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통령의 명연설문 재발견
해외주문/바로드림/제휴사주문/업체배송건의 경우 1+1 증정상품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패키지
북카드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미국 대통령의 취임사는 시대정신이 함축돼 있고, 국가가 처한 난제를 풀어나가야 할 국정 최고지도자의 고민과 철학, 정책이 담겨 있다는 점에서 한 마디 한 마디에 관심이 집중될 수밖에 없다. 또 협력자이면서 경쟁자이기도 한 의회를 설득하고, 국민에게 국정 청사진과 비전을 제시해야 하는 만큼 논리와 설득력, 선명성과 리더십이 담겨져 있다.
작가정보
저자(글) 김혜정
ㆍ 현, 한라대학교 영상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ㆍ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학 박사
ㆍ 강원도지역혁신위원회 심의위원
ㆍ 경기도청 경관심의위원
ㆍ (사) 전국여교수연합회 이사
ㆍ (사) 한국색채학회 이사
ㆍ (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심사위원 등
ㆍ 저서 : 기초조형 입문서-자연의 지침, 이끌림의 비밀
저자(글) 사공철
ㆍ 국민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졸업
ㆍ 성균관대학교 영어교육석사, 영문학 박사
ㆍ 우석대학교 영문학 박사
ㆍ 대구한의대학교, 경희사이버대학교에 출강
ㆍ 경운대학교 교수 정년 퇴임
ㆍ 번역서 : 장편 또 하나의 사랑(The Home on Hope Street, 2014) 등
목차
- ■ 조지 워싱턴 대통령
ㆍ 1789.04.30.대통령 1기 취임사 / 15
[원문] First Inaugural Address / 21
ㆍ 1796.09.17.조지 워싱턴 고별사 / 25
[원문] George Washington‘s Farewell Address / 47
■ 토머스 제퍼슨 대통령
ㆍ 1801.03.04.토머스 제퍼슨 첫 취임 연설문 / 65
[원문] First Inaugural Address / 73
ㆍ 1774.07.04.미국독립선언서 / 78
[원문] United States Declaration of Independence / 85
■ 링컨 대통령
ㆍ 1858.06.16.링컨 대통령 ‘분열된 집’ 연설문 / 92
ㆍ 1861.03.04.링컨 대통령 첫 취임 연설문 / 96
[원문] First Inaugural Speech / 105
ㆍ 1863.01.01.노예 해방 선언문 / 112
[원문] The Emancipation Proclamation / 116
ㆍ 1863.11.19.게티스버그 연설 “새로운 자유의 탄생” / 118
[원문] Gettysburg Address “… A new birth of freedom …” / 121
ㆍ 1865.03.04. 링컨 대통령 두 번째 취임 연설문 / 123
[원문] Abraham Lincoln’s Second Inaugural Speech / 125
ㆍ 1876.04.14.프레드릭 더글러스의 링컨 기념물 봉헌식 연설문 / 131
[원문] Frederick Douglass Speaks at Dedication of the Freedmen’s Monument / 141
■ 윌슨 대통령
ㆍ 1913.03.04.우드로 윌슨 첫 취임 연설문 / 150
[원문] First Inaugural Address / 156
ㆍ 1917.04.02.우드로 윌슨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요구 연설문 / 161
[원문] President Woodrow Wilson Requests a Declaration of War to the German Empire / 175
ㆍ 1918.01.08.우드로 윌슨의 민족자결주의(14개 항) / 184
[원문] Fourteen Points Speech / 190
■ 루즈벨트 대통령
ㆍ 1933. 03. 04.루즈벨트의 첫 취임 연설문 / 197
[원문] First Inaugural Address / 207
ㆍ 1936.10.31.메디슨 스퀘어 가든 연설문 / 212
[원문] Madison Square Garden Address / 215
ㆍ 1941.01.06.루즈벨트 대통령 “네 가지 자유”연설 / 217
[원문] MThe Four Freedoms / 229
ㆍ 1941.12. 08.루즈벨트 대통령의 대일 선전포고 요청 / 238
[원문] President Franklin D. Roosevelt Asks Congress to Declare War on Japan / 242
■ 케네디 대통령
ㆍ 1961.01.20.케네디 대통령의 취임 연설문 / 247
[원문] Inaugural Address / 254
ㆍ 1962.06.12.우리는 달에 갈 것입니다 / 258
ㆍ 1963.06.10.아메리칸 대학교 연설 / 261
[원문] American University Address / 269
ㆍ 1963.06.23.베를린 장벽 연설 / 278
[원문] Berlin Wall Speech / 283
ㆍ 1963.10.27.시인 로버트 프로스트 추모 연설문 / 285
[원문] Remembers Robert Frost / 290
ㆍ 1963.11.22.암살당하기 전 발표하려던 연설문 / 293
[원문] / 296
■ 닉슨 대통령
ㆍ 1969. 09. 09.정치인을 정의하다 / 300
[원문] Defines Politician / 306
ㆍ 1974. 08. 08.닉슨 대통령 사임 연설문 / 309
[원문] President Nixon’s Resignation Speech / 317
■ 레이건 대통령
ㆍ 1964. 10. 27.우리는 싸워야 합니다 / 325
[원문] A Time For Choosing / 329
ㆍ 1981.01.20.레이건대통령 취임 연설문 / 331
[원문] First Inaugural Address / 341
ㆍ 공산주의 몰락 예견 연설문 / 348
[원문] Foresees the Crisis of Communism / 358
ㆍ 1986.01.28.챌린저호 추락 참사에 대한 연설문 / 364
[원문] The Challenger crew was pulling us into the future / 368
ㆍ 1987.06.12.베를린 장벽의 붕괴 연설문 / 370
[원문] Tear down this wall! / 380
ㆍ 1994.11.15.베내가 알츠하이머병에 걸렸다는 사실을… / 388
■ 조지 W.부시 대통령
ㆍ 2001.01.20.조지 W. 부시 대통령 1기 취임사 / 393
[원문] First Inaugural Address / 401
ㆍ 2001.09.11.조지 W. 부시 대통령 9·11 테러 연설문 / 405
ㆍ 2005.01.20.조지 W. 부시 대통령 2기 취임사 / 409
[원문] Second Inaugural Address / 417
■ 버락 오바마 대통령
ㆍ 2004.07.27. 2004년 민주당 전당대회 기조연설문 / 424
[원문] 2004 Democratic National Convention Keynote Address / 435
ㆍ 2008.08.28.베를린 연설문 / 441
[원문] A World that Stands as One / 446
ㆍ 2012.09.06.버락 오바마 민주당 대통령 후보 수락 연설 / 454
[원문] Barack Obama’s Acceptance Speech / 474
ㆍ 2008.11.04.2008년 버락 오바마 대통령 당선 연설문 / 486
[원문] Yes, We CAN. Yes, We Did / 498
ㆍ 2009.01.20.버락 오바마 대통령 첫 취임 연설문 / 504
[원문] First Inaugural Address / 515
ㆍ 2009.01.31.주례 연설 - 앞으로 전진하기 / 521
ㆍ 2009.06.04.카이로 대학 연설문 / 525
[원문] President Obama Speech to Muslim World in Cairo / 548
ㆍ 2009.07.07.모스크바 신경제학교 연설문 / 556
ㆍ 2009.09.09.의료보험개혁에 관한 연설문 / 572
[원문] Address to Congress on Health Insurance Reform / 593
ㆍ 2009.12.10.오바마 노벨평화상 수상 연설 / 607
[원문] Obama on Nobel Peace Prize / 612
ㆍ 2010.06.07.2010년도의 전 미국 졸업생들에게 / 615
ㆍ 2011.01.12.오바마 투산 추모 연설문 / 620
[원문] Remarks by the President at a Memorial Service for the Victims of the Shooting in Tucson, Arizona / 632
ㆍ 2011.01.24.2011년 국정 연설문 / 639
[원문] / 668
ㆍ 2012.03.26.한국외국어대학교 방문 연설문 / 685
[원문] President Obama Speaks at Hankuk University / 694
ㆍ 2015.01.20. 2015년 국정 연설문 / 703
ㆍ 2015.09.27.오바마 유엔 기후 변화 연설문 / 735
[원문] Remarks by President Obama at U.N. Climate Change Summit / 744
ㆍ 2017.01.10.오바마 고별 연설문 / 749
[원문] Obama Farewell Speech / 770
■ 조 바이든 대통령
ㆍ 2021.01.20.조 바이든 제 46대 미국 대통령 취임 연설문 / 783
[원문] Joe Biden’s inaguration speech / 795
출판사 서평
[ 머리말 ]
촌철살인의 말 한마디로 미국인들을 감동시키고 국력 결집을 이끌어낸 미국 역대 대통령들의 명연설은 과연 어떤 것들일까? 길고 어두운 터널 뒤에 밝은 햇살이 찾아오듯 미국 대통령들의 명연설도 거의 예외없이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 나왔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냉전의 깊은 골짜기는 레이건의 소신있고 과단성 있는 언행을 돋보이게 했고, 남북전쟁은 링컨의 화려한 수사적 기술을 부각시켰으며, 미국의 대공황은 비틀거리던 서민들이 루즈벨트의 지도력에 열광적 지지를 보내게 한 역사적 사건들이었다. 또한 케네디는 국민들에게 오히려 국가에 봉사할 것을 촉구했고, 조지 부시는 9·11이라는 전대미문의 테러 사건을 맞아 충격에 빠진 국민들을 안심시켜 주었다.
미국 시사주간지 ?유에스뉴스&리포트?는 베를린 장벽을 허문 계기가 됐던 로널드 레이건 전 대통령의 ‘브란덴부르크문 연설’을 계기로 ‘역사를 바꿔놓은 미국 대통령들의 7대 명연설’을 선정했다. 연설 전문가인 프랭크 런츠는 이 잡지와 인터뷰에서 “대통령의 연설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흡인력”이라면서 국가적 위기상황 속에서 국민들에게 희망과 용기를 강력하게 불어넣는 지도자의 연설이야말로 명연설로 역사에 기록될 수 있다고 강조한다.
언론과 역사학자들 취향에 따라 조금씩 편차는 있지만 대체로 토머스 제퍼슨, 에이브러햄 링컨, 프랭클린 D. 루즈벨트, 존 F. 케네디, 로널드 레이건의 연설이 ‘베스트 5’였다는데 주저하지 않는다. 최근 버락 오바마의 연설이 명연설의 반열에 올랐다.
제퍼슨의 1801년 취임사는 1800년 선거에서 경쟁 상대인 애런 바와 똑같이 73표를 획득, 하원 표결을 거쳐 어렵사리 대통령에 당선된 케이스다. 초박빙의 표 대결은 공화주의자와 연방주의자 간 반목과 갈등이 원인이었다. 제퍼슨은 이런 갈등과 논란을 불후의 취임사로 불식시켰다. 그는 두 손을 불끈 쥐고 “견해의 차이가 꼭 원칙의 차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면서 “우리는 모두 공화주의자이고 연방주의자다.”라며 국민통합을 촉구했다. 그러면서 “상대를 무너뜨리려고 하는 자는 우리 사회 관용의 상징으로 내버려 두자.”며 화합과 관용을 거듭 당부했다.
링컨의 〈두 번째 대통령 취임연설〉은 1865년 3월 4일 내전으로 양분된 국가의 단합을 강조했던 연설을 했다. “누구에게도 원한 갖지 말고, 모든 이를 사랑하는 마음으로, 신께서 우리더러 보게 하신 그 정의로움에 대한 굳은 확신을 갖고..영원한 평화를 이루는데 도움이 될 모든 일을 다하기 위해 매진하자.”고 호소했다.또한 〈게티스버그 연설〉의 주인공인 링컨의 재선 취임연설은 역대 미 대통령 취임사들 중에서도 백미로 꼽힌다. “국민의, 국민에 의한, 국민을 위한 정부는 이 지상에서 결코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라는 유명한 게티스버그 연설이 명연설로 꼽혔다. 총 266개의 영어 단어로 이뤄진 짧은 연설이었지만, 남북전쟁의 전세가 북군의 승리로 완전히 기울었던 1865년 링컨은 “아무에게도 적의를 품지 말고 모두에게 자선의 마음으로 의로운 편에 굳건히 서서 우리가 처해 있는 일을 끝내도록 노력하자”고 화합을 당부했다. 그러면서 “이 나라의 상처를 봉합하는 데 온 힘을 다하자. 전투에서 쓰러진 사람과 미망인, 고아들을 돌보도록 애쓰자”는 말로 연설을 마무리했다. 비교적 짧았던 이 명연설은 두개의 진영으로 갈라져 극심한 혼란을 겪었던 미 사회를 통합해야 한다는 강한 메시지로 지금까지도 큰 울림을 주고 있다.
프랭클린 루즈벨트의 첫번째 취임연설은 1933년 3월 4일 대공황의 늪에 빠져 있는 미국민들을 향해 “우리가 두려워해야 할 유일한 대상은 오로지 두려움 뿐”이라는 촌철살인의 말 한마디로 용기를 불어넣었다. 당시 1천 300여만 명이 일자리를 잃고 수천 개의 은행, 수만 개의 기업이 도산했을 정도로 처참한 시대였던 점을 감안, “우리가 두려워해야 할 유일한 것은 바로 두려움 그 자체”라는 말로 국민들에게 용기와 위로를 주었다. 한 걸음 더 나아가 “실체 없는 두려움에 떨지 말고 일터로 돌아가 국력을 모아 달라”고 역설했다. 실제로 그는 이 취임사처럼 매사에 솔선수범했고, 강력한 리더십으로 위기에서 벗어났다. 취임 직후 100일 동안 수많은 개혁 법안을 통과시켜 이른바 ‘뉴딜(New Deal) 정책’을 밀어붙였다. 한때 공산주의자라는 비판까지 받았지만, 개혁 정책을 뚝심 있게 밀고 나갔고, ‘노변정담’이란 라디오 연설을 통해 뉴딜정책에 대한 지지를 호소하고 국민에게 자신감과 희망을 심어줬다.
제럴드 포드의 닉슨 〈사임 발표연설문〉은 1974년 8월 9일 미국민들을 분노케 한 워터게이트 사건을 종료를 알리는 연설을 했다. 그는 “친애하는 미국국민 여러분, 기나긴 악몽이 끝났습니다.”라는 짤막한 말로 국민적 단합을 호소했다.
암살로 생을 마감한 ‘비운의 대통령’ 존 F. 케네디는 1961년 1월 20일 미국의 새 세대들에게 자발적 행동을 촉구하는 연설을 했다. “미국인들이여, 여러분의 조국이 당신들에게 무엇을 해 줄 수 있을 것인가를 묻지 말고 여러분들이 조국을 위해 먼저 무엇을 할 것인지 자문해보라.”고 강조, 미국민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대통령에 당선된 지 2년 만인 1963년 11월 22일 암살당한 케네디(향년 46세)는 미국민들 뇌리에 “다소 도발적이지만 설득력 있는”명연설을 남긴 대통령으로 기억된다. 젊고 매력적인 케네디는 취임 연설부터 미국인들을 사로잡았다. “조국이 여러분을 위해 무엇을 해줄지 묻지 말고, 여러분이 조국을 위해 무엇을 할 것인지 자문해 보라.”면서 국민에게도 ‘과제’를 던졌다. 미국 역사상 여섯 번째로 단명한 케네디 대통령도 유명을 달리 한지 벌써 58년이 되는 그가 미국인 가슴을 그렇게 끈질기게 사로잡는 이유는 바로 이런 도발성과 설득력에 있다는 분석도 있다. 명문가 출신으로 기품 있는 외모, 혜안과 지성, 진보에 대한 열정을 가진 반편, 평생 병마로 인한 죽음의 강박에서 벗어나려고 몰입했던 여성 편력에 이르기까지 한 ‘불운한 행운아’의 삶을 산 비운의 대통령이기에 미국인들 기억에 더 오래 남는 것인지도 모른다. 많은 미국인은 지금도 11월 22일 기일忌日이 되면 어김없이 댈러스시 저격 현장을 비롯, 전국 곳곳에서 고인을 추모하는 행사를 하고 있다.
레이건은 그가 취임할 당시 미 경제는 1970년대 두 차례의 석유 파동으로 스태그플레이션이 강타한 암울한 상황이었다.보수주의자인 레이건은 취임사에서 ‘작지만 강한 미국’을 역설했다. 영화배우 출신으로 국민에게 다정다감하게 접근했던 그는 “지금과 같은 위기 상황에서 정부가 문제의 해결책이 아니라, 정부가 바로 문제 그 자체”라는 말로 신新보수주의 이념에 바탕을 둔 ‘작은 정부’의 역할을 설파했다. 그는 “우리의 창조적인 에너지로 국가 부흥의 시대를 열자.”면서 “우리의 의지와 용기, 힘을 되찾자.”고 단결을 호소, 근세 미 역사에 뚜렷한 발자취를 남긴 대통령으로 평가받는다. 온화하면서도 뛰어난 유머감각으로 미국민들에게 큰 인기를 누렸던 레이건은 최근 대선 때마다 ‘미국 공화당의 아이콘’으로 추앙받고 있을 뿐만 아니라 민주당원들로부터도 존경받는 인물로 꼽힌다. 지난 1987년 6월 12일 독일 베를린 브란덴부르크문 앞에서 베를린 장벽 앞에서 “고르바초프 서기장, 이 장벽을 허물어버리세요.”라고 쏘아부쳤다. 헬무트 콜 당시 독일 총리를 비롯, 그 자리에 참석했던 그 누구도 동토의 베를린 장벽이 급격하게 무너져 내릴 것이라고 상상하지 못했다. 하지만 고르바초프 서기장의 개혁(페레스트로이카), 개방(글라스노스트) 정책과 맞물려 불과 2년반 만인 1989년 11월 철옹성같던 베를린 장벽이 급기야 무너졌고, 20세기 냉전의 역사는 사실상 종막을 고했다. 독일 언론들은 전날 레이건의 브란덴부르크 연설 20주년을 맞아 “위대한 커뮤니케이터(레이건 별명)의 이 연설이 세계를 바꿔놓았다”고 칭송했다.레이건의 이 연설은 미 공화당 대선주자들의 ‘레이건 닮기’ 분위기와 재임당시 백악관에서 쓴 일기들을 모아 발간한 ‘레이건의 일기’ 공개와 맞물려 미국인들에게 적잖은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부시는 9·11 테러를 당한지 사흘만인 2001년 9월 14일 뉴욕 무역센터 붕괴현장을 전격 방문했다. 그는 붕괴현장에서 구조대원의 어깨를 감싼 채 확성기를 통해 “이 건물을 붕괴시킨 사람들은 조만간 우리 모두로부터의 목소리를 듣게 될 것”이라며 사실상 대 테러전을 선포했다.
전설로 남겨진 버락 오바마의 5대 명연설은 〈2004년 민주당 전당 대회 기조연설〉, 〈‘오바마 케어’를 통고시킨 상하원 합동 연설〉, 〈보스턴 테러 이후 위로 연설〉, 〈찰스턴 흑인교회 총기 난사 희생자 장례식 연설〉, 〈고별 연설〉 등이다. 8년의 임기를 마치고 백악관을 떠난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인기는 여전하다. 2004년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전당 대회에서 일리노이의 젊은 상원 의원 오바마는 이 한편의 연설로 이름을 알렸다. “저의 아버지의 아버지 할아버지는 영국의 가사 노예였고, 요리사였습니다.” “부모님은 제게 아프리카 말로 이름을 지어주셨습니다. 바로 버락입니다. ‘축복’을 뜻합니다. 이 이름에는 관용의 나라인 미국에서 사람의 이름이 성공의 걸림돌이 될 수 없다는 믿음이 서려 있습니다.” 2005년부터 2013년까지 백악관 수석연설보좌관을 맡은 존 파브로(N.H.,Jon Favreau, 81년생)는 ‘오바마 케어’ 합동연설을 최고의 연설로 꼽았다.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다른 사람의 신발을 신고 서 볼 수 있는 능력, 우리는 모두가 다 같은 처지라는 인식, 그리고 운명이 우리 가운데 한 명을 배반 했을 때 나머지는 기꺼이 손을 내밀어 줄 수 있어야 한다는 사실입니다.” 2013년 4월 18일 보스턴 테러 추모 연설에서 “만약 적들이 우리에게 겁을 주려고 벌인 짓이라면, 그들은 도시를 잘못 골랐습니다.” 오바마는 단 한마디로 깊은 울림을 전했다. 2015년 6월 찰스턴 흑인 교회 총기 난사 희생자의 장례식에서 “놀라운 은총, 얼마나 감리운 소리인가. 나 같은 비참한 사람을 구해주셨네. 한때 길을 잃었으나 지금 인도해주시고 한때 장님이었으나 이제 나 보이네.”라고 하면서 치유와 은총의 메시지가 담긴 찬송가 ‘어메이징 그레이스’를 불러 인종 차별에 대한 분노와 슬픔이 고조된 식장을 감동으로 물들였다. 마지막으로 2017년 1월 10일 시카코에서 열린 고별 연설에서는 2만 명의 지지자들이 몰렸다. 오바마의 고별 연설은 민주주의를 위한 한편의 기도문이었다고 깊은 감동을 선사했다. 오바마는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스스로의 능력을 믿으십시오. 우리는 할 수 있다(Yes We Can). 우리는 이루어냈다(Yes We Did). 우리는 할 수 있다(Yes We Can).”고 말했다. “우리는 할 수 있다.”는 2008년 대선 당시 오바마가 처음 내건 슬로건이다. 이날 연설에서 오바마는 70여 번의 기립 박수를 받았다.
대통령의 취임사는 시대정신이 함축돼 있고, 국가가 처한 난제를 풀어나가야 할 국정 최고지도자의 고민과 철학, 정책이 담겨 있다는 점에서 한 마디 한 마디에 관심이 집중될 수밖에 없다. 또 협력자이면서 경쟁자이기도 한 의회를 설득하고, 국민에게 국정 청사진과 비전을 제시해야 하는 만큼 논리와 설득력, 선명성과 리더십이 담겨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본서는 정치인은 연설문이 자기가 하고자 하는 정치 이념을 담고. 국민에게 어떻게 영혼을 담느냐에 따라 정치인으로서 존재가치가 이루어 질 수가 있다.
또한 미국 대통령의 국정 연설은 헌법에 규정된 대통령의 의무이자, 미국 정치권의 오랜 전통이면서 국민과 대통령이 소통하는 하나의 방법이 되고 있다.
모든 독자에게 멋진 책이 되었으면 한다.
2021년 7월 편저자 사공철
기본정보
ISBN | 9791197406294 | ||
---|---|---|---|
발행(출시)일자 | 2021년 08월 20일 | ||
쪽수 | 696쪽 | ||
크기 |
151 * 224
* 37
mm
/ 857 g
|
||
총권수 | 1권 | ||
이 책의 개정정보 |
새로 출시된 개정판이 있습니다.
개정판보기
|
Klover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리뷰 종류별로 구매한 아이디당 한 상품에 최초 1회 작성 건들에 대해서만 제공됩니다.
판매가 1,000원 미만 도서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일부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불편을 끼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래에 해당하는 Klover 리뷰는 별도의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리뷰는 1인이 중복으로 작성하실 수는 있지만, 평점계산은 가장 최근에 남긴 1건의 리뷰만 반영됩니다.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문장수집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