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한 허리 편한 인생
도서 + 잡지 / 만화 / :K컬렉션을 함께 1만 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1만원 미만 시 2,000원 배송비 부과
2만원 미만 시 2,000원 배송비 부과
1만원 미만 시 2,000원 배송비 부과
중고장터 상품
1Box 기준 : 도서 10권
알림 신청하시면 원하시는 정보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해외주문/바로드림/제휴사주문/업체배송건의 경우 1+1 증정상품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패키지
북카드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이 책에서는 척추관협착증에 대한 여러 치료법을 치료 방법의 임상적 유용성, 과학적 타당성, 안전성, 후유증 발생 가능성 등을 엄격하게 따져 총 5등급으로 분류하여 제시한다. 불필요한 검사와 시술 및 수술로 환자들의 허리가 더 망가지기 전에 반드시 알아야 할 사항들을 읽기 쉽고 친절하게 소개한다.
★ 체크 포인트 : 척추관협착증을 진단받았다면 치료 전 반드시 체크하라!
√ 버틸 수 있는 한 버텨라. 결국 통증은 호전된다.
√ 시술 또는 수술을 즉흥적으로 받지 마라. 반드시 미리 잘 따져보자.
√ 비수술적 시술을 쉽게 생각하지 마라. 시술도 곧 수술이다.
√ 비보험 치료에 현혹되지 마라. 검증되지 않았다.
√ 도수치료에 속지 마라. 협착된 척추관이 넓어지지 않는다.
√ 주사치료는 일시적 증상 완화의 목적일 뿐 근본 치료 효과는 없다.
√ 수술도 척추관협착증을 재발하지 않게 치료하지는 못한다.
√ 척추고정 기구 삽입을 되도록 피하라. 이물질이 득이 되지 않는다.
√ 반복 수술을 피하라. 첫 수술이 평생의 척추 건강을 좌우한다.
작가정보
성균관대학교 명예교수. 대한민국 최고의 척추 명의.
1994년부터 2018년까지 삼성서울병원 재직 동안 총 2,375명의 척추 환자를 수술했다. 2018년부터 현재까지는 삼성창원병원에서 230명의 척추 환자를 수술했으나 지금까지 의료과오나 의료분쟁이 단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았다. EBS 프로그램 《명의》에 두 차례 출연해 척추 지식을 전파했으며 다수 언론을 통해 척추질환에 대한 과잉 검사와 과잉 수술의 폐해를 경고했다. 환자 증상에 따라 허리 통증의 원인을 정확하게 진단하여 최적의 진단법과 치료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힘쓰고 있다. 저서 『허리디스크 수술 없이 낫기』(2020)가 있다.
서울고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의학사를 취득하였으며 동 대학교 대학원에서 의학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국군덕정병원과 국군서울지구병원 신경외과 과장, 한림대학교 신경외과학 조교수와 부교수를 거쳐 1994년 삼성서울병원 개원부터 24년간 신경외과에서 근무했다. 일본 도쿄대학교 뇌신경외과와 미국 애리조나 BNI(Barrow Neurological Institute)에서 연수했으며,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 주임교수, 삼성서울병원 척추센터장, 교육수련부장,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학장, 대한척추신경외과학회 회장, 성균관대학교 의무부총장을 역임하였다. 2018년부터 성균관대학교 부속 삼성창원병원 신경외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비상근 심사위원, 산업재해보상보험재심사위원회 위원, 서울중앙지방법원 조정위원, 대한척추신경외과학회 고문으로도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목차
- 머리말
★ 치료별 추천 등급
1장 척추관협착증이란?
1. 척추관협착증의 정의
2. 척추관협착증의 발견
3. 선천성, 발달성, 퇴행성 척추관협착증
4. 척추전방전위증에 의한 척추관협착증
5. 척추관협착증 발생률과 유병률
6. 척추관협착증의 분류와 원인
2장 척추관협착증의 증상
1. 다리 통증, 하지 통증, 다리 저린감
2. 요통, 허리 통증, 엉치 통증
3. 신경인성 간헐적 파행
4. 추간판인성 서혜부 통증, 사타구니 통증
5. 발바닥 저림증
6. 야간 하지 경련, 다리에 쥐가 난다
7. 하지 근력 저하와 보행장애
8. 하지 평형 기능 저하, 감각 저하
9. 대소변 장애
10. 하지불안 증후군
11. 요추 후만 척추변형
12. 삶의 질 저하
3장 척추관협착증의 진단
1. 이학적 및 신경학적 검사
2. 척추관협착증 자가 진단을 위한 설문지
3. 영상학적 검사에 의한 진단
★ 척추관협착증 사례들
4장 척추관협착증의 자연 경과
★ 척추관협착증 자연 경과 사례들
5장 척추관협착증의 보존적 치료(비수술적 치료)
1. 걷기
2. 입식생활, 잦은 자세 변경, 반신욕
3. 진통 소염제
4. 오팔몬 / 프로스타글란딘 E1 유도체 / 리마프로스트
5. 가바펜틴, 프리가발린
6. 항우울제
7. 마약성 진통제
8. 근육이완제
9. 경막외 스테로이드 주사, 경막외강 차단술, 경막외 신경차단술, 경막외 주사치료
10. 견인치료
11. 신경근 차단술, 신경차단술, 신경주사, 허리 신경주사 치료, 신경치료
12. 관절내 주사, 뼈주사
13. 프롤로테라피, 프롤로치료, 증식치료, 인대강화주사, 인대증식치료, 허리근육강화주사
14. 도수치료
15. 핌스
6장 척추관협착증의 수술적 치료
1. 수술 적응증과 비적응증
2. 수술 후 평가 방법
3. 수술적 치료 방법들
★ 미세현미경 편측후궁절개-양측감압술 사례들
7장 척추유합술과 척추고정술
1. 척추유합술과 척추고정술의 차이
2. 척추유합술의 발전과 여러 가지 방법들
3. 척추고정술의 발전
4. 척추고정술의 여러 가지 방법들
5. 척추유합술과 척추고정술은 필요하지 않다
6. 척추유합술이 시행되는 이유
8장 척추전방전위증
1. 척추전방전위증이란?
2. 척추전방전위증의 발견
3. 척추전방전위증 치료의 발전
4. 자연 경과와 안정화된 척추전방전위증
★ 안정화된 척추전방전위증 사례들
5. 척추후방전위증과 척추측방전위증
9장 척추관협착증 치료의 국내 도입과 발전
1. 1967년 : 척추전방전위증 치료 시작
2. 1974년 : 척추관협착증의 국내 소개
3. 1980년대 : 척추고정술의 시작
4. 1990년대 : 케이지 기구 사용
5. 1990년대 : 척추경 나사못 척추고정술과 후방 요추체간 유합술
6. 1997년 : 편측후궁절개-양측감압술
7. 2003년 : 단일 방향 내시경 수술
8. 2016년 : 양방향 내시경 수술
10장 척추 활액낭종
★ 척추 활액낭종 사례들
11장 고정술 금속 기구에 대한 과민반응(알레르기, 알러지)
12장 척추 질환에서 인공지능, 인공 디스크, 로봇 척추 수술
1. 척추 질환에서 인공지능
2. 인공 디스크
3. 로봇 척추 수술
13장 척추관협착증 예방법과 허리건강 운동법
1. 걷기
2. 수영
3. 스트레칭
4. 근력 강화 운동
5. 맥켄지 신전 운동
6. 윌리엄스 굴곡 운동
7. 거꾸리 기구 운동
8. 실내 자전거 운동
참고문헌
출판사 서평
“근거 없는 과잉 치료가 당신의 허리를 해친다!”
_____대부분 환자들이나 보호자들은 치료법에 대해 TV 방송을 보거나, 유튜브 동영상 또는 포털 사이트에서 척추관협착증에 대한 정보를 찾아보지만, 우리나라 최고 대학의 교수를 포함한 여러 교수, 신경외과 전문의, 정형외과 전문의, 재활의학과 전문의, 가정의학과 전문의, 한의사, 물리치료사 등 많은 분야의 전문가들 심지어 의료인이 아닌 사람까지 자신의 경험을 근거로 서로 다른 정보 또는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여 전문지식이 없는 일반인들은 과연 어느 것이 옳은 치료 방법인지 혼란스러워하거나 답을 찾지 못할 때가 많다. 환자 대부분은 어떤 치료법이 자신에게 가장 좋은 방법인지 판단할 수 없다. 또 정확한 정보를 찾을 수도 없어 정말 수술을 받아야 하는지 또는 어떤 수술이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지 잘 모르고 헤매거나 잘못된 치료를 받은 후에 후회하고 고생하는 경우도 아주 많다. 저자는 외래 진료를 보면서 부적절한 수술을 받고 수술 후 합병증이 발생하여 내원한 환자를 진료하는 일이 가장 안타까웠다고 말한다. 수술 후에도 심한 통증이 남아 있거나 증상이 오히려 수술 전보다 심해지고 심지어 신경마비 증상까지 발생된 뒤 외래를 내원하여 수술이 잘된 것인지 또는 잘못된 것인지 질문하는 환자에게 올바르게 답하는 일은 의사로서 매우 난처한 일이었다.
차라리 수술이나 시술을 받지 않고 척추관협착증으로 내원한 경우, 대체로 치료가 어렵지 않고 부작용이나 후유증의 염려도 없다. 일부 환자들은 척추 시술을 너무 쉽게 생각하여 물건을 충동 구매하듯이 외래 진료를 하러 갔다 그날 당일 시술을 받는 경우도 있다. 시술도 수술의 일종이므로 반드시 치료 효과, 후유증 발생 가능성, 호전 가능성, 시술의 장점과 단점 등을 잘 따져 본 후 시술을 받아야 후회하지 않는다. 수술을 포함한 모든 치료는 치료 전보다 증상이 좋아져야 적어도 잘못된 치료가 아닐 수 있으며, 증상이 호전되지 않거나 오히려 없었던 증상마저 발생하였다면 그 치료는 분명 잘못된 것이다. 의학적으로 잘못된 수술 결과를 회복시키는 일은 매우 어렵고 불가능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소 잃고 외양간 고치지 말고, 반드시 여러 가지 치료 방법의 가능성과 각 치료의 장기적인 효과 그리고 치료의 장단점 및 후유증 또는 합병증 발생 가능성 등에 대해 신중하게 알아본 후 최적의 치료를 선택해야 한다.
_____이 책을 지은 어환 교수는 1994년 11월 삼성서울병원 개원부터 2018년 8월까지 신경외과와 척추센터에 근무하면서 척추관협착증 수술을 553예 시행하였다. 이중 255예에서 척추고정술을 시행하였고, 152예에서 양측 척추관 감압술, 45예에서 편측 척추관 감압술, 101예에서 편측후궁절개 양측감압술(ULBD, Unilateral Laminotomy Bilateral Decompression)을 시행하였다. 그 후 2018년 9월부터 삼성창원병원 신경외과에 근무하면서 2021년 12월까지 척추관협착증 수술을 183예 시행하였으며 147예(80%)에서 편측후궁절개 양측감압술 수술을 시행하여 양호한 치료 결과를 보았다.
올해로 신경외과 전문의 자격을 취득한지 40년이 된 어환 교수는 그동안 진료 현장에서 치료한 다양한 임상 경험을 토대로 척추관협착증으로 고통을 받는 환자들이 척추관협착증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자신에게 맞는 올바른 치료법을 선택하여 척추관협착증의 고통으로부터 벗어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고, 또한 혹시라도 부적절한 치료에 의한 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이 책을 집필했으며 모두에게 큰 도움이 되기를 간절히 바라고 있다.
기본정보
ISBN | 9791155505588 ( 1155505581 ) |
---|---|
발행(출시)일자 | 2022년 10월 18일 |
쪽수 | 480쪽 |
크기 |
153 * 225
* 34
mm
/ 986 g
|
총권수 | 1권 |
Klover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리뷰 종류별로 구매한 아이디당 한 상품에 최초 1회 작성 건들에 대해서만 제공됩니다.
판매가 1,000원 미만 도서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일부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불편을 끼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래에 해당하는 Klover 리뷰는 별도의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리뷰는 1인이 중복으로 작성하실 수는 있지만, 평점계산은 가장 최근에 남긴 1건의 리뷰만 반영됩니다.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문장수집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