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물유적 한국사 시리즈 세트

이 책의 상품구성
자세한 상품구성정보에 대한 문의사항은 도서·정보 1:1상담을 이용해 주세요.
상품명 | 저자 | 출시일 | 쪽수 | 크기/중량 (mm/g) |
---|---|---|---|---|
유물유적 한국사. 1 | 반주원 | 2016.03.30 | 336 | 190 * 257 * 20 mm / 893g |
유물유적 한국사. 2 | 반주원 | 2016.09.10 | 240 | 190 * 258 * 18 mm / 663g |
유물유적 한국사. 3 | 반주원 | 2016.09.30 | 320 | 190 * 257 * 21 mm / 846g |
작가정보
저자(글) 반주원
저자 반주원은 고려대학교 역사교육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 진학했다. 외고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다가 한국사 및 통합사회 강사로 메가스터디, 비타에듀, 비상에듀 등의 유명 대형 학원과 EBS 등에서 두루 강의를 진행하기 시작했고, 전국 최고 사탐 강사 5인(입시타임즈 선정)에 뽑히는 등 수능 영역에서는 10년 이상 최고의 사회과 스타 강사로 입지를 굳혔다. 이후 공무원 한국사 영역으로 강의 영역을 확장했으며, 현재는 TV 프로그램 <황금알>에 한국사 전문가로 출연 중이다. 『반주원 한국사』 시리즈, 『반주원의 국사 교과서 새로보기』 외 다수의 저서를 편찬ㆍ집필하였다.
그림/만화 오현균
그린이 오현균은 대학에서 서양화를 공부하고, 현재 프리랜서 일러스트레이터로 활동하고 있다. 공룡, 각종 동식물에 관심이 많아 과학 관련 세밀화 작업을 주로 하고 있다. 그린 책으로는 『세밀화 자연관찰』 시리즈, 『교과서 그리기』 시리즈, 『파브르 곤충기』, 『천하무적 공룡백과』, 『쇠똥구리와 만나요 들판에서』 등이 있다.
감수 전덕재
감수자 전덕재는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문학석사 및 문학박사 과정을 마쳤다. 경주대학교 교양과정부 교수직을 역임하였으며, 현재는 단국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신라 왕경의 역사』, 『한국고대사회의 왕경인과 지방민』, 『한국고대사회경제사』 등이 있다.
감수 신병주
감수자 : 신병주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및 대학원을 졸업. 서울대 규장각 학예연구사를 거쳐 현재 건국대학교 문과대학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현재 KBS 1TV <역사저널 그날>, KBS 1Radio <글로벌 한국사 그날 세계는>을 매주 진행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조선과 만나는 법』, 『조선평전』, 『조선왕실 기록문화의 꽃 의궤』, 『규장각에서 찾은 조선의 명품들』, 『조선 후기를 움직인 사건들』, 『고전소설 속 역사 여행』 등이 있다.
목차
- 1권 ---------------------------------------------------------------------------------------------------------------------
제1장 선사 시대
1 주먹 도끼
2 흥수아이
3 가락바퀴
4 갈돌과 갈판
5 이른 민무늬 토기
6 빗살무늬 토기
7 신석기 시대의 움집터
8 패총, 조개껍데기, 토제 인면상
9 청동기 시대의 석기 도구
10 청동기 시대의 큰 돌 문화
11 청동기 1기의 대표 유물?유적
12 선사 시대의 바위그림
13 청동기 시대의 토기
14 청동기 2기의 청동 유물
15 중국과의 교류를 증명하는 유물?유적
16 독무덤과 삼한 주구묘
17 동예의 집터
기출문제
제2장 삼국 시대
18 장군총
19 안악 3호분 벽화
20 각저총 벽화
21 덕흥리 벽화 고분
22 무용총 벽화
23 쌍영총
24 수산리 고분 벽화
25 강서대묘와 사신도
26 평양에 남아 있는 고구려 유물?유적
27 아차산성
28 광개토 대왕릉비
29 충주 고구려비
30 금동 연가 7년명 여래 입상
31 석촌동 고분군
32 양직공도 백제 국사
33 무령왕릉과 송산리 고분군
34 송산리 6호분
35 능산리 고분군
36 백제 금동 대향로
37 몽촌토성과 풍납토성
38 공산성
39 부소산성과 낙화암
40 백제 산수무늬 벽돌
41 익산 미륵사지 석탑
42 부여 정림사지 5층 석탑
43 사택지적비
44 서산 마애 삼존불
45 칠지도
46 가야 토기
47 대릉원에 있는 다양한 무덤과 유물들
48 금령총, 금관총, 호우총
49 어숙묘 벽화
50 포석정
51 첨성대
52 안압지
53 분황사 모전 석탑
54 단양 적성비와 진흥왕 순수비
55 임신서기석
56 금동 미륵보살 반가 사유상
57 경주 배리 석불 입상
58 태종 무열왕릉
기출문제
제3장 남북국 시대
59 김유신 묘와 십이지 신상
60 문무 대왕릉과 감은사지 3층 석탑
61 불국사
62 석굴암
63 화엄사 4사자 3층 석탑
64 법주사 쌍사자 석등
65 쌍봉사 철감 선사 승탑
66 쌍계사 진감 선사 대공탑비
67 상원사 동종
68 성덕 대왕 신종
69 이차돈 순교비
70 굴불사터 사면 석불
71 도피안사 철조 비로자나불 좌상
72 김생의 서체
73 왕오천축국전
74 정혜 공주 묘와 정효 공주 묘
75 발해 석등과 이불병좌상
76 발해 삼채병
세계 문화유산에 등재된 우리의 유물
문화재의 우리말 명칭
찾아보기
2권 -----------------------------------------------------------------------------------------------------------
제1장 개성에 있는 유물유적
1 만월대
2 개성 첨성대
3 선죽교
제2장 고려의 사찰과 탑
4 봉정사 극락전
5 부석사 무량수전
6 석왕사 응진전
7 성불사 응진전
8 고달사지 승탑
9 무량사 5층 석탑
10 불일사 5층 석탑
11 익산 왕궁리 5층 석탑
12 정토사 홍법 국사 실상탑
13 월정사 8각 9층 석탑
14 법천사 지광 국사 현묘탑
15 신륵사 보제존자 석종형 승탑과 다층 전탑
16 운주사 천불천탑과 와불
17 경천사지 10층 석탑
18 천흥사 동종
19 개태사지 석불
20 관촉사 석조 미륵보살 입상
21 춘궁리 철조 석가여래 좌상
제3장 고려의 문화유산
22 고려의 고자기: 청자와 분청사기
23 고려의 관음도
24 천산대렵도
25 척경입비도
26 청동 은입사 포류 수금문 정병
27 고려의 나전 칠기
28 고려의 화폐
29 삼국사기
30 동국이상국집
31 삼국유사
32 제왕운기
33 직지심체요절
34 초조대장경
35 해인사 대장경판
제4장 고려와 조선의 왕릉
36 왕건 왕릉
37 공민왕릉
38 조선의 주요 왕릉
기출문제
찾아보기
3권 -------------------------------------------------------------------------------------------------
제1장 조선의 유적
1 조선의 4대문
2 경복궁
3 창덕궁
4 창경궁
5 덕수궁
6 경희궁
7 종묘
8 사직단
9 해인사 장경판전
10 무위사 극락전
11 남한산성
12 도산 서원
13 금산사 미륵전
14 화엄사 각황전
15 정조와 수원 화성
16 원각사기 10층 석탑
17 법주사 팔상전
제2장 조선의 유물
18 보신각종
19 조선 전기의 분청사기
20 조선 중기의 순백자
21 조선 후기의 안료 백자
22 태조 어진
23 조선 전기의 그림
24 조선 후기의 그림
25 훈민정음
26 조선의 동전
27 조선의 무기
28 조선왕조실록
29 승정원일기
30 조선의 역사서
31 조선의 법전
32 조선 중기의 대표 문학
33 조선의 지리지
34 조선의 지도
35 동의보감
36 정약용과 그의 대표 저서
기출문제
책 속으로
선조는 어느 날 한석봉을 불러 현판을 쓰게 했어. 그런데 만약 자신이 쓰는 현판이 도산 서원에 걸릴 것임을 안다면 놀란 가슴에 붓이 떨려 글씨를 쓰지 못할까 봐 한석봉에게는 미리 알리지 않았지. 선조는 도산 서원의 네 글자를 거꾸로 ‘원院’부터 부르고, 다음에 ‘서書’, 그 다음에 ‘산山’ 자를 불러 쓰게 했대. 영문을 모르고 글을 부르는 대로 받아쓰던 한석봉은 마지막에 ‘도陶’ 자를 쓰면서 자신이 도산 서원의 현판을 쓰고 있음을 알고는 정말 놀라서 붓을 떨었고 그 탓에 마지막 ‘도’ 자가 약간 비뚤어져 쓰였다고 하지.
도산 서원에 갈 기회가 생긴다면 천하 명필 한석봉이 놀란 가슴을 진정시키지 못해 떨리는 손으로 썼다는 현판을 들여다보렴. 그 앞에서 이황과 선조, 한석봉을 생각하며 각자 자신만의 사극 한 편씩을 머릿속에서 만들어 보는 것도 재미있을 거야.
출판사 서평
“유물유적 한국사는 어떤 책인가요?”
『유물유적 한국사』 시리즈는 우리 역사 속 문화재와 그에 얽힌 이야기들을 쉽고 재미있는 입말체 형식으로 들려주는 책입니다. 시험을 앞두고 한국사를 배우는 수험생들이나 어느 정도의 교양을 갖추기 원하는 성인들이라면 꼭 알아 둬야 할 우리 역사 속 유물유적이 약 470점 정도 수록되어 있습니다. 2년 전부터 출판사에서 직접 발로 뛰며 답사를 하고 촬영한 사진들을 사용했기 때문에 교과서에서 문화재를 작은 사진으로만 접했던 학생들, 아이들과 함께 답사를 떠나려고 하는 학부모들에게도 적합한 책입니다.
이 책을 쓴 저자 반주원 선생님은 EBS를 비롯한 유명 학원에서 10년 이상 한국사를 강의하였습니다. 최근 여러 시험에서 문화재의 출제 비중이 높아지는 바람에 학생들이 의무감에 우리 문화 유물을 공부하는 것이 안타깝다는 마음으로 글을 썼습니다. 청소년들이 우리 문화의 우수성과 아름다움에 보다 순수한 흥미와 자부심을 갖길 바라며 써 내려간 흥미로운 이야기들이 가득합니다.
올해 3월에 출간된 1권을 시작으로 고려 시대의 유물유적을 다룬 2권과 조선 시대의 유물유적을 다룬 3권이 연이어 출간되었습니다. 완간을 기념으로 우리 문화재 지도를 제작하여 우리 국토 속 문화재의 위치를 쉽게 이해하고, 곁에 두고 즐겨 볼 수 있도록 했습니다.
“유물유적 한국사를 쓴 이유”
지난 2011년 프랑스에서 반환된 외규장각 의궤는 조선 왕실에서 치렀던 주요 행사들을 후세에 참고하기 위하여 기록했던 책입니다. 약 145년만의 일이었지요. 이 유산이 고국으로 돌아오기까지는 프랑스 국립 도서관에서 사서로 일하던 고(姑) 박병선 박사의 공이 컸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반환된 문화재는 극히 일부입니다. 셀 수 없이 많은 우리 문화유산이 아직도 타국에 남아 있습니다. 우리의 문화유산들이 이렇게 여러 나라에 흩어져 있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요? 1차적인 이유는 외세의 침략과 전쟁이었지만 이렇게 오래도록 되찾아 오지 못한 이유는 우리 역사에 대한 무관심과 무지 때문입니다. 잠깐 이슈가 되었을 때만 우리 역사와 유산에 관심을 가져서는 그것들을 지킬 수 없습니다. 무엇 때문에 우리 문화재들이 훼손되었고, 다른 나라에 가게 되었는지 알아야 남은 유산들을 지킬 수 있습니다. 『유물유적 한국사』 시리즈는 사람들에게, 특히 청소년들에게 우리 문화유산에 관심을 갖게 하려는 목적으로 만들어졌습니다.
“어디서도 본 적 없는 사진과 글”
우리 문화유산에 대한 관심을 이끌어 내고, 문화재가 가진 고유의 아름다움을 온전하게 드러내기 위해 『유물유적 한국사』 시리즈에 사용된 사진 대부분은 출판사에서 직접 촬영했습니다. 전국 방방곡곡을 돌아다니며 약 2년간 촬영한 사진들은 교과서에서 보았던 작고 흐릿한 사진과 달리 선명하고 구도 또한 다양합니다.
글은 아주 쉽습니다. 역사를 싫어하는 사람들이 큰 이유로 꼽는 것이 바로 암기할 것이 많다는 것입니다. 유물유적 한국사는 수업 도중 학생들의 흥미를 돋우기 위해 선생님이 옛이야기를 들려주는 것처럼 재미있고 신기한 내용으로 가득합니다. 감수는 현직 사학과 교수님인 신병주 교수님과 전덕재 교수님께서 정성껏 해 주셨습니다.
Ⅰ전체 구성Ⅰ
1권: 주먹도끼부터 발해 삼채병까지(선사 시대)
문자 기록이 없던 선사 시대에서부터, 삼국 시대, 통일 신라와 발해로 나뉘는 남북국 시대의 유물유적을 소개합니다. 남겨진 유물들을 통해 우리는 당시 사람들의 삶과 사상, 종교, 교류나 전쟁의 흔적을 추측할 수 있습니다.
2권: 만월대부터 조선의 왕릉까지(고려/조선 시대)
은은한 비색을 띠는 고려청자와 나전칠기, 부석사 무량수전과 같은 건물에 이르기까지! 화려한 귀족 문화로 대표되는 고려의 문화 유산과 건축물들을 소개합니다. 불교의 융성과 함께 사찰이나 승탑 등의 불교 관련 문화유산이 많았던 것이 고려 시대의 특징이지요. 하지만 몽고나 여진으로부터 외침을 많이 당했던 시기인 만큼 고려 시대의 문화재는 파손되고 사라진 것들도 많습니다.
3권: 조선 4대문부터 정약용의 저서까지(조선 시대)
조선백자, 거북선부터 목민심서까지! 백성들의 실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던 조선 시대의 유물들을 소개합니다. 고려와 달리 유교가 중시되면서 서원 건축이 활발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조선 역시 많은 외침을 겪었으며 특히 일제강점기를 겪으며 빼앗긴 유물들이 많은 시기입니다.
기본정보
ISBN | 9791185306261 |
---|---|
발행(출시)일자 | 2016년 09월 30일 (1쇄 2016년 03월 30일) |
쪽수 | 991쪽 |
크기 |
193 * 269
* 59
mm
/ 2734 g
|
총권수 | 3권 |
Klover 리뷰 (0)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문장수집 (0)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판매가 5,000원 미만 상품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
반품/교환방법
* 오픈마켓, 해외배송 주문, 기프트 주문시 [1:1 상담>반품/교환/환불] 또는 고객센터 (1544-1900) -
반품/교환가능 기간
상품의 결함 및 계약내용과 다를 경우 문제점 발견 후 30일 이내 -
반품/교환비용
-
반품/교환 불가 사유
(단지 확인을 위한 포장 훼손은 제외)
2)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악세서리 포함) 등
3)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예) 음반/DVD/비디오,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4)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1)해외주문도서)
5) 디지털 컨텐츠인 ebook, 오디오북 등을 1회이상 ‘다운로드’를 받았거나 '바로보기'로 열람한 경우
6)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7)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8) 세트상품 일부만 반품 불가 (필요시 세트상품 반품 후 낱권 재구매)
9) 기타 반품 불가 품목 - 잡지, 테이프, 대학입시자료, 사진집, 방통대 교재, 교과서, 만화, 미디어전품목, 악보집, 정부간행물, 지도, 각종 수험서, 적성검사자료, 성경, 사전, 법령집, 지류, 필기구류, 시즌상품, 개봉한 상품 등 -
상품 품절
-
소비자 피해보상 환불 지연에 따른 배상
2) 대금 환불 및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함
상품 설명에 반품/교환 관련한 안내가 있는 경우 그 내용을 우선으로 합니다. (업체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기분 좋은 발견
이 분야의 베스트
이 분야의 신간
-
누가 과거를 소유하는가?32,000 원
-
금강산전기철도 100년의 기억10% 16,200 원
-
도서관의 역사10% 43,200 원
-
중국 귀주성 동족 쌀농사의 생태인류학10% 34,200 원
-
성의 한국사18,000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