121 ∥ (3) 과거(過去) 124
(4) 완료(完了) 128 ∥ (5) 추량(推量) 136 ∥ (6) 추정(推定)·전문(伝聞) 155
(7) 부정추량(否定推量) 158 ∥ (8) 희망(希望) 164 ∥ (9) 비유(比喩) 167
(10) 자발(自発)·수동(受動)·가능(可能)·존경(尊敬) 170
(11) 사역(使役), 존경(尊敬) 174 ∥ (12) 기타(상대 시대의 조동사) 178
제5장 조사(助詞) 181
1. 격조사(格助詞) 181
2. 접속조사(接続助詞) 190
3. 계조사(係助詞) 196
4. 부조사(副助詞) 200
5. 종조사(終助詞) 203
6. 감탄조사(感嘆助詞) 207
제6장 명사(名詞) 209
1. 보통명사(普通名詞) 209 2. 고유명사(固有名詞) 209
3. 수사(数詞) 209 4. 형식명사(形式名詞) 210
5. 대명사(代名詞) 210
(1) 인칭대명사(人称代名詞) 210 ∥ (2) 지시대명사(指示代名詞) 211
제7장 부사(副詞) 213
1. 상태부사(状態副詞) 213
2. 정도부사(程度副詞) 214
3. 호응부사(呼応副詞) 214
(1) 가정조건과 호응 214 ∥ (2) 추량과 호응 215 ∥ (3) 부정과 호응 215
(4) 금지와 호응 215 ∥ (5) 소망과 호응 216 ∥ (6) 의문, 반어와 호응 216
제8장 연체사(連体詞) 217
제9장 접속사(接続詞) 218
1. 순접 218 2. 역접 219 3. 첨가 219
4. 나열 220 5. 보충 220 6. 전환 221
제10장 감탄사(感嘆詞) 222
1. 감동 222 2. 말을 걸 때 222 3. 응답 223
제11장 경어(敬語) 224
1. 경어란 무엇인가? 224
(1) 경어의 분류 224 ∥ (2) 경어의 구성요소 225
2. 용언의 경어형 226
(1) 존경어 228 ∥ (2) 겸양어 235 ∥ (3) 정중어 238
3. 고어에서의 특별한 경어 용법 240
(1) 최고경어 240 ∥ (2) 절대경어 241 ∥ (3) 자경표현(自敬表現) 241
(4) 2방면 경어(겸양+존경) ∥ 242
【부록 1】 혼동하기 쉬운 조동사, 조사의 구분 243
【부록 2】 고전을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사항들 248
1. 고전을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어휘 248
2. 고전을 이해하기 위한 기본적인 어휘 249
3. 실생활에서 사용되는 고어의 속담, 격언 254
【부록 3】 고전문학 감상 256
【연습문제 해답】 262
【고전문법 활용표】 269
用例文에 사용된 작품 및 사전, 검색사이트 274
책 속으로
제 1장 현대 일본어와 고어
1. 일본어의 시대구분
언어는 어느 시대 어느 나라에서든 변해왔고 변해가는 존재이다. 현대 일본어는 고대로부터 조금씩 변해 와서 현재에 이른 말을 가리킨다. 일본어의 경우,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시대를 구분하고 있다.
고대어(고어)
상대(上代) 나라(奈良)에 도읍지가 있던 시대 및 그 이전(~794)
중고(中古) 헤이안(平安. 지금의 京都)에 도읍지가 있던 시대(794-1192)
중세(中世) 가마쿠라(鎌倉)에 막부가 설치된 시대(1192-1333)
무로마치(室町)에 막부가 설치된 시대(1333-1603)
근세(近世) 에도(江戸)에 막부가 설치된 시대(1603-1867)
근대어
근대(近代) 메이지(明治) 이후(1868~현재)
고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근대 이전까지의 일본어를 가리킨다. 그러나 그중에서도 10세기 무렵의 중고 시대에 쓰인 일본어가 대표성을 지닌다. 고어의 표기 및 문법 체계도 당시의 고전 작품에 나타나는 것을 규범으로 삼고 있다.
또 고어를 문어(文語)라 하여 고어의 문법 체계를 고전문법 또는 문어 문법이라 부른다. 이에 반해 현대 일본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회화체 말투를 구어(口語)라 하고, 현대어 문법을 구어 문법이라고도 부른다.
일본어의 고어는 현대 일본어 속에 형태를 많이 남기고 있다. 영화나 소설 제목, 속담, 격언 등과 연설문 등에 남아 현대어보다 격조 있는 느낌으로 쓰이기도 한다. 이에 대해서는 3절에서 자세히 다루기로 하고 여기서는 문어체와 구어체에 대해 먼저 살펴보기로 한다.
2. 문어체와 구어체
다음은 시마자키 도손(島崎藤村)이라는 근대 문학 작가가 쓴 ‘첫사랑(初恋, 1896)’이라는 시이다. 한국에서는 이 시가 와인을 주제로 한 만화책 “신의 물방울(神の雫)”에 소개되어 널리 알려졌다. ‘첫사랑’은 총 4절로 구성된 7·5조의 정형시에 속하며, 원문이 문어체로 쓰였다. 이 시는 일본의 근대시이므로 이 시를 이해할 정도가 되면 그 시대에 쓰인 일본의 유명 근대소설들을 원문으로 읽을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문어체로 쓰인 원문을 이해하기 위해 분석해 보면, 우선 표기에서 おもひけり, おのづか ら와 같이 표기가 구어와는 차이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또, 현대어에서는 볼 수 없는 し(과거 조동사 き의 연체형), けり, なり, たり와 같은 조동사 및 그 활용형, なき나 たのしき와 같은 형용사의 연체형이 쓰였는데 현대어의 ない, たのしい와 달라서, 형용사 활용에서도 문어와 구어의 차이가 확연히 나타난다.
기본정보
ISBN | 9791159019111 |
---|---|
발행(출시)일자 | 2022년 09월 15일 |
쪽수 | 276쪽 |
크기 |
189 * 259
* 16
mm
/ 708 g
|
총권수 | 1권 |
Klover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문장수집 (2)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판매가 5,000원 미만 상품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