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이 아닌 것들을 버는 가게
도서 + 잡지 / 만화 / :K컬렉션을 함께 1만 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1만원 미만 시 2,000원 배송비 부과
2만원 미만 시 2,000원 배송비 부과
1만원 미만 시 2,000원 배송비 부과
중고장터 상품
1Box 기준 : 도서 10권
알림 신청하시면 원하시는 정보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해외주문/바로드림/제휴사주문/업체배송건의 경우 1+1 증정상품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패키지
북카드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봄의 도시에서, 생의 봄으로 되돌아가다
사건사고가 많이 일어날수록 일용할 양식이 일어나는 직업, 기자. 그래서 매일 밤 더 많은 사고가 나길 소원하며 잠들었던 사람. 정신없이 취재하고 방송하다 새벽 무렵 집으로 돌아오다 문득 깨닫습니다. 언제부터인지 눈앞에서 사람이 죽어도 눈물 한 방울 흘리지 않는 인간이 되었다는 것을요. 작가는 마흔을 앞둔 자신에게 물었습니다. 돈을 벌고자 하루 삼분의 일을 꼬박꼬박 바치며 살았던 직장인으로서의 삶을 멈추고, 직장의 생태계와는 180도 다른 계절에서 몇 달만이라도 살아보면 어떨까 하고요. 지난 삼십대는 사회가 요구하는 인간으로 길러지는 사이에 더 인간다울 수 있는 가치들을 생의 행로에 버려두고 온 것만 같았거든요. 새로 떠나는 곳에서는 길에 버려진 그 작은 것들을 천천히 되걸으며 주워담아보려 합니다.
그렇게 일 년간 준비기간을 둔 뒤 이듬해 2월, 휴직계를 내고 나만의 봄방학을 갖자 다짐합니다. 서울을 벗어난 어딘가에서 스스로 설계한 삶대로 마음껏 살다오기로요. 휴직 기간은 스무 달 남짓. 일곱 번의 계절을 보낼 곳인 만큼 안정감과 포근함을 느낄 수 있는 동네, 오래 눌러앉아 함께 들숨과 날숨을 내쉬고픈 기운을 주는 동네를 찾고 싶었습니다. 그 닿을 듯 말 듯한 감정에 가장 가까운 도시를 운명처럼 만났죠. ‘봄’을 이름에 품은 유일한 도시, 춘천이었습니다.
작가정보
신문기자로 직장생활을 시작해 방송기자를 거쳐 뉴스기획PD로 삼십대를 마쳤다. 그사이 〈엠빅뉴스〉 〈로드맨〉 〈앵커로그〉 등 조촐하지만 새로운 뉴스 브랜드를 세상에 내놓았다. 마흔 살이 되어서는 긴 휴직계를 낸 뒤 연고도 없는 춘천으로 떠나와서 돈이 아닌 가치들이 교환되고 쌓이는 시한부 공유서재 〈첫서재〉를 차렸다. 오직 제 살아옴을 닮은 이 공간에서 스무 달 동안 실컷 읽고 쓰며 소복하게 서투름을 앃다가 녹은 눈처럼 현실 세계로 돌아갈 요량이다. 산문집 『고작 이 정도의 어른』을 썼다.
brunch : 작가명 '나묭'
instagram : @namgiza
목차
- 여는 글
햇볕과 색깔과 이야기를 모으기 위해 … 5
1부
그다음은 다음에 생각하자 … 14
나의 서재지만 모두의 서재인 곳 … 22
봄을 이름에 품은 도시 … 28
1963년에 지어진 집, 그 집과 동갑내기인 라일락나무 … 33
공유서재 만들기 … 39
여기 어때요, 엄마? … 49
아직 덜 추워요 … 54
2부
춘천살이 첫 보름 … 62
첫서재의 첫날 … 73
첫다락의 첫 손님 … 78
첫서재의 첫 일주일을 채운 소리 … 86
첫서재를 그려봤는데 조금 엉성하네요 … 91
저 여기 오려고 춘천 왔어요 … 94
옛 집주인이 찾아왔다 … 102
아기 손님이 가죽소파에 토를 했다 … 108
오늘은 혼자 오신 것뿐이구나 … 114
3부
첫서재의 시계는 느리다 … 122
직접 흙을 만져보면 된다 … 129
내 진심부터 먼저 내어주기 … 134
다락방 손님은 떠나고 고래는 남았다 … 140
둘 다 사라질 운명인 거지 … 146
오늘 하루, 세 차례의 호의 … 148
유리는 그래도 닦인다 … 156
돈을 얼마큼 벌겠다는 게 아니라 … 160
서재지기님도 할 수 있어요 … 163
4부
약사동 성당 앞 늙은 느티나무 … 170
휴일에는 막국수와 빵을 먹는다 … 172
담쟁이는 제 화분의 크기만큼 자란다 … 176
동네 단골 책방 ‘서툰책방’이 사라진다는 사실 … 180
대들보는 지금껏 얼마나 많은 눈을 삼켰을까 … 184
우리는 커서 다 행복이 되고 싶은 거 아닐까요 … 186
나만의 것으로 시작했지만 나만의 것이 아니게 되기에 … 189
내 생애 어쩌면 첫 겨울일지도 … 194
작가의 말 … 199
추천사
-
여기 춘천의 한 폐가를 고쳐 서재를 만든 이가 있다. 책방도 아니고 카페도 아닌 공유서재다. 휴직하는 스무 달 동안 다른 삶을 살기로 결심한 이가 있다. 누리는 삶도 아니고 풍족한 삶도 아닌 지금까지와는 완전히 다른 삶이다. 그의 이름은 남형석, 공간의 이름은 첫서재다. 방문객에게 첫서재는 “서투름을 쌓고 설렘을 챙겨가는 공간”이다. 반대로 그에게 첫서재와 동고동락하는 스무 달은 서투름을 챙기고 설렘을 쌓는 시간이다.
취재원을 찾아가 집요하게 인터뷰하던 그는 한자리에 머물며 손님을 기다리는 사람이 되었다. 현장이 바뀌니 품은 커지고 마음은 느긋해진다. 말을 받아 적고 기사를 쓰던 시간은 유리창을 닦고 화분의 흙을 만져보다 커피를 내리는 시간으로 바뀐다. 기사가 쓰일 빽빽한 자리에는 방문객의 사연이 촘촘히 들어선다. 그는 그렇게 “계절에 맞서지 않고 계절을 머금고” 지내는 법을 터득한다. 사회와 불화하는 대신, 자신이 머문 자리에서 한껏 자유로워진다.
자유로워지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무모해져야 한다. 모르는 곳으로 향하기 위해, 삶의 방향을 꺾기 위해 기꺼이 처음을 향해 노를 저어야 한다. 이 책에 첫인사, 첫 만남, 첫 실수 등 첫 흔적들이 수북한 것은 그가 성실하게 첫 기록을 남겼기 때문일 것이다. 그래서 “실패하러 온 거예요 여기”라는 그의 말은 어쩌면 꿈꾸는 데 성공했음을 반증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 책을 읽는 일은 서투름 뒤의 진심을, 설렘 뒤의 두려움을 만나는 일이다. 세상 속 “떠도는 이야기”를 초대하기로 결심한 순간, 뜻밖의 일들은 이미 그의 머릿속과 가슴 안에서 움트기 시작했을 것이다. 첫서재가 있는 춘천이 이름에 봄을 품은 도시인 것처럼, 누군가에게는 이 책이 봄으로 깃들 것이라 믿는다.
책 속으로
돈이 아닌 것들을 버는 가게. 돈 대신 사람들과 사연이 투박하게 쌓여가는 이 공유서재의 이름은 ‘첫서재’다. 세상 모든 처음이 시작되거나 기억되는 곳, 저마다의 서툴고 비밀스러운 이야기가 쌓여가는 공간으로 숙성하고픈 마음이 세 글자에 담겨 있다. 어디에서도 다독여주지 않는 어른의 서투름을 보듬는 공간이 지구에 하나쯤은 필요할 테니까.
다만 첫서재는 태어난 순간부터 시한부를 선고받은 운명이다. 2021년 봄부터 이듬해 가을까지 단 스무 달만 문을 여는 탓이다. 서재지기는 다니던 회사를 휴직한 뒤 연고도 지인도 없는 소도시로 내려와 가게를 차렸다. 스무 달의 휴직 기간이 끝나면 일터로 돌아가야 한다. 십 년 넘게 직장생활하며 번 돈을 스무 달 동안 다 쓰기로 작정하고 육십 년 묵은 폐가를 고쳐 세상 무엇과도 닮지 않은 가게를 꾸렸다. 그리고 자기만의 방식으로 사람들을 초대하기 시작했다. 십 년 넘게 반복되던 업무의 틀 바깥에 잠시 누워 그림책 속 생쥐 ‘프레드릭’처럼 햇볕과 색깔과 이야기를 모으기 위해.
_「햇볕과 색깔과 이야기를 모으기 위해」 중에서
첫서재의 시계는 느리다. 늘 부족했던 시간이 고무처럼 탄성이 생겨 길쭉해진 기분이다. 삼십팔 년간 살았던 서울과 십 년 넘게 업으로 삼았던 기자 시절을 생각하면 더욱이 그렇다. 서울에선, 정확히 말해 직장을 다닐 때엔 시간 낭비 같아 아예 틈을 내어주지 않거나 최대한 빨리 끝내려 했던 사소한 결정들을 이곳에서는 최대한 오래 곱씹은 뒤 내리게 된다. 예컨대 화분에 물을 주는 일에도 흙의 마른 정도와 볕의 양을 꼼꼼하게 따지느라 시간을 쏟는다든지 손님의 문의 메시지에 두어 줄의 답이라도 금방 보내지 않고 한참 고민하고 정리해서 보내드리는 식이다. 급할 게 없기 때문이다. 화분에 물을 서둘러 준다고, 답변 메시지를 서둘러 보낸다고 다음 할일이 나를 재촉하는 것도 아니니까.
시간이 느리게 흐르다보니 얻는 것들이 있다. 이를테면 정성을 다하는 마음이 그렇다. 춘천살이를 하면서, 첫서재 문을 열면서 얻은 도드라진 수확이다. 서울서 직장 다닐 때는 오로지 나를 중심으로 정성의 울타리를 견고하게 쌓았다. 나에게만 가족에게만 친구에게만 정성을 쏟기에도 시간이 늘 빠듯했다. 더 솔직해지자면 빠듯하다는 핑계 대기에 바빴다. 분주함을 계량할 수 있다면 실제 분주함보다 마음의 분주함이 두 배는 더 컸을 테니까. 그러나 여기서는 무엇도 빠듯하지 않다. 정성을 다할 범주를 정하고 울타리를 두를 필요도, 그 중심에 내가 있을 필요도 없다. 생일을 맞이한 첫다락 손님에게 무슨 깜짝 선물을 드려야 할지 전날부터 내내 가족회의를 한다. 첫다락에 모시지 못하는 분들에게 되돌려드릴 답장을 쓰려 한 시간을 골똘히 흘려보낸다. 살아남을 가능성이 희박한 담쟁이넝쿨을 살려보겠다며 반나절 내내 흙을 다듬는다. 살아남지 않더라도 그 시간이 아깝지 않기에 쏟아붓는 마음이다.
_「첫서재의 시계는 느리다」 중에서
이곳 첫서재에서의 삶은 다르다. 계절의 변화 마디마디를 박박 긁어내듯 감각하게 된다. 매일 여덟 시간씩 나와 마주보고 있는 앞마당 라일락나무가 싹을 틔우고 꽃을 피워내고 이파리가 무성해지고 노래졌다가 떨어진다. 파리들은 봄과 가을마다 유리창에 하얀 똥을 묻혔다가 여름과 겨울이 되면 귀신같이 사라진다. 봄에는 벌이 찾아오고 여름이면 땅 밑 벌레가 늘어난다. 정오마다 찾아오던 참새 무리가 점점 지각하기 시작하면 그제야 가을이다. 그리고 나무 천장이 수분을 뱉으며 잔뜩 웅크리느라 미세하게 서로의 틈을 벌리면 그 사이로 찬바람과 함께 겨울이 스며든다. 아무리 전열기구와 온풍기를 켜두어도 발목 아래가 시릿하다. 처음엔 그마저도 따뜻하게 할 방법을 골몰했지만 이내 ‘겨울이니 발목 아래 정도는 시리게 놔둬야 하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다. 체념이 아닌 수용이다. 계절에 맞서지 않고 계절을 머금고 살고 싶어서 말이다.
_「내 생애 어쩌면 첫 겨울일지도」 중에서
출판사 서평
소도시의 옛 골목 서재에서 일어나는
소소하고 신비로운 일상
춘천의 도심 한가운데에서 오래되고 느릿한 서정의 풍경을 간직한 동네, 약사리 마을. 슬레이트 지붕과 구식 기와의 단층집들 사이로 칠십여 년간 터를 지킨 성당의 첨탑이 고아하게 드러나고 시멘트가 다 벗겨진 샛길이 단풍나무 잔가지처럼 하늘로 길쭉하게 뻗어 있는 곳. 설명할 수 없는 온기가 직감으로 전해지는 이 아늑한 언덕 끄트머리 샛길에는 입간판이 없으면 가정집으로 착각할 듯한 작은 가게가 있습니다.
책이 진열되어 있다지만 서점은 아니고 커피를 내려준다지만 카페도 아닙니다. ‘공유서재’라는 이름이 붙은 이 가게는 책과 음료가 아닌 공간을 팝니다. 오래 방치되어 있던 옛집을 서재로 탈바꿈시킨 이곳엔 예전에 이곳에 살다간 이들의 흔적이 오래된 지붕과 녹슨 타일 외벽, 재래식 변소에 그대로 남아 있습니다. 다른 점이 있다면 새롭게 이 집을 맞이한 서재지기의 정갈한 손길이 묻어 있다는 것이죠.
이곳에서 서재지기는 자신의 이야기를 써내려가는 꿈을 꿉니다. 스스로 읽고 쓰려고 만든 공간에 영감과 꿈을 품은 사람들을 초대하면 자연스럽게 이야기들이 쌓이지 않을지 기대하면서요. 그런 신비한 공간에서 벌어지는 일들을 역량껏 글로 엮어보고자 했지요. 나의 서재이지만 모두의 서재인 곳, 그런 꿈의 서재에서 돈이 아닌 다른 것들을 벌어보고 싶었다고요.
돈이 아닌 것들을 버는 가게. 이렇게 ‘첫서재’에는 돈 대신 사람들과 사연이 투박하게 쌓여갑니다. 세상 모든 처음이 시작되거나 기억되는 곳, 저마다의 서툴고 비밀스러운 이야기가 모여드는 공간이지요. 서투름과 불안을 안고 시작하려는 누군가에게 영감이 되거나 위로가 되거나 적어도 쉼이 되는 공간이었으면 하는 소망을 담아 지었습니다. 여기에 다녀가는 모든 이의 ‘첫’들이 시나브로 쌓이는 공간으로 숙성해주길 바라면서요.
꿈과 취향과 사연이
느슨하게 엉킨 책의 소우주, 첫서재
앞마당 라일락나무 아래에는 누워서 햇살 먹으며 책 읽기 좋은 벤치를 짜두었고 재래식 변소에는 변기 대신 옛날 방 문짝으로 만든 책상과 나무 의자, 무전력 원목 스피커, 손바닥만한 나무 오르골을 놓았습니다. 문을 열고 본채로 들어가면 원목으로 둘러싸인 공간은 책들로 가득합니다. 누구나 편히 들러 생각을 푹 익히거나 활자의 숲에서 산책하는 기분을 느끼는 공간, 저마다 자기 일을 하지만 서로를 구속하지 않는 연대감이 공기를 타고 흐르는 곳. 누군가는 돈을 내고 이용하고 누군가는 이야기를, 누군가는 꿈을 내고 이용하는 서재. 겉보기에는 북카페 혹은 공유서재이지만 내밀하게 들여다보면 꿈과 취향과 사연이 느슨하게 엉킨 책의 소우주인 셈입니다.
서재에는 입구가 숨겨진 비밀스러운 다락방도 있습니다. 부서져가는 지붕 아래 나무 천장을 덧대고 대들보를 다듬고 돌담이 보이도록 키 작은 창문을 냈지요. 느릅나무를 깎아 만든 아담한 고목 탁자를 방안에 두고 원목 스탠드와 스피커를 올려두었습니다. 서재의 다락방인 만큼 몇 권의 책을 누일 나무 바구니도 함께요. 침대와 침구도 정성스럽게 골랐답니다. 이름은 ‘첫다락’으로 지었어요. 이 두 평 남짓한 다락방에는 일주일에 한 사람씩 꼬박꼬박 머물다 떠납니다. 일종의 ‘북스테이’이지만 숙박 기준이 특별합니다. 며칠을 머물든 비용을 당장 받지 않기 때문입니다. 머무는 대가는 오 년 뒤에 돈이 아닌 것들로 내면 됩니다. 쉼이나 영감을 얻는 시간이 절실한 이들을 위한, 땅에서 조금 떨어진 두 평 남짓한 은신처인 셈이지요. 새로운 시작을 궁리하거나 감행하는 첫 공간이길 바라는 마음을 담았어요.
나만의 것으로 시작했지만
나만의 것이 아니게 된 가게
2022년 11월이면 지금 형태의 첫서재는 문을 닫습니다. 애초에 스무 달만 운영하고 닫을 요량이었으니 어쩔 수 없는 운명이지요. 올해 11월 6일에 마지막 문을 열고 작가는 회사로 돌아갈 것입니다. 그런데 막상 가게 문을 열고 보니 셈법을 한참 벗어난 감정들이 속속 들이닥쳤다고 해요. 돈을 내야 하는 가게에 찾아와 불쑥 선물을 내밀고 떠나는가 하면 뭐라도 드시라며 먹을거리를 챙겨주는 동네 손님들이 있었죠. 하나같이 정성스럽게 남기고 간 손글씨들은 어떡하고요. 그저 ‘스무 달 동안 나 해보고 싶은 거 다 하며 살다가 문 닫지 뭐’라고 생각하며 문을 연 가게는 어느새 겨우내 얼지 않을 작고 단단한 다정함들로 북적이고 있었습니다. 그렇게 첫서재에는 한 겹, 두 겹, 체온과 손길이 소복하게 쌓여가지요.
작가는 묻습니다. 봄방학이 끝날 무렵이면 나는 어디에 가닿아 있을까 하고요. 학창시절의 짧은 봄방학은 늘 길고 익숙했던 한 세계와의 작별이었고 그 끝은 미지의 진입로와 맞닿아 있었는데 지금의 나 역시 그때와 같을까요. 익숙했던 세계를 벗어나 처음 보는 삶과 운명처럼 조우하게 될까요. 아니면 아무 일 없던 것처럼 원래 자리로 무덤덤하게 귀환하게 될까요.
어른의 봄방학이 간절한 여러분을 춘천시 춘천로 145번길 36, ‘첫서재’로 초대합니다.
기본정보
ISBN | 9791191859324 ( 1191859320 ) |
---|---|
발행(출시)일자 | 2022년 08월 31일 |
쪽수 | 204쪽 |
크기 |
137 * 206
* 22
mm
/ 424 g
|
총권수 | 1권 |
Klover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리뷰 종류별로 구매한 아이디당 한 상품에 최초 1회 작성 건들에 대해서만 제공됩니다.
판매가 1,000원 미만 도서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일부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불편을 끼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래에 해당하는 Klover 리뷰는 별도의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리뷰는 1인이 중복으로 작성하실 수는 있지만, 평점계산은 가장 최근에 남긴 1건의 리뷰만 반영됩니다.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문장수집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