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연구의 렌즈로 대중문화를 읽다
도서+교보Only(교보배송)을 함께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20,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1Box 기준 : 도서 10권
알림 신청하시면 원하시는 정보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해외주문/바로드림/제휴사주문/업체배송건의 경우 1+1 증정상품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패키지
북카드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수상내역/미디어추천
- 미디어 추천도서 > 주요일간지소개도서 > 한겨레신문 > 2018년 11월 4주 선정
작가정보
저자(글) 이동후
인천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저자(글) 김낙호
미국 펜실베이니아주립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저자(글) 김수아
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 강의교수
저자(글) 김수정
충남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
저자(글) 김영대
음악평론가/문화연구자
저자(글) 박진우
건국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저자(글) 원용진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저자(글) 윤태진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교수
저자(글) 이상길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교수
저자(글) 이설희
용인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교수
저자(글) 이종임
숙명여자대학교 미디어학부 강사
저자(글) 홍석경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
번역 한국방송학회
목차
- 서론: 문화연구의 렌즈로 읽어낸 대중문화의 변화들 - 이기형 이동후
1 웹툰의 사회학과 청년문화 - 김낙호
2 힙합의 문화 정치 - 김수아
3 리얼리티 쇼의 사회문화적 발현: 자기 계발의 논리와 정서적 평등주의의 이중주 - 김수정
4 멀티플랫폼 시대의 텔레비전 드라마에 대한 미디어 문화적 접근 - 홍석경
5 하위문화로부터 탈한류 담론의 가능성까지: 케이콘과 방탄소년단을 중심으로 - 김영대
6 한국의 ‘게임 문화’: 그 정경과 쟁점 - 윤태진
7 대중문화산업의 상징경제: 국내 연예 산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상길
8 문화 권력의 지형과 국내 문화산업 탐구 - 이종임
9 사회적 장치로서 아이돌 - 원용진 김지만
10 BJ/크리에이터의 유명인 ‘되기’ - 이설희
11 문화산업과 미디어 노동 - 박진우
출판사 서평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 속 대중문화를 문화연구의 시각으로 들여다보다
대중문화는 우리에게 즐거움과 위안을 주고 감성과 상상력의 주요 원천이기도 하다. 이러한 대중문화는 변화하는 현실을 어떻게 반영하는가? 대중문화물의 생산 과정에서는 어떤 변화가 있는가? 대중문화가 상업성 같은 특정한 이해관계를 추구하면서 빚는 논란과 갈등은 어떻게 읽어내야 하는가? 대중문화는 일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고 쉽게 소비되므로 친근하고 ‘만만하게’ 여겨지는 주제이면서 대중문화가 포괄하는 다양한 영역과 빠른 변화 때문에 진단과 분석이 쉽지 않은 분야이기도 하다. 이 책은 대중문화 현상과 문화산업의 변화를 오랫동안 연구해 온 저자들이 대중문화 지형 내 핵심 장르를 중심으로 그 현상을 분석하고 문화산업 내 주요 쟁점을 세밀하게 짚어낼 뿐만 아니라 특정 장르를 넘어서 관찰되는 새로운 문화 징후와 주목해야 할 담론을 다각적으로 탐구한다.
일상 속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대중문화 영역 내 핵심 장르들을 중심으로 진단과 논점을 세밀하게 풀어 가는 1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김낙호의 “웹툰의 사회학과 청년문화”는 웹툰이 오늘날 주류화될 수 있었던 다층적인 맥락을 살펴보고, 그 안에서 어떠한 향유와 복합적인 문화적 특징들이 형성되었는지를 꼼꼼하게 탐색한다. 김수아의 “힙합의 문화 정치”는 힙합이라는 특정한 미국 대중음악의 장르와 문법이 어떻게 한국에서 변용되고 수용되었는지에 주목한다. 김수정의 “리얼리티 쇼의 사회문화적 발현”은 이제는 한국의 텔레비전 영역에서 확고하게 자리 잡은 리얼리티 쇼의 확장된 특성과 함의를 진단하면서, 이 특정한 문화 양식 속에 신자유주의가 추동하는 지배적 가치와 욕망이 어떻게 녹아드는지를 밀도 있게 풀어낸다. 홍석경의 “멀티플랫폼 시대의 텔레비전 드라마에 대한 미디어 문화적 접근”은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 속 텔레비전 드라마의 미디어 문화를 살펴보기 위한 방안으로, 재현과 담론 작용 그리고 산업적인 측면을 유기적으로 포함하는 입체적인 고려가 필요함을 강조한다. 김영대의 “하위문화로부터 탈한류 담론의 가능성까지”는 미국 내 K팝 담론과 수용 방식의 변화된 양상을 북미 최대 K팝 축제인 케이콘과 방탄소년단의 사례를 중심으로 탐색한다. 윤태진의 “한국의 ‘게임 문화’”는 대중적으로 매우 큰 관심을 생성하지만 지적인 측면에서는 주로 모색의 과정 속에 놓인 게임 문화연구의 구현과 진전된 숙고를 위해 짚어 보아야 할 일련의 쟁점과 문제의식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2부는 대중문화 지형 내 특정 장르를 넘어서 관찰되는 새로운 문화 현상의 징후와 문화산업의 주요 쟁점과 흐름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우선 이상길의 “대중문화산업의 상징경제”는 대중문화의 영역을 체계적으로 탐구할 대안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개진하면서, 이를 위해 ‘상징경제’라는 특정한 해석의 틀을 제시한다. 이종임의 “문화 권력의 지형과 국내 문화산업 탐구”는 빠르게 변화하는 미디어 생태계의 위상과 현실 속에서 문화산업의 주요한 변화 양상을 집약적인 사례 분석을 통해서 추적한다. 원용진과 김지만의 “사회적 장치로서의 아이돌”은 아이돌이라는 매우 가시적인 현상을 국가의 정책, 지배적 미디어 담론, 기업 담론과 글로벌 경영 담론과 절합되어 등장한 신자유주의적 징후이자 ‘사회적 장치’의 생산물로 조명한다. 이설희의 “BJ/크리에이터의 유명인 ‘되기’”는 소셜 미디어 환경 속에서 늘어나는 ‘마이크로셀러브리티’ 현상에 주목하면서, 이 같은 현상이 어떻게 후기 자본주의 소비 사회와 연동되어 구성되는지를 분석한다. 박진우의 “문화산업과 미디어 노동”은 그간 학계에서 다소 간과되었던 미디어 노동과 비물질 노동의 문제에 주목하면서, 미디어 노동의 현실과 경험 그리고 ‘창의성’ 담론과 연동되는 측면을 사려 깊게 조명하고 쟁점화하는 작업을 시도한다.
기본정보
ISBN | 9791185521633 | ||
---|---|---|---|
발행(출시)일자 | 2018년 11월 10일 | ||
쪽수 | 399쪽 | ||
크기 |
151 * 225
* 29
mm
/ 588 g
|
||
총권수 | 1권 | ||
시리즈명 |
컬처룩 미디어 총서
|
Klover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리뷰 종류별로 구매한 아이디당 한 상품에 최초 1회 작성 건들에 대해서만 제공됩니다.
판매가 1,000원 미만 도서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일부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불편을 끼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래에 해당하는 Klover 리뷰는 별도의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리뷰는 1인이 중복으로 작성하실 수는 있지만, 평점계산은 가장 최근에 남긴 1건의 리뷰만 반영됩니다.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문장수집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