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십일조가 알고 싶다

다시 배우는 십일조, 축복의 통로인가 다른 복음인가
윤상원 저자(글)
넥서스CROSS · 2017년 10월 20일
8.9
10점 중 8.9점
(8개의 리뷰)
추천해요 (50%의 구매자)
  • 십일조가 알고 싶다 대표 이미지
    십일조가 알고 싶다 대표 이미지
  • A4
    사이즈 비교
    210x297
    십일조가 알고 싶다 사이즈 비교 121x188
    단위 : mm
01 / 02
소득공제
10% 7,020 7,800
적립/혜택
390P

기본적립

5% 적립 390P

추가적립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390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300원
품절되었습니다.

해외주문/바로드림/제휴사주문/업체배송건의 경우 1+1 증정상품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북카드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책 소개

이 책이 속한 분야

『십일조가 알고 싶다』는 “구약시대의 십일조를 신약시대 그리스도인도 드려야 하는가?”라는 물음에 답을 찾아가는 책이다. 모세율법의 십일조를 성경신학적으로 파악한 뒤 ‘신약교회의 헌금과는 어떠한 연속성과 불연속성이 있는지’를 논하고 있다. 온전한 십일조(?)를 축복의 통로로 주장하는 ‘십일조 엄수주의’를 비판하나 십일조는 다른 복음이라는 ‘십일조 폐지론’과도 다른 주장이다.

작가정보

저자(글) 윤상원

저자 윤상원은 하나의 부족함을 채우면 또 하나의 부족함이 생겨난다고 고백하는 목사다. 보수적인 전통적 장로교에서 모태신앙으로 자란 그는, 대학생 때 서대문 ESF에서 이승장 목사의 제자들로부터 ‘성서한국의 꿈’을 배웠다. 그것은 성실한 교회생활이 신앙생활의 전부인 줄로 알았던 그의 부족함을 채워주었다. 총신신대원에서 그의 스승 서철원 교수는 칸트와 비트겐슈타인, 고대 교리와 기독론과 성령론 등을 통해, 그에게 신학하는 힘을 길러주었다. 그의 스승은 그에게 학자의 길을 권면했으나 그는 자신의 치명적인 부족함도 모른 채 목회자의 길을 선택했다. 사랑의교회에서 부목사로 있을 때 옥한흠 목사에게 수차례 꾸중을 들었는데, “너 하나 의인 되고, 다른 사람 죄인 만들지 마라”는 책망을 듣던 날, 그는 자신이 바리새인임을 깨달았다. 세 분의 탁월한 스승으로부터 부족함들이 채워졌다면, 이제는 ‘목사다운 목회자’가 되었어야 하지 않을까? 그는 여전히 부족한 자임을 기쁘게 여긴다. 그리고 그의 부족함을 통해 주님께서 친히 이루실 것들을 기대한다.

서강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과 대학원을 졸업하였다(Th.M.). 사랑의교회에서 부교역자로 섬긴 후에 서울 푸른교회를 개척해 섬겼고, 창원 새누리교회와 100년 전 부의렴 선교사에 의해 세워진 부안읍교회를 담임목사로 섬겼다. 지금은 중동 땅에 최초의 한인교회로 세워진 쿠웨이트 한인연합교회를 선교적으로 섬기고 있다.

목차

  • 추천사/ 서문

    서론
    1장 모세율법의 십일조
    2장 아브라함의 십일조
    3장 말라기의 십일조
    4장 십일조의 분량
    5장 책망받은 바리새인의 십일조
    6장 모세율법의 십일조와 신약교회 헌금의 불연속성
    7장 모세율법의 십일조와 신약교회 헌금의 연속성
    결론

    참고문헌

추천사

책 속으로

이스라엘은 가나안 땅의 소산물을 여호와 하나님께 조공으로 바침으로써, 그 가나안 땅과 모든 소산물이 여호와 하나님께 절대적으로 속한 것임을 나타냈습니다.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그것이 ‘곡물의 십일조’(레 27:30)든, ‘가축의 십일조’(레 27:32)든, 십일조의 품목은 철저히 ‘땅의 소산’으로 국한되었습니다. 유대교는 팔레스타인 밖에 사는 유대인들에게는 십일조의 의무가 없는 것으로 여겼는데, 그 이유는 이처럼 십일조가 ‘가나안 땅’과 깊이 관련되었기 때문입니다. _21쪽, “모세율법의 십일조”

아브라함이 고대근동의 관습을 따라서 십일조를 드린 것으로 볼 때, 아브라함의 십일조를 ‘신약시대에 그리스도인들이 본받아야 할 십일조의 전형’으로 가르쳐서는 안 됩니다. 그런데도 만약 아브라함의 십일조를 ‘그리스도인을 위한 모델’로 삼고자 한다면, 그것은 머레이(Murray)의 제안처럼, 단지 “비통상적인 소득에서 드린 임시적인 십일조”일 뿐입니다. 또는 J. D. 퀴글의 제안처럼, 아브라함이 그의 정규적인 소득이 아닌 보너스(전쟁의 전리품)에서 십일조를 드렸으므로, 만약 아브라함의 십일조를 그리스도인의 모델로 삼는다면 우리는 보너스 소득을 얻었을 때 십일조를 드려야 할 것입니다. 그러므로 아브라함의 십일조를 신약시대에 우리 그리스도인이 따라야 할 모범으로 삼을 수 없습니다. _48-49쪽, “아브라함의 십일조”

이러한 의미에서 볼 때, “사람이 어찌 하나님의 것을 도둑질하겠느냐?”(8절)라는 말씀에서 하나님께서 책망하신 것은 무엇입니까? 그것은 ‘이스라엘의 언약적 불신실성’을 책망하신 것이었습니다. ‘땅’과 ‘성전’에 대한 그들의 언약적 의무를 이행하지 않은 것을 책망하신 것이었습니다. 그러므로 말라기의 요구는 단지 ‘십일조를 다시 드려라’라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언약적 불신실성을 돌이키라’라는 것이었습니다. _59-60쪽, “말라기의 십일조”

외식하는 자가 책망을 받는 문맥에서, 예수님께서 ‘박하와 회향과 근채의 십일조’를 가리키면서 “저것도 버리지 말아야 할지니라”(23c절)라고 명령하신 것도 어떤 문제와 관련되겠습니까? 그것은 ‘무엇 때문에 외식하는 자로 책망을 받았는가?’라는 문제와 관련되는 것이지 ‘십일조를 반드시 드려야 하는가?’의 여부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_91-92쪽, “바리새인의 십일조”

‘신약시대의 그리스도인도 모세율법의 십일조를 드려야 하는가?’라는 문제는, 바로 이러한 차원에서 파악되고 해결되어야 합니다. 단순히 ‘우리 그리스도인은 내 소득의 몇 %를 드려야 하는가? 안 드려도 되는가?’라는 단편적이고 지엽적인 차원에서 접근할 사안이 아닙니다. 이 문제는 ‘내가 어떻게 내 삶을 하나님을 기쁘시게 해드리는 산 제물로 드릴 것인가?’(롬 12:1)라는 ‘십일조의 신앙고백과 정신’의 차원에서 논해야 할 사안입니다. _120-121쪽, “모세율법의 십일조와 신약교회 십일조 헌금의 불연속성”

십일조의 신앙고백과 정신은 무엇입니까? 그것은 ‘세계가 다 하나님께 속했다’(출 19:5a)라는 ‘세계의 인식’에 기초해, ‘내 자신을 하나님의 소유물로 인정하는 것’입니다: “너희는 … 내 소유가 되겠고”(출 19:5b). 사도 바울도 ‘모든 만물의 주권이 하나님께 속하였다’(롬 11:36b)라는 ‘세계의 인식’에 기초해, 그리스도인이 자신의 몸을 하나님께 제물로 드리도록 권면했습니다(롬 12:1b). 이러한 전적 헌신이 바로 ‘십일조의 정신’입니다. _147쪽, “모세율법의 십일조와 신약교회 십일조 헌금의 연속성”

출판사 서평

구약시대의 십일조를
신약시대 그리스도인도 드려야 하는가?

십일조는 축복의 통로인가 다른 복음인가?
십일조를 드리는 것도, 드리지 않는 것도
왠지 찜찜한 그리스도인을 위한 책!

이 책 『십일조가 알고 싶다』는 “구약시대의 십일조를 신약시대 그리스도인도 드려야 하는가?”라는 물음에 답을 찾아가는 책이다. 모세율법의 십일조를 성경신학적으로 파악한 뒤 ‘신약교회의 헌금과는 어떠한 연속성과 불연속성이 있는지’를 논하고 있다. 온전한 십일조(?)를 축복의 통로로 주장하는 ‘십일조 엄수주의’를 비판하나 십일조는 다른 복음이라는 ‘십일조 폐지론’과도 다른 주장이다. 저자는 신약교회의 십일조 헌금을 존중하는데, 그것은 ‘주일’과 마찬가지로 새 언약의 시대에 신약교회가 부여받은 자유를 정당하게 행사하여 결정한 사안들에 속하기 때문이다.

교회의 탄생 이래 율법주의와 율법폐기론은 상극을 달리며 괴롭혀 오던 가시였습니다. 종교개혁가들도 이 문제와 씨름하며 지난한 전투를 벌여야 했습니다. 본서 『십일조가 알고 싶다』는 둘 사이의 갈등을 피하지 않고 정면으로 풀어냅니다. 현장의 목회자가 사역의 치열한 고민을 성경신학적 씨름으로 깊게 담아냈습니다. 학자들의 음성을 빌려 논지의 정당성에도 상당한 무게를 두었습니다. 그러다보니 평신도가 접근하기 어렵지 않으면서도 묵직한 소책자가 되었습니다. 건강한 한국교회라는 공생의 주제를 놓고 고민하는 모든 독자에게 일독을 권합니다. _송태근 목사(삼일교회)

십일조를 구약의 율법적 개념을 동원해 축복과 저주를 붙여가며 강요하고 소중한 성도들의 헌금을 잘못 사용하는 부패한 교회는 일차로 큰 죄를 범하고 있으며, 그렇다고 십일조를 율법주의적 잔재로 보고 일방적으로 기존 교회의 헌금제도를 해체해야 한다는 주장도 잘못되었습니다. 이 책은 십일조 폐지론에 맞서 건강한 존속론을 합리적이고 구체적인 근거를 대면서, 신자들의 헌금생활을 위한 표준으로 제시합니다. 하지만 결코 구약의 율법주의적 십일조 존속을 주장하는 것이 아닙니다. 자발적 십일조 헌금이 신약의 정신임을 강조합니다. _김경열 교수(총신대, 안양대)

저자는 ‘모세율법의 십일조’를 신약시대에 ‘그리스도인이 어떻게 헌금을 드릴 것인가?’(How to give)의 개인적 모델로 삼아서는 안 되며, ‘교회가 어떻게 헌금을 사용할 것인가?’(How to use)의 공동체적 모델로 삼아야 함을 논한다. 거기에서 ‘신약교회 헌금의 공공적 성격’(공적 헌금의 성격)을 명확하게 밝히며 그 자리에서 교회개혁의 방향성을 찾는다.

기본정보

상품정보 테이블로 ISBN, 발행(출시)일자 , 쪽수, 크기, 총권수을(를) 나타낸 표입니다.
ISBN 9791161651309
발행(출시)일자 2017년 10월 20일
쪽수 160쪽
크기
121 * 188 * 12 mm / 201 g
총권수 1권

Klover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10점 중 10점
/추천해요
감사합니다.
10점 중 10점
/쉬웠어요
십잃조가 무가치해지는 시대에 십일조의 가치를 재확인해준다.
10점 중 10점
/추천해요
교회, 특히 현대 교회에서 자주 발생하는 논쟁의 주제중 헌금, 그 중에 십일조는 매우 자주 등장한다. 그러나 탁히 이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를 찾아보기 힘들다. 그 결과 각자 자기의 소견에 옳은대로 주장하다 끝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이 책이 아마 어느정도 중심을 잡아줄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문장수집 (0)

문장수집 안내
문장수집은 고객님들이 직접 선정한 책의 좋은 문장을 보여주는 교보문고의 새로운 서비스입니다. 마음을 두드린 문장들을 기록하고 좋은 글귀들은 "좋아요“ 하여 모아보세요. 도서 문장과 무관한 내용 등록 시 별도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리워드 안내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드립니다.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판매가 5,000원 미만 상품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이 책의 첫 기록을 남겨주세요.

교환/반품/품절 안내

상품 설명에 반품/교환 관련한 안내가 있는 경우 그 내용을 우선으로 합니다. (업체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