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주문/바로드림/제휴사주문/업체배송건의 경우 1+1 증정상품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패키지
북카드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명고의 문장은 청(淸)나라 서대용(徐大榕)으로부터 당송팔대가 중 하나인 유종원(柳宗元)의 솜씨라는 평을 받았고, 학문은 주자학적 사유에 발을 딛고 있으나 그에 갇히지는 않았다. 시 창작의 배경과 의미 맥락에 주의하여 《시경》의 시를 온전히 이해하기 위한 노력으로 《시고변(詩故辨)》을 저술하는 등 고증적인 학문 방법과 정신을 수용하였다. 조선 학문의 폭과 체계가 일신되던 시대 그 현장의 중심에서 개방적인 태도로 기윤(紀?) 등 중국의 석학들과 교유하며 정조(正祖)의 의욕적인 도서 구입에 조력한 인물로, 진취성과 신중함이 아울러 돋보이는 학자ㆍ문인이다. 서형수의 시문집《명고전집》은 20권 10책으로 현제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다. 여기에는 시(詩)와 서(書)를 비롯해 소(疏)와 계(啓) 등이 수록되어 있는데 특히 시 〈명고팔영〉은 저자가 살았던 명고정사(明皐精舍)의 주변 전경을 묘사한 명시이고 〈무산십이봉〉은 중국 연경에 갔을 때 무산 풍광을 보고 묘사한 뛰어난 작품이다.
작가정보
1749(영조25)∼1824(순조24). 본관은 달성(達城), 자는 유청(幼淸)ㆍ여림(汝琳), 호는 명고(明皐)이다. 대제학 서명응(徐命膺)의 둘째아들로 태어나 숙부 서명성(徐命誠)에게 입양되었다. 35세(1783, 정조7)에 증광 문과에 급제하고 이듬해 홍문록에 들어 부수찬(종6품)이 되었으며 그해 12월 초계문신(抄?文臣)에 선발되었다. 내외 관직을 두루 거쳐 57세(1805, 순조5)에 경기 감사에 올랐으며, 51세에 진하겸사은부사(進賀兼謝恩副使)로 중국에 다녀왔다. 《군서표기(群書標記)》ㆍ《규장각지(奎章閣志)》 등 많은 국가 편찬 사업에 참여하였다.
숙부 서명선(徐命善)이 정조의 즉위 과정에 세운 공으로 인해 특별한 지우(知遇)를 받은 한편, 정조의 즉위를 방해하려던 홍계능(洪?能\)의 제자라는 이유로 출사 전후에 몇 차례 탄핵을 받기도 했다. 1805년 김달순(金達淳)의 발언으로 인해 이듬해 불거진 옥사에 연루되어 1824년(76세) 별세할 때까지 19년 동안을 유배지에서 지냈다.
1977년 경북 봉화에서 태어났다. 충남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경상대학교 한문학과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한문고전번역협동과정을 수료하였다.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연구원을 지냈으며, 현재 전주대학교 한국고전학연구소 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번역서로 《향산집 5ㆍ7》, 《월사연보》 등이 있다.
1979년 경북 포항에서 태어났다.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하였으며, 한국고전번역원 고전번역교육원 연수과정을 졸업하였다. 한국고전번역원 연구원으로 재직하며 번역 및 편찬에 참여하였고, 현재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에서 권역별거점번역연구소협동번역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번역서로 《창계집 2》(이상 단독 번역), 《창계집 4》, 《승정원일기 영조 83ㆍ93》, 《동천유고》, 《고산유고 4》, 《역주 당송팔대가문초 구양수 3ㆍ4ㆍ5》(이상 공역), 교점서로 《교감표점 승정원일기 인조 41》, 《교감표점 창계집 1》, 편찬서로 《한국문집총간편람》, 《한국문집총간해제 8ㆍ9》, 논문으로 〈초의 의순의 시문학 연구〉, 〈기리총화 연구〉, 〈김시습의 장량찬의 이면〉, 〈서형수의 명고전집 시고를 통해 본 원텍스트 훼손〉 등이 있다.
번역 이규필
1972년 경북 예천에서 태어났다. 계명대학교 한문교육과와 경북대학교 한문학과 석사를 졸업하고, 대구 문우관에서 수학하였다.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에서 〈대산(臺山) 김매순(金邁淳)의 학문(學問)과 산문(散文)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고전번역원 연구원,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을 거쳐 현재 경북대학교 한문학과에 재직 중이다. 논문으로 〈조일 경학계의 풍토와 주석 양상 비교〉가 있고, 역서로 《무명자집(無名子集) 3ㆍ4ㆍ11ㆍ12》, 공역서로 《한국의 차 문화 천년》, 《국역 수사록(隨?錄)》이 있다.
목차
- 일러두기
명고전집 제19권
학도관學道關
명고전집 제20권
홍범직지洪範直指
명고전집 시고변
시고변詩故辨
명고전집 시고변 제1권
강령 綱領 주남周南 소남召南
명고전집 시고변 제2권
패풍?風 용풍?風 위풍衛風 왕풍王風
명고전집 시고변 제3권
정풍鄭風 제풍齊風
명고전집 시고변 제4권
당풍唐風 진풍秦風 진풍陳風 회풍檜風 조풍曹風 빈풍?風
기본정보
ISBN | 9791155503591 | ||
---|---|---|---|
발행(출시)일자 | 2019년 12월 31일 | ||
쪽수 | 544쪽 | ||
크기 |
158 * 230
* 35
mm
/ 885 g
|
||
총권수 | 1권 | ||
시리즈명 |
한국고전번역원 한국문집번역총서
|
Klover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리뷰 종류별로 구매한 아이디당 한 상품에 최초 1회 작성 건들에 대해서만 제공됩니다.
판매가 1,000원 미만 도서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일부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불편을 끼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래에 해당하는 Klover 리뷰는 별도의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리뷰는 1인이 중복으로 작성하실 수는 있지만, 평점계산은 가장 최근에 남긴 1건의 리뷰만 반영됩니다.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문장수집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