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 서원 아카이브와 지식 네트워크
도서+사은품 또는 도서+사은품+교보Only(교보굿즈)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20,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1Box 기준 : 도서 10권
로그아웃 : '서울시 종로구 종로1' 주소 기준
이달의 꽃과 함께 책을 받아보세요!
1권 구매 시 결제 단계에서 적용 가능합니다.
알림 신청하시면 원하시는 정보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동아시아 서원은 선현 제향과 유생 강학이라는 양대 기능을 바탕으로, 이를 보조하는 다양한 활동을 전개해왔다. 유생 강학이라는 교육활동은 그것을 뒷받침하기 위한 경제적 기반을 바탕으로, 우수한 스승과 장서의 구비를 통해 완성될 수 있었다. 서원의 교육은 거재(居齋), 거접(居接), 강회(講會) 등 다양한 형태로 진행되었다. 여기에는 서원의 원생뿐만 아니라 인근지역의 유생들이 참여하기도 했다. 이러한 강학활동의 원활한 시행과 지식의 함양에 필수적인 기반이 서원 장서였다.
동아시아 서원은 건립이래로 교육활동을 보조하기 위하여 장서를 구비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장서의 구축 방법으로는 기증?구매?교환 등의 방법이 일반적이었지만 필요할 경우 직접 서적을 출판하기도 했다. 서원에 구비된 장서는 해당 지역 지식인들의 출입을 촉진하면서, 그들의 의식 함양과 지식 전파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특히 서원에서 출판된 서적들은 해당 서원의 교육적 지향점과 사상적 특징을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출판 서적의 저자가 가지는 학술사상의 지위에 따라서 그 전파 범위가 동아시아 전체를 아우르거나 한 국가 내지 하나의 도(道)로 국한되기도 했다.
총 15편으로 구성된 이 책은 서원의 교육활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장서의 구비와 관리, 서원을 중심으로 지식 네트워크의 구축과 발전 과정, 그리고 지식 네트워크의 활동 사례를 신산서원?호계서원 등을 통해 설명하고 있다.
이 책의 총서 (51)
작가정보
저자(글)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이병훈 영남대 민족문화연구소 연구교수
배현숙 계명문화대 명예교수
나 금 중국 호남대 악록서원 교수
등홍파 중국 호남대 악록서원 교수
장효신 중국 호남대 악록서원 박사과정
야규 마코토 원광대 원불교사상연구원 연구교수
이광우 영남대 민족문화연구소 연구교수
임근실 한국국학진흥원 전임연구원
한재훈 연세대 국학연구원 연구교수
이경동 공주대 백제문화연구소 연구교수
정순우 한국학중앙연구원 명예교수
정석태 부산대 점필재연구소 선임연구원
이선아 전북대 이재연구소 연구원
김자운 공주대 교육학과 교수
채광수 영남대 민족문화연구소 연구교수
최광만 충남대 교육학과 교수
목차
- 책을 펴내며
제1부 동아시아 서원의 아카이브 구축과 운영
한국 서원 장서의 구축과 관리 제도의 변화 ▣ 이병훈 3
Ⅰ. 머리말 3
Ⅱ. 한국 서원의 장서 구축 8
Ⅲ. 한국 서원의 장서 관리 42
Ⅳ. 맺음말 53
도산서원 각판(刻板)활동 연구 ▣ 배현숙 59
Ⅰ. 서언 59
Ⅱ. 도산서원 각판 서적 62
Ⅲ. 도산서원 각판 과정의 기록 110
Ⅳ. 도산서원 책판의 특징과 의의 131
Ⅴ. 결언 138
청말 서원 장서 제도 연구 ▣ 등홍파(鄧洪波)?장효신(張曉新) 145
Ⅰ. 청말 서원 장서 제도의 보급 : “비필비(非必備)”로부터 전체(全體)에 이르는 경동성(傾同性) 148
Ⅱ. 청말 서원 장서의 개방화와 사회화 153
Ⅲ. 청말 서원 장서 관리의 내부 규범화 161
Ⅳ. 서학화(西學化) 영향 아래 청말 서원의 장서 제도 175
Ⅴ. 결론 185
중국 서적의 동아시아 도서(圖書) 형성 및 구조에 대한 영향 일고(一考)-서원본(書院本)을 중심으로 ▣ 나금(羅琴) 189
Ⅰ. 들어가는 말 189
Ⅱ. 중국본의 동아시아 도서 형성 구조에 대한 영향 -서원본을 중심으로 191
Ⅲ. 결론 204
일본서원의 장서구축-이토 진사이(伊藤仁齋) 가문과 고의당문고(古義堂文庫)- ▣ 야규 마코토(柳生眞) 209
Ⅰ. 머리말 209
Ⅱ. 고의당 창립자 이토 진사이(伊藤仁齋) 211
Ⅲ. 덴리도서관(天理圖書館)과 고의당문고(古義堂文庫) 218
Ⅳ. 맺음말 223
제2부 조선시대 서원의 지식 네트워크 구축과 특징
조선시대 학파의 ‘도통’ 의식과 서원의 확산-16세기 후반~17세기 전반 퇴계학파를 중심으로- ▣ 이광우 231
Ⅰ. 머리말 231
Ⅱ. 퇴계학파의 성립과 서원 234
Ⅲ. 퇴계학파의 분기와 서원의 확산 243
Ⅵ. 17세기 전반 서애학파(西厓學派)의 ‘도통’ 의식과 서원 설립 256
Ⅴ. 17세기 전반 한강학파(寒岡學派)의 성립과 서원 확산 265
Ⅵ. 맺음말 279
16세기 서원지의 출현과 지식의 전개 ▣ 임근실 287
Ⅰ. 서론 287
Ⅱ. 서원의 설립 289
Ⅲ. 서원지의 출현 295
Ⅳ. 서원 지식의 전개 309
Ⅴ. 결론 316
조선시대 서원 학규의 시기별 경향-16세기~18세기를 중심으로-▣ 한재훈 323
Ⅰ. 여는 말 323
Ⅱ. 16세기 학규의 경향 325
Ⅲ. 17세기 학규의 경향 331
Ⅳ. 18세기 학규의 경향 337
Ⅴ. 맺는 말 344
조선시대 근기지역 서원의 강규와 강학 ▣ 이경동 349
Ⅰ. 머리말 349
Ⅱ. 16세기 후반 이이의 서원 강규와 강학 -거재 유생과 정기 강회의 도입 352
Ⅲ. 17세기 후반 박세채의 서원 강규와 강학 -강학 교재와 강회 절차의 규정 360
Ⅳ. 18세기 노론?낙론계의 서원 강규과 강학 -평가방식의 도입과 강학의례의 세분화 366
Ⅴ. 맺음말 382
19세기말 서원강회와 학파의 분화과정-주리론을 중심으로- ▣ 정순우 387
Ⅰ. 서언 387
Ⅱ. 산천재(山天齋) 강회와 제 학파의 만남 388
Ⅲ. 선석사(禪石寺) 강회와 주리론의 분화 393
Ⅵ. 오천강회(?川講會), 도산 주리론의 대응 397
Ⅴ. 화서학파의 장담강회(長潭講會), 주리론적 척사론(斥邪論) 400
Ⅵ. 결어 406
제3부 한국 서원의 지식 네트워크 활동 사례
신산서원의 강학전통 ▣ 정석태 411
Ⅰ. 머리말 411
Ⅱ. 신산서원의 설립과 변화과정 414
Ⅲ. 신산서원의 초기 강학정신 422
Ⅳ. 신산서원 강학정신의 변모와 계승 양상 435
Ⅴ. 맺음말 471
16세기 호남사림 정염(丁焰)의 학맥과 지금서사(知今書舍) 강학 ▣ 이선아 479
Ⅰ. 머리말 479
Ⅱ. 정염의 학맥과 교유관계 480
Ⅲ. 知今書舍 강학과 남원의 三溪講舍 491
Ⅳ. 맺음말 500
조선시대 호계서원 강학 연구 ▣ 김자운 505
Ⅰ. 머리말 505
Ⅱ. 설립 초기 호계서원의 위상과 관학적 성격 508
Ⅲ. 18~19세기 강회의 특징과 대산학의 계승 521
Ⅳ. 1765년 「大學」 강회의 형식과 내용 533
Ⅴ. 맺음말 559
서원의 지식 네트워크 활동의 실제-상주 도남서원(道南書院)의 시회(詩會)를 중심으로-▣ 채광수 565
Ⅰ. 머리말 565
Ⅱ. 도남서원 주도 세력 네트워크의 성격 566
Ⅲ. 도남서원 지식 네트워크 활동의 실제 579
Ⅳ. 맺음말 599
대전 도산서원(道山書院)의 강학 관련 자료와 시사점 ▣ 최광만 605
Ⅰ. 머리말 605
Ⅱ. 「이택재중대소사해식」과 「일과정업」 608
Ⅲ. 「원규」 618
Ⅳ. 「강회입규」 624
Ⅴ. 맺음말 634
기본정보
ISBN | 9791192062082 | ||
---|---|---|---|
발행(출시)일자 | 2022년 05월 30일 | ||
쪽수 | 650쪽 | ||
크기 |
153 * 224
mm
|
||
총권수 | 1권 | ||
시리즈명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Klover 리뷰 (0)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문장수집 (0)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판매가 5,000원 미만 상품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
반품/교환방법
* 오픈마켓, 해외배송 주문, 기프트 주문시 [1:1 상담>반품/교환/환불] 또는 고객센터 (1544-1900) -
반품/교환가능 기간
상품의 결함 및 계약내용과 다를 경우 문제점 발견 후 30일 이내 -
반품/교환비용
-
반품/교환 불가 사유
(단지 확인을 위한 포장 훼손은 제외)
2)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악세서리 포함) 등
3)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예) 음반/DVD/비디오,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4)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1)해외주문도서)
5) 디지털 컨텐츠인 ebook, 오디오북 등을 1회이상 ‘다운로드’를 받았거나 '바로보기'로 열람한 경우
6)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7)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8) 세트상품 일부만 반품 불가 (필요시 세트상품 반품 후 낱권 재구매)
9) 기타 반품 불가 품목 - 잡지, 테이프, 대학입시자료, 사진집, 방통대 교재, 교과서, 만화, 미디어전품목, 악보집, 정부간행물, 지도, 각종 수험서, 적성검사자료, 성경, 사전, 법령집, 지류, 필기구류, 시즌상품, 개봉한 상품 등 -
상품 품절
-
소비자 피해보상 환불 지연에 따른 배상
2) 대금 환불 및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함
상품 설명에 반품/교환 관련한 안내가 있는 경우 그 내용을 우선으로 합니다. (업체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기분 좋은 발견
이 분야의 베스트
이 분야의 신간
-
드디어 만나는 대만사 수업(큰글자도서)10% 22,500 원
-
무굴 제국의 역사10% 26,100 원
-
일본의 동남아시아 점령과 지배10% 28,800 원
-
일본 고고박물관 개론10% 13,500 원
-
일본은 왜 원전을 멈추지 않는가?10% 18,000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