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치카 최재형
도서+교보Only(교보배송)을 함께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20,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1Box 기준 : 도서 10권
알림 신청하시면 원하시는 정보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해외주문/바로드림/제휴사주문/업체배송건의 경우 1+1 증정상품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패키지
북카드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책 소개
이 책이 속한 분야
수상내역/미디어추천
작가정보
경북 청도 출생
휘문고등학교 졸업
서강대학교 사학과 졸업(문학박사)
수원대학교 사학과 교수(1986~)
한국민족운동사학회 회장 역임
고려학술문화재단 이사장
최재형기념사업회 고문
hp2101@hanmail.net
<주요 저서>
『근대 해양인, 최봉준』, 민속원, 2017.
『간도의 기억』, 민속원, 2017.
『잊혀진 민족운동가의 새로운 부활』, 선인, 2016.
『사진으로 보는 만주지역 한인의 삶과 기억의 공간』, 민속원, 2016.
『만주벌의 항일영웅 김좌진』, 선인, 2016.
『만주지역 민족통합을 이끈 지도자, 정이형』, 역사공간, 2015.
『박환교수와 함께 걷다, 블라디보스토크』, 아라, 2014.
『만주지역 한인민족운동의 재발견』, 국학자료원, 2014.
『사진으로 보는 러시아지역 한인의 삶과 기억의 공간』, 민속원, 2013.
『민족의 영웅, 시대의 빛 안중근』, 선인, 2013.
『김좌진 평전』, 선인, 2010.
『강우규 의사 평전』, 선인, 2010.
『박환교수의 만주지역 한인 유적답사기』, 국학자료원, 2009.
『러시아지역 한인언론과 민족운동』, 경인문화사, 2008.
『박환교수의 러시아 한인 유적답사기』, 국학자료원, 2008.
『시베리아 한인 민족운동의 대부 최재형』, 역사공간, 2008.
『경기지역 3·1독립운동사 연구』, 선인, 2007.
『식민지시대 한인아나키즘운동사』, 선인, 2005.
『잊혀진 혁명가 정이형』, 국학자료원, 2004.
『대륙으로 간 혁명가들』, 국학자료원, 2003.
『20세기 한국근현대사 연구와 쟁점』, 국학자료원, 2001.
『재소한인민족운동사』, 국학자료원, 1998.
『러시아 한인 민족운동사』, 탐구당, 1995.
『나철 김교헌 윤세복』, 동아일보사, 1992.
『만주 한인 민족운동사 연구』, 일조각, 1991.
박환·박호원, 『간도사진첩(만주, 제국주의 시선과의 첫 만남)』,
민속원, 2016.
목차
- 머리말
잊혀진 기록, 최재형연구
제1장 러시아 이주와 한인 지도자의 길
1. 시련을 딛고 러시아에 정착
2. 러시아 변방의 한인 지도자로 성장
3. 동포를 위한 삶에서 자신의 길을 찾다
제2장 연해주 국권회복운동을 주도한 항일기업가
1. 조국 독립운동에 참여하기까지
2. 시베리아 최대의 의병 단체, 동의회 총재
3. 연해주 의병의 발흥과 쇠퇴
4. 노선의 전략적 변화와 애국계몽운동
제3장 안중근 의거의 막후 후원자
1. 최재형과 안중근
2. 안중근 의거와 대동공보
3. 최재형의 안중근 의거 후원 관련 기록들
제4장 권업회 활동과 높아지는 일제의 탄압
1. 재러 한인 독립운동의 총결집체, 권업회 총재
2. 대양보 사장
3. 러시아 이주 50주년 준비위원장, 한인의 새로운 결집 도모
4. 일제가 표적으로 삼은 최재형 시대의 인물들
제5장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재무총장
1. 러시아혁명기, 한인사회 보전에 총력
2. 종전 이후 국제사회를 통한 독립 노력
3. 시베리아 현장에서 끝까지 투쟁하다
제6장 4월참변과 순국, 그리고 추모
1. 최재형의 최후의 날
2. 독립운동가들의 최재형에 대한 추모
3. 공산주의자 이인섭의 최재형에 대한 기록
4. 4월참변에 대한 자식들의 기억
제7장 최재형에 대한 자녀들의 기록들
1. 최재형 자녀들의 공동기록
2. 전기 자료수집위원회가 최 올가에게 보낸 서신과 답변
3. 최 발렌틴의 고려일보 인터뷰 기록
참고문헌
주
최재형 연보
찾아보기
책 속으로
최재형은 1860년대 조선에 큰 흉년이 들어 한인들이 만주, 러시아 등지로 최초의 집단 해외 이주를 했던 시대에 러시아 연해주로 이주한 함경도 출신의 노비였다. 이주 후에 그는 러시아 상선을 타고 전 세계를 두루 돌아다닌 뒤에 1900년 의화단사건, 1904년 러일전쟁, 1910년 일제의 조선 강점, 1914년 제1차 세계대전 발발, 1917년 러시아혁명, 1919년 3·1운동 등 한반도와 러시아 연해주 지역을 둘러싸고 전개된 20세기 초반의 국내외적인 격랑의 세월 속에서 한 시대를 이끌어간 풍운아이자, 기업인, 독립운동가, 그리고 노블리스 오블리주의 잊혀진 원형이었다.
최재형은 1880년대 러시아에 귀화한 뒤 그 지역의 한인 자치기구의 책임자인 도헌(都憲)과 기업인으로 성장하여 재러 한인 사회를 이끈 대표적인 지도자였으며, 러시아 당국으로부터 가장 신망을 받은 친러 인사였다. 그는 1905년 을사늑약 이후 적극적으로 항일투쟁에 참여했고, 1920년 시베리아에 출병한 일본군에 의해 처형될 때까지 독립운동을 전개하면서 전설적인 영웅의 이름을 남겼다.
즉, 1900년대에는 러시아 지역의 가장 대표적인 의병 조직인 동의회의 총재로서 뿐만 아니라,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발행된 민족 언론인 『대동공보』와 『대양보』의 사장을 역임했으며, 1910년대 초반에는 권업회 총재, 1919년 3·1운동 이후에는 대한국민의회 명예회장으로 활약하는 등 1900년대부터 1920년까지 러시아 지역에서 조직된 주요 단체의 책임자로 일했다. 최재형이야말로 우리나라 초기 독립운동의 대부라고 할 수 있다. 3·1운동 이후에는 상하이에서 성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초대 재무총장에 임명되기도 할 만큼, 최재형은 우리나라 독립운동사에서 중추적인 인물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최재형에 대한 전문연구서는 간행된 적이 없다. 이 책을 만들면서 그간 공개되지 않았던 다양한 사진과 지도 등을 첨부하여 독자들과 긴밀히 소통하고자 하였다. 특히 최재형의 자녀들이 남긴 회고록 가운데 해당 시대에 관련되는 부분을 넣어 생동감 있는 내용이 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머리말 中)
기본정보
ISBN | 9791160681550 ( 1160681554 ) |
---|---|
발행(출시)일자 | 2018년 02월 27일 |
쪽수 | 368쪽 |
크기 |
171 * 226
* 18
mm
/ 616 g
|
총권수 | 1권 |
Klover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리뷰 종류별로 구매한 아이디당 한 상품에 최초 1회 작성 건들에 대해서만 제공됩니다.
판매가 1,000원 미만 도서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일부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불편을 끼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래에 해당하는 Klover 리뷰는 별도의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리뷰는 1인이 중복으로 작성하실 수는 있지만, 평점계산은 가장 최근에 남긴 1건의 리뷰만 반영됩니다.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문장수집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