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한국 광업사

근대 이전을 중심으로
이정인 , 이태섭 저자(글)
에스티엔 · 2021년 08월 10일
10.0
10점 중 10점
(1개의 리뷰)
도움돼요 (100%의 구매자)
  • 한국 광업사 대표 이미지
    한국 광업사 대표 이미지
  • A4
    사이즈 비교
    210x297
    한국 광업사 사이즈 비교 153x226
    단위 : mm
01 / 02
무료배송 소득공제
10% 22,500 25,000
적립/혜택
1,250P

기본적립

5% 적립 1,250P

추가적립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1,250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300원
배송안내
무료배송
배송비 안내
국내도서/외국도서
도서 포함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도서+사은품 또는 도서+사은품+교보Only(교보굿즈)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교보Only(교보배송)
각각 구매하거나 함께 20,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20,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해외주문 서양도서/해외주문 일본도서(교보배송)
각각 구매하거나 함께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업체배송 상품(전집, GIFT, 음반/DVD 등)
해당 상품 상세페이지 "배송비" 참고 (업체 별/판매자 별 무료배송 기준 다름)
바로드림 오늘배송
업체에서 별도 배송하여 1Box당 배송비 2,500원 부과

1Box 기준 : 도서 10권

그 외 무료배송 기준
바로드림, eBook 상품을 주문한 경우, 플래티넘/골드/실버회원 무료배송쿠폰 이용하여 주문한 경우, 무료배송 등록 상품을 주문한 경우
4/1(화) 출고예정
기본배송지 기준
배송일자 기준 안내
로그인 : 회원정보에 등록된 기본배송지
로그아웃 : '서울시 종로구 종로1' 주소 기준
로그인정확한 배송 안내를 받아보세요!

이달의 꽃과 함께 책을 받아보세요!

1권 구매 시 결제 단계에서 적용 가능합니다.

알림 신청하시면 원하시는 정보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반만년의 유구한 역사와 문화를 가진 우리나라는 원시 및 고대 국가시대에 해당하는 석기, 청동기 및 철기시대를 거치면서 인류 생활에 필요한 여러 가지 도구를 만들기 위하여 금속 및 비금속광물 자원을 개발하여 활용해 왔다. 우리나라 광업은 원시 공동체 사회에서부터 시작하여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수천 년 동안 맥을 이어오고 있으며, 광업 활동을 통하여 그 시대 국가 산업의 소재와 원료 자원의 조달이란 중요한 역할을 해 왔다. 따라서 광업사에 대한 이해와 이를 위한 교육 연구는 광업과 관련된 업무에 종사하는 이들을 위해서는 물론 일반인의 교양을 위해서도 “온고지신(溫故知新)”과 “법고창신(法古創新)”의 정신에서 반드시 필요하다.

1차 산업혁명과 2차 산업혁명에 의하여 획기적으로 발전한 서양의 광업 기술이 도입되기 시작한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를 전후하여 우리나라에서는 근대적인 광산개발이 시작되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광업은 대략적으로 20세기 초를 전후하여 근대 이전 광업과 근대 광업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시대 구분의 기준이 되는 서양의 광업 근대화 과정에 대하여 알아볼 필요가 있다.

작가정보

저자(글) 이정인

李正仁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광산학과(현 에너지자원공학과 전신)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공학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일본 도호쿠(東北)대학에서 자원공학으로 공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32년간 서울
대학교(공과대학 에너지자원공학) 교수로 봉직하였다. 재직 중에는 한국자원공학회 회장, 한국암반공학회 회장, 한국지반공학회 부회장, 국제암반공학회(ISRM) 부회장 등을 역임하였고, 전공 분야인 암반공학 및 자원개발공학에 관한 230 여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대한민국 과학기술훈장 혁신장을 수상하였다. 현재는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한국공학한림원 원로회원, 국제암반공학회 석학회원, 중국 동북대학(東北大學) 명예 교수로 있다.

저자(글) 이태섭

李泰燮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자원공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공학석사학위를 받았으며, 미국 Colorado School of Mines 에서 응용지구
물리학으로 공학박사학위를 받았다. 30여 년간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연구원으로 입사
하여 연구원장(2002.12~2008.06)으로 봉직
하였고, 재직 중에는 한국자원공학회장, 과학기술
출연기관장협의회장, 환경관련기관장협의회장 등을 역임하였고, 대한민국 과학기술훈장 혁신장을 수상하였다. 퇴직 후에는 공주대학교 초빙교수, 세종대학교 연구교수로 활동하였으며, 현재는 한국
지질자원연구원 명예연구원, 한국공학한림원 원로
회원, (사)국가생존기술연구회 고문, (주)쎄임코리아 부회장으로 있다.

목차

  • 제1장 원시 공동체 사회 및 고대 국가의 광업 002
    제1절 원시 공동체 사회의 광업 003
    1. 광업 발생과 선행 조건 003
    2. 신석기시대 홍산문화의 옥기광업 006
    3. 청동기 및 초기 철기시대의 광업 019
    제2절 원삼국시대의 광업 063
    1. 부여의 광업 063
    2. 진국(삼한)의 광업 070
    제2장 삼국시대와 남북국시대의 광업 082
    제1절 고구려의 광업 083
    1. 평양 천도 이전의 철광업 083
    2. 평양 천도 이후의 철광업 090
    3. 고구려의 금·은·동광업 091
    4. 비금속 광물의 생산 097
    제2절 백제의 광업 101
    1. 철광업 101
    2. 금·은·동광업 107
    3. 백제 철광업 및 야금 기술이 일본에 미친 영향 114
    제3절 신라의 광업 115
    1. 철광업 118
    2. 금·은·동광업 121
    3. 신라 금관의 성분조성 분석 127
    4. 동제련 유적지 129
    제4절 발해의 광업 130
    1. 철광업 131
    2. 금·은·동광업 134
    3. 비금속 광물 138
    제5절 후기신라의 광업 140
    1. 철광업 141
    2. 금·은·동광업 144
    3. 비금속 광물 151
    제3장 고려 시대의 광업 156
    제1절 고려 전반기 광업의 국가 지배권 강화 156
    제2절 철광업 158
    1. 철에 대한 국가적 수요의 증대 158
    2. 철광석 산지의 확대 160
    3. 철광석 채굴 및 처리 기술의 발전 162
    제3절 비철금속광업 163
    1. 금·은광업의 확대 발전 163
    2. 금·은광석 산지의 증가 165
    3. 채금 기술의 발전 167
    4. 동광업의 발전 170
    5. 연·아연 광업의 발전 179
    제4절 비금속광업 180
    1. 보석 광물의 생산 180
    2. 고령토 생산 183
    제5절 고려의 ‘소(所)’ 광산 마을 186
    제6절 고려 후반기 광업의 변화 190
    제4장 조선 시대의 광업 198
    제1절 조선 전기(15~16세기)의 광업 200
    1. 광물 탐사 기술의 발전과 탐사 장려 정책 200
    2. 철광산의 개발과 발전 216
    3. 비철금속광산의 개발 232
    4. 비금속광상의 개발 255
    5. 갱 채굴과 야금 기술의 발전 280
    6. 광업의 경영관리 형태 290
    제2절 조선 후기(17~19세기 중엽)의 광업 315
    1. 광물 탐사와 광상 개발 315
    2. 갱 굴착과 야금 기술의 발전 336
    3. 광업의 성장과 광산물 유통과정의 확대 351
    4. 광업의 경영 관리 형태 370
    5. 실학에서의 광업론 399
    제3절 대한제국의 광업 개방과 서양 광업 기술의 도입 411
    1. 문호 개방과 열강 제국과의 수호 조약 411
    2. 서양 광업 기술의 발전 412
    3. 대한제국의 성립과 최초의 한국 광업법 공포 413
    4. 광산개발의 외국인에 대한 개방 및 근대 광업 기술의 도입 421
    부 록 424
    참고문헌 428
    찾아보기 433
    표 목록 453

책 속으로

머리말

반만년의 유구한 역사와 문화를 가진 우리나라는 원시 및 고대 국가시대에 해당하는 석기, 청동기 및 철기시대를 거치면서 인류 생활에 필요한 여러 가지 도구를 만들기 위하여 금속 및 비금속광물 자원을 개발하여 활용해 왔다. 우리나라 광업은 원시 공동체 사회에서부터 시작하여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수천 년 동안 맥을 이어오고 있으며, 광업 활동을 통하여 그 시대 국가 산업의 소재와 원료 자원의 조달이란 중요한 역할을 해 왔다. 따라서 광업사에 대한 이해와 이를 위한 교육 연구는 광업과 관련된 업무에 종사하는 이들을 위해서는 물론 일반인의 교양을 위해서도 “온고지신(溫故知新)”과 “법고창신(法古創新)”의 정신에서 반드시 필요하다.

1차 산업혁명과 2차 산업혁명에 의하여 획기적으로 발전한 서양의 광업 기술이 도입되기 시작한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를 전후하여 우리나라에서는 근대적인 광산개발이 시작되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광업은 대략적으로 20세기 초를 전후하여 근대 이전 광업과 근대 광업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시대 구분의 기준이 되는 서양의 광업 근대화 과정에 대하여 알아볼 필요가 있다.

서양의 근대 광업은 1782년 제임스 와트의 증기기관 발명으로 시작된 1차 산업혁명과 1866년 지멘스가 처음으로 전자석을 이용하여 대형 전기 발전기를 발명한 2차 산업혁명의 영향으로 시작되었다. 1812년 석탄 절삭기, 1876년 착암기 등이 채탄 및 채광에 사용되기 시작하였고, 갱내 배수펌프의 도입, 갱내외 광석 운반과 선광시설이 기계화되면서 획기적으로 기술이 발전하였다.
광산개발을 위한 교육기관으로 프랑스 파리에 최초로 광산학교(Ecole de Mine)가 설립되고(1783년), 1851년 영국 런던에 왕립 광산학교(Royal School of Mines), 이어 1864년 미국 최초의 광산학교인 콜롬비아 대학이 설립됨으로써 광산개발의 근대화가 촉진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고종 18년(1881년)에 그동안 민간에게 금해왔던 금, 은 채광을 탁지부(당시의 재무부) 수세의 예에 따라 채굴을 민간에게도 허가한다는 칙령이 발표되었다. 이에 따라 외국인에게도 광산 개발의 문호를 개방하여 고종 28년(1891년)에 일본인 우마키겐조(馬木建三)에게 경남 창원군 용장의 금·동광 채굴권이 허가되고, 고종 33년(1896년)에 미국인 모스(James R. Morse)에게 평북 운산의 금광 채굴권이 허가되었다. 일본인 우마키에게는 10년 시한부로 허가하였지만 미국인 모스는 2년 후 동양광업회사를 설립하고 1939년까지 운영하면서 서양의 근대 광업 기술이 많이 전수되었다.
.
.
.
.
.
.
[이하생략]

기본정보

상품정보 테이블로 ISBN, 발행(출시)일자 , 쪽수, 크기, 총권수을(를) 나타낸 표입니다.
ISBN 9791190505208
발행(출시)일자 2021년 08월 10일
쪽수 468쪽
크기
153 * 226 * 22 mm / 689 g
총권수 1권

Klover 리뷰 (1)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10점 중 10점
/도움돼요
한말까지 다룬 광업분야 통사입니다~귀중한 책 내주셔서 저자께 감사~

문장수집 (0)

문장수집 안내
문장수집은 고객님들이 직접 선정한 책의 좋은 문장을 보여주는 교보문고의 새로운 서비스입니다. 마음을 두드린 문장들을 기록하고 좋은 글귀들은 "좋아요“ 하여 모아보세요. 도서 문장과 무관한 내용 등록 시 별도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리워드 안내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드립니다.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판매가 5,000원 미만 상품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이 책의 첫 기록을 남겨주세요.

교환/반품/품절 안내

  • 반품/교환방법

    마이룸 > 주문관리 > 주문/배송내역 > 주문조회 > 반품/교환 신청, [1:1 상담 > 반품/교환/환불] 또는 고객센터 (1544-1900)
    * 오픈마켓, 해외배송 주문, 기프트 주문시 [1:1 상담>반품/교환/환불] 또는 고객센터 (1544-1900)
  • 반품/교환가능 기간

    변심반품의 경우 수령 후 7일 이내,
    상품의 결함 및 계약내용과 다를 경우 문제점 발견 후 30일 이내
  • 반품/교환비용

    변심 혹은 구매착오로 인한 반품/교환은 반송료 고객 부담
  • 반품/교환 불가 사유

    1) 소비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상품 등이 손실 또는 훼손된 경우
    (단지 확인을 위한 포장 훼손은 제외)
    2)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악세서리 포함) 등
    3)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예) 음반/DVD/비디오,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4)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1)해외주문도서)
    5) 디지털 컨텐츠인 ebook, 오디오북 등을 1회이상 ‘다운로드’를 받았거나 '바로보기'로 열람한 경우
    6)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7)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8) 세트상품 일부만 반품 불가 (필요시 세트상품 반품 후 낱권 재구매)
    9) 기타 반품 불가 품목 - 잡지, 테이프, 대학입시자료, 사진집, 방통대 교재, 교과서, 만화, 미디어전품목, 악보집, 정부간행물, 지도, 각종 수험서, 적성검사자료, 성경, 사전, 법령집, 지류, 필기구류, 시즌상품, 개봉한 상품 등
  • 상품 품절

    공급사(출판사) 재고 사정에 의해 품절/지연될 수 있으며, 품절 시 관련 사항에 대해서는 이메일과 문자로 안내드리겠습니다.
  • 소비자 피해보상 환불 지연에 따른 배상

    1) 상품의 불량에 의한 교환, A/S, 환불, 품질보증 및 피해보상 등에 관한 사항은 소비자분쟁 해결 기준 (공정거래위원회 고시)에 준하여 처리됨
    2) 대금 환불 및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함

상품 설명에 반품/교환 관련한 안내가 있는 경우 그 내용을 우선으로 합니다. (업체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