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산 이병휴의 시와 철학
도서+교보Only(교보배송)을 함께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20,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1Box 기준 : 도서 10권
알림 신청하시면 원하시는 정보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해외주문/바로드림/제휴사주문/업체배송건의 경우 1+1 증정상품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패키지
북카드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작가정보
저자(글) 이병휴
저자 이병휴는 1710(숙종 36)년에 태어나 1776(영조 52)년에 세상을 떠났다. 자는 경협, 본관은 여주이며, 성호 이익의 친조카이자 가장 가까운 제자였다. 성호 학문의 진보적 측면을 계승하여 경학과 문학 분야에서 독자적인 학문 세계를 구축하였다. 그의 학문은 녹암 권철신과 다산 정약용에게로 연결된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이병휴가 실학사에서 갖는 의의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번역 실시학사 고전문학연구회
번역 실시학사 경학연구회
목차
- · 간행사 · 실학번역총서를 펴내며
· 서언
· 제1부 정산의 시문학
해제
· 제2부 정산의 철학논설
해제
· 제3부 정산의 『대학심해』
해제
· 부록
· 정산의 철학논설 원문
· 정산의 『대학심해』 원문
· 찾아보기
책 속으로
정산은 성호(星湖)의 조카이자 성호 사상의 주요한 계승자로서, 녹암(鹿庵) 권철신(權哲身, 1736~1801)과 복암(伏菴) 이기양(李基讓, 1744~1802)을 거쳐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 1762~1836)으로 이어지는 성호좌파 계열의 선구자였다. 성호좌파는 “유교 경전에 대한 신 해석, 주자학에 대한 회의와 비판, 서양문화에 대한 급진적 수용 등 성호의 지식주의를 발전 확대시킨”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본문 256~257쪽, ‘정산의 철학논설 해제’ 중에서
정산의 『대학심해(大學心解)』는 『고본대학(古本大學)』을 정산 자신의 ‘마음으로 풀이한 것[心解]’이란 의미를 지닌다. 이는 성호가 『대학질서(大學疾書)』를 쓰며 ‘스스로 터득함[自得]’을 중요시한 것을 일정 부분 계승한 것이고, 이를 바탕으로 정산은 『대학』에 대한 새로운 이해뿐 아니라, 인간에 대한 이해를 새롭게 함으로써 ‘성리학적 수기치인(修己治人)’의 관점을 일신(一新)시켰다고 할 수 있다. 즉 구체적 현실에서 절실하게 다가오는 성의와 신독의 정신을 기반으로 실천적 인간관을 세우고, 효제자의 실천을 국가통치의 토대로 삼는 정치관을 통해 실천적 국가관을 세웠다는 점에서 그의 『대학』에 대한 관점을 ‘실학적 수기치인’이라고 할 수 있겠다
|본문 446쪽, ‘정산의 『대학심해』 해제’ 중에서
출판사 서평
‘성호학파의 진보적 계승자, 이병휴’
정산貞山 이병휴 (1770~1776)는 18세기 성호 학문의 맥을 잇는 실학자로서 성호좌파 계열의 선구자였다. 성호 학문의 진보적인 측면을 계승하였거니와, 바로 이런 그의 기풍이 훗날 녹암(鹿庵) 권철신(權哲身)과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에게로 흘러든다.
이 책은 재단법인 실시학사에서 펴내는 ‘실학번역총서’의 첫 번째 권으로, ‘실시학사 고전문학연구회·경학연구회’ 소속의 전문 연구자들이 함께 모여, 문학과 경학 분야에서 독자적인 학문 세계를 구축한 실학자 정산貞山의 시와 철학 논저들을 각고의 윤독 끝에 현대어로 옮기고, 그에 해제를 붙인 것이다.
그의 시와 철학
제1부 ‘정산의 시문학’은 그의 『정산시고貞山詩稿』를 옮긴 것이다. 총 233제 337수의 한시가 수록되어 있는데 근체시와 고시 형식이 다양하게 망라되어 있으며, 분량 상으로는 7언 절구와 7언 율시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정산시고』에서 무엇보다 먼저 주목되는 바는 정산의 ‘공부’와 관련된 작품들이라 할 수 있다. 학자로 성장해 가던 젊은 정산이 공부에서 얻은 희열을 노래하거나 자신의 내면을 응시하는 과정에서 탄생한 작품들은 학자로서의 정산을 이해함에 있어 흥미로운 자료가 된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정산의 충만한 시심(詩心)이 그가 평생에 걸쳐 추구했던 경학(經學)과 조화를 보여줄 것이다.
제2부 ‘정산의 철학논설’ 관련 자료들은 『정산잡저貞山雜著』의 일부를 뽑아서 번역한 것이다. 『정산잡저』는 원래 11책의 필사본으로, 서(書) 132편, 도설(圖說) 3편, 논변(論辨) 20편, 설(說) 36편, 잡저(雜著) 36편, 잡록(雜錄) 3편, 서(序) 22편, 발(跋) 25편, 축문(祝文) 4편, 제문(祭文) 33편, 애사(哀詞) 3편, 묘갈지명(墓碣誌銘) 3편, 행장(行狀) 1편, 유사(遺事) 1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통상의 문집 체제로 편성되어 있지 않고 문체상의 구별 없이 대체로 연대순으로 배열하여 둔 것으로 보아, 장차 문집으로 편성 출간하기 위해 작품들을 일차 결집하여 필사해 둔 초초본(初草本)의 성격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 책에서는 그 중에서 주로 그의 경학 및 철학사상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로서, 서(書) 12편, 논변(論辨) 3편, 설(說) 3편, 서(序) 3편, 발(跋) 1편을 뽑아 번역하고 주해하였다.
제3부 ‘정산의 『대학심해大學心解』’는 『대학大學』에 대한 정산 이병휴의 해석서이다. 정산의 경학 사상, 특히 『대학』에 대한 이해를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서, 이 책은 그 전체를 번역하고 주해하였다.
『대학심해』는 정산 스스로 회고하고 있는 대로 성호의 가르침이 적지 않게 반영된 저작이다. 정산은 13, 14세 때부터 성호에게 직접 가르침을 받았다. 특히 경학의 공부에서 정산은 경문(經文)을 충분히 익힌 다음 주설(注說)을 읽어 그 대의를 파악하는 성호의 학습법을 따랐다. 성호의 경학 저작인 제경질서(諸經疾書)도 정밀하게 읽었다. 그러한 공부를 바탕으로 자신이 터득한 생각이 있으면 그것을 기록해 두곤 했다. 정산의 이른바 ‘심해(心解)’는 이러한 축적된 공부의 결과물이며, 『대학심해』 곳곳에는 특정한 논점에 대해 ‘질서’에서 받은 영향을 밝혀 놓고 있다. 아울러 선입견과 편견을 제거하고 평심(平心)으로 경문을 철저하게 분석하는 성호의 경전 학습법을 발전적으로 계승한 측면도 잘 나타나 있다.
기본정보
ISBN | 9791155500026 | ||
---|---|---|---|
발행(출시)일자 | 2013년 10월 30일 | ||
쪽수 | 604쪽 | ||
크기 |
158 * 230
mm
|
||
총권수 | 1권 | ||
시리즈명 |
실시학사 실학번역총서
|
Klover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리뷰 종류별로 구매한 아이디당 한 상품에 최초 1회 작성 건들에 대해서만 제공됩니다.
판매가 1,000원 미만 도서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일부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불편을 끼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래에 해당하는 Klover 리뷰는 별도의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리뷰는 1인이 중복으로 작성하실 수는 있지만, 평점계산은 가장 최근에 남긴 1건의 리뷰만 반영됩니다.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문장수집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