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를 위한 실용 전자공학
도서+교보Only(교보배송)을 함께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20,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1Box 기준 : 도서 10권
알림 신청하시면 원하시는 정보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해외주문/바로드림/제휴사주문/업체배송건의 경우 1+1 증정상품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패키지
북카드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책 소개
이 책이 속한 분야
작가정보
저자(글) 폴 슈레즈
위스콘신 대학교에서 물리학 석사 학위를 받고 시스템 운영 관리자로 일하고 있으며, 전자공학 분야에 관심 많은 발명가이기도 하다. 대학교의 원자핵공학 및 기초공학 부서와 플라스마 물리학 부서에서 능력을 인정받고 있다.
저자(글) 사이먼 몽크
사이버네틱스와 컴퓨터 과학 분야의 석사 학위를 취득한 소프트웨어 공학 박사다. 산업 현장으로 복귀하기 전에 대학에 다년간 있었고, 모바일 소프트웨어 회사인 모모트(Momote) 주식회사의 공동 설립자이기도 하다. 전자공학과 오픈소스 하드웨어 분야에서 잘 알려진 전업 작가다. 다양한 전자공학 도서들을 저술했는데, 그중에는 《스케치로 시작하는 아두이노 프로그래밍》(Programming Arduino), 《해킹 일렉트로닉스》(Hacking Electronics), 《파이썬으로 시작하는 라즈베리 파이》(Programming the Raspberry Pi) 등이 있다.
번역 박진수
다양한 정보기술 분야 경력과 저술/번역 경험을 바탕으로 IT 융·복합 사업을 꿈꾸는, 1인 회사 ‘리율’의 대표다. 옮긴 책으로는 《해킹 일렉트로닉스》와 《ggplot2》 등이 있다.
목차
- 옮긴이 머리말
머리말
베타리더 후기
CHAPTER 1 전자공학 소개 1
CHAPTER 2 이론 5
2.1 전자공학 이론 5
2.2 전류 6
2.2.1 전류의 실상 9
2.3 전압 9
2.3.1 전압 메커니즘 11
2.3.2 전압과 일반 전력 법칙의 정의 14
2.3.3 전지 결합 15
2.3.4 그 밖의 전압원 16
2.3.5 물에 비유하기 17
2.4 전도 현상의 미시적 고찰 18
2.4.1 전압 인가 21
2.5 저항, 저항률, 전도율 23
2.5.1 도체의 모양이 저항에 영향을 주는 방식 24
2.5.2 저항률과 전도율 25
2.6 부도체, 도체, 반도체 28
2.7 열과 전력 31
2.8 열전달 및 열저항 34
2.8.1 전열기를 다룰 때 유의할 점 37
2.9 와이어 게이지 38
2.10 접지 40
2.10.1 대지 접지 41
2.10.2 접지 기호의 다른 형식 45
2.10.3 땅에 느슨하게 늘어뜨려 접지하기 46
2.11 전기회로 49
2.12 옴의 법칙과 저항기 50
2.12.1 저항기의 전력 정격 51
2.12.2 병렬 저항기 52
2.12.3 직렬로 둔 저항기 55
2.12.4 복잡한 저항기 회로망 간소화 58
2.12.5 다중 전압 분할기 60
2.13 전압원과 전류원 62
2.14 전압, 전류, 저항 측정 65
2.15 전지 연결 67
2.16 개방 회로와 단락 회로 68
2.17 키르히호프의 법칙 70
2.18 중첩 정리 75
2.19 테브난의 정리와 노턴의 정리 76
2.19.1 테브난의 정리 76
2.19.2 노턴의 정리 78
2.20 교류 회로 80
2.20.1 교류 생성 81
2.20.2 교류와 물의 비교 82
2.20.3 맥동성 직류 83
2.20.4 정현파 원천 결합 83
2.20.5 교류 파형 84
2.20.6 교류 파형 서술 85
2.20.7 주파수와 단주기 86
2.20.8 위상 86
2.21 교류와 저항기, RMS 전압, 전류 88
2.22 주전력 92
2.23 커패시터 95
2.23.1 정전용량 결정 97
2.23.2 상용 커패시터 99
2.23.3 전압 정격 및 절연 파괴 100
2.23.4 맥스웰의 변위 전류 100
2.23.5 커패시터를 통한 전하 기반 전류 모델 102
2.23.6 물에 비유하는 커패시터 104
2.23.7 커패시터 내 에너지 105
2.23.8 RC 시간 상수 106
2.23.9 표류 정전용량 108
2.23.10 병렬로 둔 커패시터 108
2.23.11 직렬로 둔 커패시터 109
2.23.12 커패시터 내 교류 전류 110
2.23.13 용량성 반응저항 111
2.23.14 용량 분할기 113
2.23.15 품질 계수 113
2.24 인덕터 114
2.24.1 전자기학 115
2.24.2 자기장과 그 영향 117
2.24.3 자체 인덕턴스 121
2.24.4 인덕터 122
2.24.5 물에 비유해 보는 인덕터 127
2.24.6 인덕터 방정식 128
2.24.7 인덕터 내 에너지 132
2.24.8 인덕터 심 133
2.24.9 인덕터 방정식 이해하기 138
2.24.10 RL 회로 가압 141
2.24.11 감압 RL 회로 143
2.24.12 스위칭으로 인한 전압 스파이크 145
2.24.13 곧은 전선의 인덕턴스 147
2.24.14 상호 인덕턴스와 자기 결합 148
2.24.15 부당한 결합 스파이크, 번개, 그 밖의 파동 149
2.24.16 직렬 또는 병렬로 둔 인덕터 149
2.24.17 교류와 인덕터 150
2.24.18 유도 반응저항 151
2.24.19 이상적이지 않은 인덕터 모형 153
2.24.20 품질 계수 154
2.24.21 인덕터 응용기기 155
2.25 복잡한 회로 모델링 155
2.26 복소수 159
2.27 정현파원이 있는 회로 164
2.27.1 복소 임피던스를 사용한 정현파 회로 분석 164
2.27.2 복소수로 표현하는 정현파 전압원 167
2.27.3 반응 회로의 이상 현상 175
2.28 교류 회로 내 전력(피상 전력, 유효 전력, 반응 전력) 176
2.28.1 역률 178
2.29 교류 형태에 관한 테브난의 정리 186
2.30 공진 회로 188
2.30.1 RLC 회로 내 공진 191
2.30.2 품질 계수 Q와 대역폭 193
2.30.3 대역폭 194
2.30.4 RLC 공진 회로 내 부품 간 전압 강하 195
2.30.5 커패시터 손실 195
2.30.6 병렬 공진 회로 196
2.30.7 부하 회로의 Q 202
2.31 데시벨 강의 204
2.31.1 데시벨을 대체하는 표시 206
2.32 입력 및 출력 임피던스 207
2.32.1 입력 임피던스 207
2.32.2 출력 임피던스 208
2.33 2포트 회로망과 필터 210
2.33.1 필터 210
2.33.2 감쇠기 220
2.34 과도 회로 222
2.34.1 직렬 RLC 회로 230
2.35 주기적 비정현파원이 있는 회로 235
2.35.1 푸리에 급수 235
2.36 비주기적 원천 241
2.37 스파이스 244
2.37.1 스파이스의 작동 방식 245
2.37.2 스파이스 및 그 밖의 시뮬레이터의 한계 248
2.37.3 간단한 시뮬레이션 사례 248
CHAPTER 3 기본 전기 회로 부품 251
3.1 전선, 케이블, 커넥터 251
3.1.1 전선 251
3.1.2 케이블 254
3.1.3 커넥터 255
3.1.4 배선 기호와 커넥터 기호 258
3.1.5 전선 및 케이블 내 고주파 효과 259
3.2 전지 269
3.2.1 셀의 작동 방식 270
3.2.2 1차 전지 271
3.2.3 1차 전지 비교 272
3.2.4 2차 전지 275
3.2.5 전지 용량 283
3.2.6 전지 내 내부전압 강하에 관한 참고사항 285
3.3 스위치 286
3.3.1 스위치 작동 방식 286
3.3.2 스위치에 관한 설명 286
3.3.3 스위치 종류 288
3.3.4 간단한 스위치 응용기기 290
3.4 계전기 291
3.4.1 특수한 계전기 292
3.4.2 계전기에 관한 몇 가지 주의사항 293
3.4.3 간단한 계전기 회로 중 일부 294
3.5 저항기 295
3.5.1 저항과 옴의 법칙 296
3.5.2 직렬이나 병렬로 둔 저항기 297
3.5.3 저항기 레이블 판독 300
3.5.4 실물 저항기 특성 302
3.5.5 저항기 종류 309
3.5.6 가변 저항기(가감저항기, 전위차계, 트리머) 315
3.5.7 전위차계 특성 317
3.6 커패시터 320
3.6.1 정전용량 321
3.6.2 병렬로 둔 커패시터 322
3.6.3 직렬로 둔 커패시터 322
3.6.4 RC 시간 상수 323
3.6.5 용량성 반응저항 324
3.6.6 실물 커패시터 325
3.6.7 커패시터 사양 325
3.6.8 커패시터 종류 329
3.6.9 커패시터 응용기기 337
3.6.10 타이밍과 표본 유지 343
3.6.11 RC 잔결 필터 344
3.6.12 아크 억제 346
3.6.13 슈퍼커패시터 응용기기 348
3.6.14 문제 348
3.7 인덕터 351
3.7.1 인덕턴스 352
3.7.2 인덕터 구축 353
3.7.3 직렬 및 병렬 인덕터 354
3.7.4 RL 시간 상수 354
3.7.5 유도 반응저항 355
3.7.6 실물 인덕터 356
3.7.7 인덕터 사양 356
3.7.8 인덕터 종류 358
3.7.9 인덕터 레이블 판독 361
3.7.10 인덕터 응용기기 363
3.7.11 EMI/EMC 설계 기법 366
3.8 변압기 368
3.8.1 기본 동작 368
3.8.2 변압기 제작 379
3.8.3 단권변압기와 가변 변압기 380
3.8.4 회로 격리와 격리 변압기 383
3.8.5 다양한 표준 변압기와 특수 변압기 384
3.8.6 변압기 응용기기 385
3.9 퓨즈와 회로 차단기 390
3.9.1 퓨즈와 회로 차단기 형식 391
CHAPTER 4 반도체 393
4.1 반도체 기술 393
4.1.1 반도체란 무엇인가? 393
4.1.2 실리콘 응용기기 398
4.2 다이오드 399
4.2.1 PN 접합 다이오드의 작동 방식 399
4.2.2 물에 비유해 본 다이오드 401
4.2.3 정류기/다이오드 종류 402
4.2.4 실용적인 고려사항 403
4.2.5 다이오드/정류기 응용기기 404
4.2.6 제너 다이오드 412
4.2.7 제너 다이오드 응용기기 415
4.2.8 버랙터 다이오드(가변 용량 다이오드) 416
4.2.9 PIN 다이오드 418
4.2.10 마이크로파 다이오드(IMPATT, 건, 터넬 등) 418
4.2.11 문제 419
4.3 트랜지스터 421
4.3.1 트랜지스터 소개 421
4.3.2 양극성 트랜지스터 422
4.3.3 접합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441
4.3.4 금속 산화물 반도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451
4.3.5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GBT) 460
4.3.6 단접합 트랜지스터 461
4.4 사이리스터 465
4.4.1 소개 465
4.4.2 실리콘 제어 정류기 466
4.4.3 실리콘 제어 스위치 469
4.4.4 트라이액 470
4.4.5 4층 다이오드와 다이액 473
4.5 과도 전압 억제기 474
4.5.1 과도현상에 관한 강의 475
4.5.2 과도현상 억제에 쓰는 소자 476
4.6 집적 회로 484
4.6.1 IC 패키지 485
CHAPTER 5 광전자공학 487
5.1 광자에 관한 약간의 강의 488
5.2 전등 490
5.3 발광 다이오드 491
5.3.1 LED 작동 방식 492
5.3.2 LED 종류 493
5.3.3 LED에 대한 상세 정보 494
5.3.4 LED 응용기기 497
5.3.5 레이저 다이오드 498
5.4 광저항기 504
5.4.1 광저항기 작동 방식 504
5.4.2 기술 자료 505
5.4.3 응용기기 505
5.5 광 다이오드 506
5.5.1 광 다이오드 작동 방식 507
5.5.2 기본 동작 508
5.5.3 광 다이오드 종류 508
5.6 광전지 509
5.6.1 기본 동작 509
5.7 광트랜지스터 510
5.7.1 광 다이오드 작동 방식 510
5.7.2 기본 구성 511
5.7.3 광트랜지스터 종류 511
5.7.4 기술 자료 512
5.7.5 응용기기 512
5.8 광 사이리스터 513
5.8.1 LASCR의 작동 방식 513
5.8.2 기본 동작 514
5.9 광 분리기 514
5.9.1 통합된 광 분리기 515
5.9.2 응용기기 515
5.10 광섬유 516
CHAPTER 6 센서 519
6.1 일반 원리 519
6.1.1 정밀도, 정확도, 분해능 519
6.1.2 관찰자 효과 521
6.1.3 보정 521
6.2 온도 522
6.2.1 서미스터 523
6.2.2 열전대 525
6.2.3 측온 저항체 526
6.2.4 아날로그 출력 온도계 IC 526
6.2.5 디지털 온도계 IC 527
6.2.6 적외선 온도계/고온계 528
6.2.7 요약 529
6.3 근접성과 접촉 529
6.3.1 터치스크린 529
6.3.2 초음파 거리 530
6.3.3 광학 거리 531
6.3.4 용량성 센서 533
6.3.5 요약 533
6.4 운동, 힘, 압력 534
6.4.1 수동 적외선 534
6.4.2 가속도 535
6.4.3 회전 536
6.4.4 유량 537
6.4.5 힘 538
6.4.6 기울기 538
6.4.7 진동과 기계적 충돌 539
6.4.8 압력 539
6.5 화학 539
6.5.1 연기 540
6.5.2 가스 540
6.5.3 습도 540
6.6 빛, 방사선, 자기, 소리 541
6.6.1 빛 541
6.6.2 전리 방사선 541
6.6.3 자기장 542
6.6.4 소리 543
6.7 GPS 543
CHAPTER 7 전자공학 실습 545
7.1 안전 545
7.1.1 안전 교실 545
7.1.2 정전기 방전으로 인한 부품 고장 549
7.1.3 부품 취급 시 주의사항 549
7.2 회로 구축 550
7.2.1 회로도 그리기 550
7.2.2 회로 시뮬레이터 프로그램에 관한 참고사항 552
7.2.3 자신만의 회로 원형 제작 552
7.2.4 최종 회로 553
7.2.5 PCB 제작 556
7.2.6 회로 구성에 사용하는 하드웨어 중 특별한 부분들 562
7.2.7 납땜 563
7.2.8 땜납 제거 563
7.2.9 회로 포장 564
7.2.10 편리한 물건 565
7.2.11 자체 제작 회로의 문제 해결 565
7.3 멀티미터 566
7.3.1 기본 동작 567
7.3.2 아날로그 VOM의 작동 방식 568
7.3.3 디지털 멀티미터의 작동 방식 569
7.3.4 오차 측정에 관한 참고 사항 569
7.4 오실로스코프 570
7.4.1 오실로스코프의 작동 방식 571
7.4.2 검사기의 내부 회로도 573
7.4.3 빔 겨누기 574
7.4.4. 검사기 사용법 575
7.4.5 작은 손잡이와 스위치가 하는 일 576
7.4.6 검사기를 사용한 측정 581
7.4.7 검사기 응용 585
7.4.8 임피던스 측정 587
7.5 전자공학 실험실 589
7.5.1 작업장 589
7.5.2 시험 장비 590
7.5.3 멀티미터 591
7.5.4 직류 전력 공급 장치 592
7.5.5 오실로스코프 593
7.5.6 오실로스코프 탐촉자 596
7.5.7 범용 함수 발생기 602
7.5.8 주파수 카운터 603
7.5.9 컴퓨터 603
7.5.10 기타 시험기기 604
7.5.11 다기능 PC 계측기 604
7.5.12 격리 변압기 606
7.5.13 가변 변압기(바리악) 608
7.5.14 치환 상자 609
7.5.15 시험용 케이블, 커넥터, 어댑터 611
7.5.16 납땜 장비 613
7.5.17 원형 제작 기판 616
7.5.18 공구 618
7.5.19 전선, 케이블, 철물, 화학용품 619
7.5.20 전자기기 제품 소개 자료 622
7.5.21 추천하는 전자 부품 623
7.5.22 전자공학용 CAD 프로그램 626
7.5.23 맞춤형 작업대 만들기 627
CHAPTER 8 연산 증폭기 631
8.1 물에 비유해 본 연산 증폭기 633
8.2 연산 증폭기 작동 방식(‘도피 행동’ 해설) 633
8.3 이론 634
8.4 음성 되먹임 636
8.5 양성 되먹임 640
8.6 실물 연산 증폭기 종류 642
8.7 연산 증폭기 규격 644
8.8 강화 연산 증폭기 646
8.9 일부 실용적인 참고 사항 647
8.10 전압 및 전류의 어긋남 보정 648
8.11 주파수 보정 649
8.12 비교기 650
8.13 히스테리시스를 사용하는 비교기 651
8.13.1 히스테리시스가 있는 반전 비교기 651
8.13.2 히스테리시스를 사용하는 비반전 비교기 653
8.14 단전원 비교기 사용 654
8.15 윈도우 비교기 654
8.16 전압 정격 표시기 655
8.17 계측 증폭기 655
8.18 응용 656
CHAPTER 9 필터 663
9.1 필터를 설계하기 전에 알아야 할 사항 664
9.2 기본 필터 666
9.3 피동 저역 통과 필터 설계 667
9.4 필터 종류에 관한 참고 사항 670
9.5 수동 고역 통과 필터 설계 671
9.6 피동 대역 통과 필터 설계 672
9.7 피동 노치 필터 설계 674
9.8 능동 필터 설계 676
9.8.1 능동 저역 통과 필터 사례 676
9.8.2 능동 고역 통과 필터 사례 677
9.8.3 능동 대역 통과 필터 678
9.8.4 능동 노치 필터 680
9.9 통합 필터 회로 681
CHAPTER 10 발진기와 타이머 685
10.1 RC 완화 발진기 686
10.2 555 타이머 IC 688
10.2.1 555의 작동 방식(비안정 연산) 689
10.2.2 기본 비안정 연산 690
10.2.3 555의 작동 방식(단안정 연산) 691
10.2.4 기본 단안정 연산 692
10.2.5 555 타이머에 관한 몇 가지 중요 참고사항 692
10.2.6 간단한 555 응용물 694
10.3 전압 제어 발진기 695
10.4 빈 브리지와 트윈 T 발진기 695
10.5 LC 발진기(정현파 발진기) 696
10.6 결정 발진기 699
10.7 마이크로컨트롤러 발진기 701
CHAPTER 11 전압 조정기와 전력 공급 장치 703
11.1 전압 조정기 IC 705
11.1.1 고정식 조정기 IC 705
11.1.2 가변 조정기 IC 706
11.1.3 조정기 규격 706
11.2 일부 조정기 응용 개관 706
11.3 변압기 707
11.4 정류기 패키지 707
11.5 몇 가지 간단한 전력 공급 장치 708
11.6 잔결 축소 기술의 핵심 711
11.7 느슨한 말단 714
11.8 스위칭 조정기 공급 장치(스위처) 715
11.9 스위치 모드 전력 공급 장치(SMPS) 718
11.10 산업용 전력 공급 장치 패키지 종류 719
11.11 전력 공급 장치 구축 720
CHAPTER 12 디지털 전자공학 721
12.1 디지털 전자공학 기초 721
12.1.1 디지털 논리 상태 722
12.1.2 디지털 전자공학에 사용되는 숫자 코드 722
12.1.3 클럭 타이밍과 병렬 대 직렬 전송 730
12.2 논리 게이트 731
12.2.1 다중 입력 논리 게이트 732
12.2.2 디지털 논리 게이트 IC 732
12.2.3 단일 논리 게이트 응용 733
12.2.4 조합 논리 735
12.2.5 회로를 단순하게 유지(카르노 도) 743
12.3 조합 장치 745
12.3.1 멀티플렉서(데이터 선택기)와 양방향 스위치 746
12.3.2 디멀티플렉서(데이터 분배기)와 디코더 748
12.3.3 인코더와 디코더 751
12.3.4 2진수 가산기 754
12.3.5 2진 가산기/감산기 756
12.3.6 비교기와 크기 비교기 집적회로 757
12.3.7 구식이 되어 버린 일과 마이크로컨트롤러로 제어하려는 성향에 관한 참고사항 758
12.4 논리 제품군 759
12.4.1 IC 의 CMOS 제품군 759
12.4.2 입출력 전압과 잡음 여유 760
12.4.3 전류 정격, 팬아웃, 전파 지연 761
12.5 논리 IC 강화 및 실험 761
12.5.1 전력 공급 장치 분리 762
12.5.2 사용하지 않은 입력 762
12.5.3 논리 탐촉자와 논리 펄스 발생기 763
12.6 순차 논리 764
12.6.1 SR 플립플롭 764
12.6.2 SR 플립플롭 IC 769
12.6.3 D형 플립플롭 770
12.6.4 4중 및 8중 D형 플립플롭 773
12.6.5 JK 플립플롭 774
12.6.6 플립플롭을 이용한 실제적인 타이밍 고려사항 779
12.6.7 디지털 클럭 발생기와 단일 펄스 발생기 780
12.6.8 자동 전력 투입 소거(재설정) 회로 783
12.6.9 풀업 저항기와 풀다운 저항기 785
12.7 계수기 IC 786
12.7.1 비동기 계수기(리플 계수기) 집적회로 786
12.7.2 동기 계수기 IC 788
12.7.3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계수기에 관한 참고사항 793
12.8 시프트 레지스터 795
12.8.1 직렬 입력/직렬 출력 시프트 레지스터 795
12.8.2 직렬 입력/병렬 출력 시프트 레지스터 796
12.8.3 병렬 입력/직렬 출력 시프트 레지스터 796
12.8.4 고리형 계수기(시프트 레지스터 시퀀서) 797
12.8.5 존슨 자리이동 계수기 797
12.8.6 시프트 레지스터 IC 798
12.8.7 간단한 시프트 레지스터 응용 802
12.9 아날로그/디지털 상호연결 805
12.9.1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간단한 논리 응답 유발 806
12.9.2 외부 부하 구동을 위해 논리 사용 807
12.9.3 아날로그 스위치 808
12.9.4 아날로그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 809
12.9.5 아날로그-디지털,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810
12.9.6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817
12.10 디스플레이 819
12.10.1 LED 디스플레이 820
12.10.2 액정 디스플레이 822
12.11 기억 장치 835
12.11.1 읽기 전용 메모리 835
12.11.2 다이오드로 간단한 ROM 만들기 836
12.11.3 메모리 크기와 구성 836
12.11.4 간단한 ‘프로그램 가능 ROM’ 838
12.11.5 ROM 장치 839
12.11.6 RAM 842
CHAPTER 13 마이크로컨트롤러 849
13.1 마이크로컨트롤러 기본 구조 850
13.2 마이크로컨트롤러 예 851
13.2.1 ATtiny85 마이크로컨트롤러 851
13.2.2 PIC16Cx 마이크로컨트롤러 855
13.2.3 32비트 마이크로컨트롤러 869
13.2.4 디지털 신호 처리 870
13.3 보드 평가/개발 870
13.4 아두이노 871
13.4.1 아두이노 둘러보기 871
13.4.2 아두이노 IDE 872
13.4.3 아두이노 보드 모델 873
13.4.4 쉴드 873
13.4.5 아두이노 C 라이브러리 875
13.4.6 아두이노 예제 878
13.4.7 아두이노 오프보드 사용 879
13.5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이용한 상호 연결 881
13.5.1 스위치 882
13.5.2 아날로그 입력 886
13.5.3 고전력 디지털 출력 887
13.5.4 사운드 인터페이스 891
13.5.5 직렬 인터페이스 893
13.5.6 준위 변환 900
13.5.7 LED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902
CHAPTER 14 프로그램 가능 논리 905
14.1 프로그램 가능 논리 906
14.2 FPGA 908
14.3 ISE와 엘버트 V2 909
14.3.1 ISE 설치 909
14.4 엘버트2 보드 910
14.4.1 엘버트 소프트웨어 설치 911
14.5 내려받기 912
14.6 자신만의 FPGA 논리 설계 그리기 912
14.6.1 예제 1: 데이터 선택기 912
14.6.2 예제 2: 4비트 리플 계수기 922
14.7 베릴로그 924
14.7.1 모듈 924
14.7.2 배선, 저항, 버스 924
14.7.3 병렬 실행 924
14.7.4 숫자 서식 925
14.8 베릴로그에서 자신만의 FPGA 묘사 925
14.8.1 베릴로그의 데이터 선택기 925
14.8.2 베릴로그 내 리플 계수기 928
14.9 모듈형 설계 930
14.9.1 계수기/디코더 예 930
14.9.2 다중화된 7세그먼트 계수기 사례 933
14.9.3 매개변수가 있는 모듈 937
14.10 시뮬레이션 937
14.11 VHDL 940
CHAPTER 15 모터 941
15.1 직류 연속 모터 941
15.2 직류 모터 속도 제어 942
15.3 직류 모터 방향 제어 943
15.4 RC 서보 945
15.5 스테퍼 모터 947
15.6 스테퍼 모터 종류 947
15.7 스테퍼 모터 구동 950
15.8 변환기로 구동자 제어 951
15.9 스테퍼 모터 식별에 관한 최종 언급 954
CHAPTER 16 오디오 전자공학 957
16.1 소리에 관한 작은 강좌 957
16.2 마이크 959
16.3 마이크 규격 960
16.4 오디오 증폭기 961
16.4.1 반전 증폭기 961
16.4.2 비반전 증폭기 962
16.4.3 디지털 증폭기 962
16.4.4 오디오 증폭기 내의 험 환원 964
16.5 전치 증폭기 964
16.6 믹서 회로 965
16.7 임피던스 정합에 관한 참고 사항 965
16.8 스피커 966
16.9 크로스오버 네트워크 967
16.10 스피커 구동에 쓰는 간단한 IC 969
16.11 가청 신호 장치 970
16.12 기타 오디오 회로 970
CHAPTER 17 모듈형 전자기기 973
17.1 필요한 집적회로가 무엇이든 다 있다 973
17.2 브레이크아웃 보드와 모듈 974
17.2.1 무선 주파수 모듈 975
17.2.2 오디오 모듈 978
17.3 플러그앤플레이를 응용한 시제품 제작 978
17.4 오픈소스 하드웨어 981
APPENDIX A 배전과 가정 배선 983
A.1 배전 983
A.2 3상 전기 면밀히 살피기 984
A.3 가정 배선 986
A.4 각국의 전기 988
APPENDIX B 오차 분석 989
B.1 절대 오차, 상대 오차, 백분율 오차 989
B.2 불확실성 추정 990
APPENDIX C 유용한 지식과 공식 993
C.1 그리스 문자 993
C.2 10의 거듭제곱 단위 접두사 993
C.3 선형 함수(y = mx + b) 994
C.4 이차 방정식(y = ax2 + bx + c) 994
C.5 지수와 로그 994
C.6 삼각법 995
C.7 복소수 996
C.8 미분법 996
C.9 적분법 997
찾아보기 1001
책 속으로
디지털 전자기기의 원리를 이해하면 마이크로컨트롤러 분야를 자유롭게 탐구할 수 있다. 마이크로컨트롤러란 입출력 핀들을 사용해 센서에서 값을 읽거나 출력 장치를 제어할 수 있고 프로그램도 짜 넣을 수 있는 장치인데, 이 모든 것을 단일 집적회로에서 프로그램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전자공학의 실용적인 측면에서는 이러한 것들을 모두 섞어 쓴다. 이런 측면에는 회로도를 판독하는 방법을 배우고, 브레드보드를 이용해 시제품 회로를 구성하고, (멀티미터, 오실로스코프, 논리 탐촉자를 사용해) 시제품을 검사해 다시 고치고, (필요한 경우) 시제품을 개선하고, 각종 도구와 특별한 회로 기판을 사용해 최종 회로를 구성하는 일들이 포함된다.
_3쪽
이번 장에서는 전류, 전압, 저항, 전력, 축전, 유도와 같은 전자공학의 기본 개념을 다룬다. 이 개념들을 접하고 난 뒤에 이번 장에서는 저항기, 커패시터, 인덕터와 같은 전자기기 기본 요소를
통해 전류와 전압을 수학적인 모형으로 만드는 방법을 그려낸다. 또한, 옴의 법칙, 키르히호프의
법칙, 테브난의 정리와 같은 몇 가지 기본 법칙과 정리를 사용해서, 전력원으로 구동하는 저항기, 커패시터, 인덕터가 들어 있는 복잡한 회로를 분석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_5쪽
광전자공학(optoelectronics)은 전자공학의 한 분야로 발광 장치와 광 검출 장치를 다룬다. 전등이나 발광 다이오드(LED)와 같은 발광 장치는 전류를 사용해 전자기 에너지를 만들어 내어 전자를 더 높은 에너지 준위로 들뜨게 한다(전자의 에너지 준위가 바뀌면 광자가 방출된다). 한편 광트랜지스터 및 광저항기와 같은 광 검출 장치는 유입되는 전자기 에너지를 받아 전류 및 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게 설계되었다. 일반적으로 광자를 사용해 반도체 소재 내에 속박된 전자를 방출하게 하는 식으로 이와 같은 일이 일어난다. 발광 장치는 일반적으로 조명용으로나 또는 지시등으로 사용한다. 광 검출 장치는 주로 암부 활성 스위치나 원격 제어기 등과 같이 광 검출 장치 및 통신 장치 내에 사용된다. 이번 장에서 다루는 광전자 장치로는 전등, LED, 광저항기, 광 다이오드, 광전지, 광트랜지스터, 광 사이리스터, 광 분리기 등이 있다.
_487쪽
센서는 온도, 습도, 변형력 등과 같은 물리적 속성을 재는 장치다. 이 책이 전자공학을 다루므로, 이 책에서는 그렇게 측정한 정보들을 전기적 신호로 바꾸는 일에 집중한다. 공간 중의 위치를 알아내는 데 쓰이는 지구 위치측정 체계(GPS)와 같은 것도 포함하는 방향으로 센서에 관한 정의 범위를 조금 더 넓혔다. 대다수 센서는 측정값에 비례하는 전압으로 출력 신호를 내는 간편한 방식을 사용한다. 그 밖의 센서들은 측정값에 해당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내는 식으로 작동하는 디지털 소자이다. 이 두 가지 경우 모두 일반적으로 측정값을 마이크로컨트롤러에 입력한다.
_519쪽
지금까지는 전자공학 분야에서도 주로 특정 범위에서 지속적으로 변하는 전압을 받아들이는 회로와 아날로그 분야를 다뤘다. 그러한 아날로그 회로들로는 정류기, 필터, 증폭기, 간단한 RC 타이머, 발진기, 간단한 트랜지스터 스위치 등이 있었다. 이 아날로그 회로들이 저마다 기본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지만 중요한 특징이 빠져 있다. 복잡한 논리적 결정을 내리는 데 필요한 정보 저장 기능과 처리 기능이 없다는 점이다. 논리적 의사 결정 과정을 회로에 집어넣으려면 디지털 전자공학 기술을 사용해야 한다. 이번 장에서는 디지털 전자공학의 기초를 쌓는 데 관심이 있다. 오늘날 디지털 전자공학을 실제로 구현한 제품들은 마이크로컨트롤러나 프로그램 가능 논리 소자로 구동된다.
_721쪽
출판사 서평
이 책의 주요 내용
■ 저항기, 커패시터, 인덕터, 변압기
■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집적 회로
■ 광 전자기기, 태양 전지, 광트랜지스터
■ 센서, GPS 모듈, 터치스크린
■ 연산 증폭기, 조정기, 전원 공급장치
■ 디지털 전자기기, LCD 디스플레이, 논리 게이트
■ 마이크로컨트롤러, 프로토타입 제작용 플랫폼
■ 조합형 및 순차형 프로그래머블 로직
■ DC 모터, RC 서보, 스테퍼 모터
■ 마이크, 오디오 증폭기, 스피커
■ 모듈형 전자기기와 프로토타입
기본정보
ISBN | 9791188621323 ( 1188621327 ) | ||
---|---|---|---|
발행(출시)일자 | 2018년 11월 30일 | ||
쪽수 | 1076쪽 | ||
크기 |
215 * 282
* 48
mm
/ 2431 g
|
||
총권수 | 1권 | ||
시리즈명 |
제이펍의 로봇 시리즈
|
||
원서명/저자명 | Practical Electronics for Inventors, Fourth Edition/Paul Scherz |
Klover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리뷰 종류별로 구매한 아이디당 한 상품에 최초 1회 작성 건들에 대해서만 제공됩니다.
판매가 1,000원 미만 도서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일부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불편을 끼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래에 해당하는 Klover 리뷰는 별도의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리뷰는 1인이 중복으로 작성하실 수는 있지만, 평점계산은 가장 최근에 남긴 1건의 리뷰만 반영됩니다.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문장수집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