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시를 읊자 미소 짓다

선문답과 현대시의 교감
고재종 저자(글)
문학들 · 2022년 01월 20일
7.5
10점 중 7.5점
(1개의 리뷰)
공감돼요 (100%의 구매자)
  • 시를 읊자 미소 짓다 대표 이미지
    시를 읊자 미소 짓다 대표 이미지
  • A4
    사이즈 비교
    210x297
    시를 읊자 미소 짓다 사이즈 비교 154x223
    단위 : mm
01 / 02
무료배송 소득공제
10% 22,500 25,000
적립/혜택
1,250P

기본적립

5% 적립 1,250P

추가적립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1,250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300원
배송안내
무료배송
배송비 안내
국내도서/외국도서
도서 포함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도서+사은품 또는 도서+사은품+교보Only(교보굿즈)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교보Only(교보배송)
각각 구매하거나 함께 20,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20,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해외주문 서양도서/해외주문 일본도서(교보배송)
각각 구매하거나 함께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업체배송 상품(전집, GIFT, 음반/DVD 등)
해당 상품 상세페이지 "배송비" 참고 (업체 별/판매자 별 무료배송 기준 다름)
바로드림 오늘배송
업체에서 별도 배송하여 1Box당 배송비 2,500원 부과

1Box 기준 : 도서 10권

그 외 무료배송 기준
바로드림, eBook 상품을 주문한 경우, 플래티넘/골드/실버회원 무료배송쿠폰 이용하여 주문한 경우, 무료배송 등록 상품을 주문한 경우
내일(4/14,월) 도착
기본배송지 기준
배송일자 기준 안내
로그인 : 회원정보에 등록된 기본배송지
로그아웃 : '서울시 종로구 종로1' 주소 기준
로그인정확한 배송 안내를 받아보세요!

이달의 꽃과 함께 책을 받아보세요!

1권 구매 시 결제 단계에서 적용 가능합니다.

알림 신청하시면 원하시는 정보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책 소개

이 책이 속한 분야

수상내역/미디어추천

언어가 필요없는 선과
언어로 표현되는 시의 만남,
선과 시를 함께 아우르는
유례없이 명쾌한 에세이집
‘첫사랑’, ‘면면함에 대하여’, ‘성숙’, ‘수선화, 그 환한 자리’ 등의 시로 우리에게 익숙한 고재종 시인이 불교의 선문답과 현대시의 교감을 다룬 에세이집 『시를 읊자 미소 짓다-선문답과 현대시의 교감』(문학들 刊)을 펴냈다. 『아함경』을 비롯한 각종 경전과 『조주록』 등 여러 선어록에서 52가지의 화두를 고르고, 그에 상응하는 현대시를 접목하여 인간의 삶과 존재에 대한 성찰을 에세이로 풀어 놓았다.
각 장은 주제를 설명하는 도입부, 선문답의 화두, 그리고 해당 화두와 교감할 수 있는 현대시, 이렇게 세 개의 이야기로 구성돼 있다. 불교에서 진리는 문자로는 표현할 수 없는 것이다. 언어로 표현되는 시는 문자 없이는 존립할 수 없다. 〈제1화 부처가 꽃을 들자 가섭이 웃다-정현종 ‘그 꽃다발’〉를 예로 들면, 저자는 언어의 문제로 이야기를 시작한 뒤, 석가모니 세존이 대중에게 꽃을 들어 보였을 때 제자 가섭 존자만이 미소를 지었다는 염화미소(拈華微笑)의 일화를 소개하고, 정현종의 시 ‘그 꽃다발’을 살피면서 선과 시의 교감을 탐색한다.

염화미소와 같은 선이야기와 현대시의 접점을 찾아보는 일은 사실 무모한 일인지도 모른다. 감각과 사유의 언어적 산물인 시가 언어 너머의 실천적 수행에 의한 깨달음의 세계 속에 있는 진실을 어찌 간파할 수 있다는 말인가. 하지만 시에도 온몸으로 부딪치는 체험과 상상력, 그리고 직관에 의한 통찰 등은 세계와 존재의 비의를 가끔씩 들여다보기도 한다. 이는 선 수행에서 지관(止觀)을 통한 오도의 환한 미소를 얻는 것에 비견될 것이다. 정현종의 시에서 보일 듯 말 듯하게 피어나는 미소도 그중 하나가 아닐까. (본문 22쪽)

“만법이 하나로 돌아간다고 했는데, 그 하나는 어디로 돌아갑니까(萬法歸一 一歸何處)?”라는 물음에 조주 선사는 “내가 청주에 있을 때 승복 한 벌을 만들었는데, 그 무게가 일곱 근이었네.”라고 답했다. 『벽암록』 제45칙의 화두였다. 모든 존재가 하나로 돌아간다면, 그 하나는 또 어디로 돌아가냐는 물음에 나는 그저 일곱 근의 승복 한 벌을 입고 오늘도 내 할 일을 할 뿐이라고 답하는 것.
저자는 어느 날 이 화두를 접하고서 더욱 열성적으로 ‘선’ 공부에 빠져들었다고 한다. 그래서 이 책의 서문 제목도 ‘만법귀일 일귀하처(萬法歸一 一歸何處)라는 질문에 대한 공부노트’이다. “이 매력적인 기록, 곧 화두들을 장님 문고리 찾듯 살펴보며 시를 쓰는 나로서는 어쩌면 시와 교감하는 부분이 무척 많겠다 싶었다.”
저자는 불교의 ‘선’을 종교나 철학보다는 하나의 정신문화라고 여긴다. “심원한 영성과 예술적 영감이 일상에서의 회통을 통해 감동의 고공과 심연, 곧 표현할 길 없는 지혜를 얻게” 해준다고 고백한다.

“선은 시요 시는 곧 선이다.”(R. H. 블라이스) 논어에 “시삼백이 사무사(思無邪)”라고 했거늘, 사악함이 단 하나도 없는 생각이란 분별과 차별의 마음을 박살 내야만 의심할 길 없는 깨달음을 얻게 되는 선의 소이연과 다름이 없는 것이다.

선 이야기와 현대시의 접점을 찾아보는 일이 처음에는 무모한 일로 여겨졌다. 감각과 사유의 언어적 산물인 시가 언어 너머의 실천적 수행에 의한 깨달음을 추구하는 그 불립문자의 진실을 어찌 간파할 수 있는가. 하지만 열정과 자유 하나로 부딪치는 체험과 상상력 그리고 직관에 의한 통찰 등을 통해, 단순하고 평범한 일상 속에서도 세계와 존재의 비의를 가끔씩 들여다보는 시가, 선 수행에서 지관(止觀)을 통한 오도의 환한 미소를 얻는 것과 다를 바가 무어 있으랴. 시나 선이나 탁월함의 지혜를 지향하는 무위(無爲, 無位)의 정신인 것을. (이상, 작가의 말, 7쪽)

52개 선 이야기에는 정현종, 황인찬, 이윤학, 문태준, 송찬호, 이준관, 조용미, 반칠환, 최승자, 천양희, 황인숙, 신경림, 김백겸, 문태준, 김명인, 오규원, 이문재, 강은교, 최영철, 정호승, 문인수, 김소월, 황동규, 조지훈, 이성미, 최승호, 김지하, 조은, 문정희, 김행숙, 이시영, 손택수, 심보선, 김상용, 고재종, 박용래, 서정주, 고진하, 남진우, 기형도, 장석남, 김명수, 김형영, 최하림, 김종상, 이홍섭, 박용래 등이 쓴 주옥 같은 작품이 짝을 이룬다.
저자는 이 책이 깨달음을 추구하는 이들에게 ‘작은 방편지혜’를 제공해 줄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고재종 시인은 전남 담양에서 태어나 1984년 실천문학 신작시집 『시여 무기여』에 「동구밖집 열두 식구」 등 7편을 발표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시집으로 『바람부는 솔숲에 사랑은 머물고』, 『새벽 들』, 『사람의 등불』, 『날랜 사랑』, 『앞강도 야위는 이 그리움』, 『그때 휘파람새가 울었다』, 『쪽빛 문장』, 『꽃의 권력』, 『고요를 시청하다』와 육필시선집 『방죽가에서 느릿느릿』이 있고, 산문집으로 『쌀밥의 힘』, 『사람의 길은 하늘에 닿는다』, 『감탄과 연민』과 시론집 『주옥시편』, 『시간의 말』이 있다. 신동엽문학상, 시와시학상 젊은시인상, 소월시문학상, 영랑시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작가정보

저자(글) 고재종

고재종

전남 담양에서 태어나 1984년 실천문학 신작시집 『시여 무기여』에 「동구밖집 열두 식구」 등 7편을 발표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시집으로 『바람부는 솔숲에 사랑은 머물고』, 『새벽 들』, 『사람의 등불』, 『날랜 사랑』, 『앞강도 야위는 이 그리움』, 『그때 휘파람새가 울었다』, 『쪽빛 문장』, 『꽃의 권력』, 『고요를 시청하다』와 육필시선집 『방죽가에서 느릿느릿』이 있고, 산문집으로 『쌀밥의 힘』, 『사람의 길은 하늘에 닿는다』, 『감탄과 연민』과 시론집 『주옥시편』, 『시간의 말』이 있다. 신동엽문학상, 시와시학상 젊은시인상, 소월시문학상, 영랑시문학상 등을 수상했으며 한국작가회의 부이사장을 역임했다.

목차

  • 작가의 말 4

    제1화 부처가 꽃을 들자 가섭이 웃다 15
    - 정현종, 「그 꽃다발」
    제2화 세존은 한참 동안 그대로 앉아 있었다 25
    - 황인찬, 「단 하나의 백자가 있는 방」
    제3화 내려놓아라 35
    - 이윤학, 「제비」
    제4화 죽은 부처가 맨발을 내보이다 44
    - 문태준, 「맨발」
    제5화 유마가 불이법문에 대해 침묵하다 53
    - 송찬호, 「나비」
    제6화 텅 비어서 성스러운 것이 없습니다 62
    - 이준관, 「부엌의 불빛」
    제7화 네 마음을 벌써 편안케 해주었노라 71
    - 조용미, 「불안은 영혼을 잠식한다」·김언희, 「불안은 불안을 잠식한다」
    제8화 죄를 씻어주었노라, 누가 너를 묶었느냐 80
    - 반칠환, 「먹은 죄」
    제9화 제 성은 불성(佛性)입니다 89
    - 최승자, 「일찍이 나는」
    제10화 본래 한 물건도 없거늘 98
    - 천양희, 「마음의 수수밭」
    제11화 선도 악도 생각지 마라 111
    - 황인숙, 「말의 힘」
    제12화 움직이는 건 마음이라오 120
    - 신경림, 「갈대」
    제13화 손가락으로 달을 가리키다 129
    - 김백겸, 「달의 문법에 관한 시」
    제14화 어떤 물건이 이렇게 왔는고? 138
    - 문태준, 「꽃들」
    제15화 좌선한다고 부처가 되겠느냐 147
    - 김명인, 「화엄에 오르다」
    제16화 이것이 무엇인가? 156
    - 오규원, 「나비」
    제17화 이 마음이 곧 부처다 165
    - 이문재, 「마음의 오지」
    제18화 일면불 월면불이다 174
    - 강은교, 「自轉 1」
    제19화 배고프면 밥 먹고 졸리면 잔다 185
    - 최영철, 「인연」
    제20화 만물은 나와 한 몸이지요 194
    - 정호승, 「들녘」·오규원, 「物物과 나」
    제21화 일원상(一圓相) 가운데 앉았다 203
    - 문인수, 「달북」
    제22화 남전이 고양이를 베다 212
    - 오규원, 「새와 집」
    제23화 개에게도 불성이 있습니까? 221
    - 오규원, 「봄과 길」
    제24화 뜰 앞의 잣나무니라 230
    - 김소월, 「山有花」
    제25화 평상심이 도다 239
    - 황동규, 「버클리풍의 사랑노래」
    제26화 지극한 불도는 어려움이 없다 248
    - 정현종, 「바보 만복이」
    제27화 비가 오지 않아도 꽃은 진다 261
    - 조지훈, 「낙화」
    제28화 차 마시게 270
    - 이성미, 「네가 꿈꾸는 것은」
    제29화 만법은 하나로 돌아간다 279
    - 최승호, 「공터」
    제30화 임제 스님이 곧바로 고함쳤다 289
    - 김지하, 「花開」
    제31화 버들은 푸르고 꽃은 붉다 298
    - 조은, 「모란을 보러 갔다」
    제32화 부처를 태워서 사리를 얻으려 하오 307
    - 문정희, 「돌아가는 길」
    제33화 산에 핀 꽃 비단결 같구나 316
    - 김행숙, 「따뜻한 마음」
    제34화 주인공! 깨어 있는가 325
    - 문정희, 「꽃의 선언」
    제35화 말없이 부채질만 할 뿐 334
    - 이시영, 「라일락 향」·정현종, 「사물(事物)의 꿈 1-나무의 꿈」
    제36화 황금빛 털 사자로다 343
    - 손택수, 「있는 그대로, 라는 말」
    제37화 날마다 좋은 날이지 352
    - 심보선, 「좋은 일들」
    제38화 무엇이 진진삼매(塵塵三昧)입니까? 363
    - 김상용, 「남으로 창을 내겠소」
    제39화 좋은 일도 없었던 것만 못하다 372
    - 고재종, 「맑은 눈」
    제40화 체로금풍(體露金風)이지 381
    - 박용래, 「濁盃器」
    제41화 음악을 바치다 391
    - 서정주, 「上里果園」 부분
    제42화 좋은 술을 석 잔이나 마시고도 401
    - 고진하, 「시래기밥」
    제43화 백척간두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갈 수 있는가 410
    - 남진우, 「카프카」
    제44화 어떤 것이 반야의 본체입니까? 420
    - 오규원, 「발자국의 깊이」
    제45화 일체의 모든 소리가 부처의 소리다 430
    - 기형도, 「소리의 뼈」
    제46화 어떤 것이 취모검입니까? 439
    - 장석남, 「무지개의 집」
    제47화 죽비는 죽비이고 죽비가 아니다 448
    - 김명수, 「선창 술집」
    제48화 그대는 혜초다 457
    - 김형영, 「나」
    제49화 향기로운 풀을 따라 갔다가 466
    - 최하림, 「강이 흐르는 것만으로도」
    제50화 줄탁동시(?琢同時) 475
    - 김종상, 「선생님과 1학년」
    제51화 추위와 더위가 없는 곳이 어디입니까? 484
    - 이홍섭, 「서귀포」
    제52화 사구(四句)를 여의고 백비(百非)를 떠나서 494
    - 박용래, 「저녁 눈」

    중국 선종 법맥의 계보 504
    참고한 책들 506

기본정보

상품정보 테이블로 ISBN, 발행(출시)일자 , 쪽수, 크기, 총권수을(를) 나타낸 표입니다.
ISBN 9791191277357
발행(출시)일자 2022년 01월 20일
쪽수 512쪽
크기
154 * 223 * 47 mm / 829 g
총권수 1권

Klover 리뷰 (1)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10점 중 7.5점
/공감돼요
선과 시의 만남
흥미롭게 음미하면서 읽고 있습니다

문장수집 (0)

문장수집 안내
문장수집은 고객님들이 직접 선정한 책의 좋은 문장을 보여주는 교보문고의 새로운 서비스입니다. 마음을 두드린 문장들을 기록하고 좋은 글귀들은 "좋아요“ 하여 모아보세요. 도서 문장과 무관한 내용 등록 시 별도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리워드 안내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드립니다.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판매가 5,000원 미만 상품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이 책의 첫 기록을 남겨주세요.

교환/반품/품절 안내

  • 반품/교환방법

    마이룸 > 주문관리 > 주문/배송내역 > 주문조회 > 반품/교환 신청, [1:1 상담 > 반품/교환/환불] 또는 고객센터 (1544-1900)
    * 오픈마켓, 해외배송 주문, 기프트 주문시 [1:1 상담>반품/교환/환불] 또는 고객센터 (1544-1900)
  • 반품/교환가능 기간

    변심반품의 경우 수령 후 7일 이내,
    상품의 결함 및 계약내용과 다를 경우 문제점 발견 후 30일 이내
  • 반품/교환비용

    변심 혹은 구매착오로 인한 반품/교환은 반송료 고객 부담
  • 반품/교환 불가 사유

    1) 소비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상품 등이 손실 또는 훼손된 경우
    (단지 확인을 위한 포장 훼손은 제외)
    2)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악세서리 포함) 등
    3)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예) 음반/DVD/비디오,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4)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1)해외주문도서)
    5) 디지털 컨텐츠인 ebook, 오디오북 등을 1회이상 ‘다운로드’를 받았거나 '바로보기'로 열람한 경우
    6)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7)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8) 세트상품 일부만 반품 불가 (필요시 세트상품 반품 후 낱권 재구매)
    9) 기타 반품 불가 품목 - 잡지, 테이프, 대학입시자료, 사진집, 방통대 교재, 교과서, 만화, 미디어전품목, 악보집, 정부간행물, 지도, 각종 수험서, 적성검사자료, 성경, 사전, 법령집, 지류, 필기구류, 시즌상품, 개봉한 상품 등
  • 상품 품절

    공급사(출판사) 재고 사정에 의해 품절/지연될 수 있으며, 품절 시 관련 사항에 대해서는 이메일과 문자로 안내드리겠습니다.
  • 소비자 피해보상 환불 지연에 따른 배상

    1) 상품의 불량에 의한 교환, A/S, 환불, 품질보증 및 피해보상 등에 관한 사항은 소비자분쟁 해결 기준 (공정거래위원회 고시)에 준하여 처리됨
    2) 대금 환불 및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함

상품 설명에 반품/교환 관련한 안내가 있는 경우 그 내용을 우선으로 합니다. (업체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