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한국의 법률업무관련 자격사 제도에 관한 연구

| 양장본 Hardcover
서울지방변호사회 법제연구원 연구총서 10
이광수 저자(글)
박영사 · 2018년 11월 30일
0.0 (0개의 리뷰)
평가된 감성태그가
없습니다
  • 한국의 법률업무관련 자격사 제도에 관한 연구 대표 이미지
    한국의 법률업무관련 자격사 제도에 관한 연구 대표 이미지
  • A4
    사이즈 비교
    210x297
    160x232
    단위 : mm
무료배송 소득공제
30,000
적립/혜택
900P

기본적립

3% 적립 900P

추가적립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900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300원
배송안내
무료배송 적용상품
배송비 안내
국내도서/외국도서
도서만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도서+교보Only(교보배송)을 함께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교보Only(교보배송)
각각 구매하거나 함께 20,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20,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해외주문 서양도서/해외주문 일본도서(교보배송)
각각 구매하거나 함께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업체배송 상품(전집, GIFT, 음반/DVD 등)
해당 상품 상세페이지 "배송비" 참고 (업체 별/판매자 별 무료배송 기준 다름)
바로드림 오늘배송
업체에서 별도 배송하여 1Box당 배송비 2,500원 부과

1Box 기준 : 도서 10권

그 외 무료배송 기준
바로드림, eBook 상품을 주문한 경우, 플래티넘/골드/실버회원 무료배송쿠폰 이용하여 주문한 경우, 무료배송 등록 상품을 주문한 경우
주문정보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서울시 종로구 종로 1

알림 신청하시면 원하시는 정보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해외주문/바로드림/제휴사주문/업체배송건의 경우 1+1 증정상품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패키지

북카드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 이 책은 법률업무관련 자격사 제도를 다룬 이론서입니다.

작가정보

저자(글) 이광수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 졸업
제27회 사법시험 합격/사법연수원(제17기) 수료
대법원 양형위원회 위원/법무부 형사법개정분과특별위원회 위원
서울지방변호사회 법제이사
(현)서울지방변호사회 법제연구원 원장

목차

  • 제1장  총 설

    제1절 연구의 의의와 목적 1
    제2절 연구의 요약 4
    제3절 연구의 범주 5
    1. 개 관 5
    2. 법률업무의 개념 6
    3. 변호사(辯護士)의 직무 범위 6
    4. 변호사 인접 자격사의 범주 8
    가. 개 관 8
    나. 법무사(法務士)의 직무 범위 9
    다. 변리사(辨理士)의 직무 범위 10
    라. 세무사(稅務士)의 직무 범위 11
    마. 공인노무사(公認勞務士)의 직무 범위 12
    바. 손해사정사(損害査定士)의 직무 범위 13
    사. 행정사(行政士)의 직무 범위 13
    아. 관세사(關稅士)의 직무 범위 14
    5. 연구의 범주 15

    제2장  한국 법률업무관련 자격사 제도의 연혁과 현황

    제1절 총 론 19
    제2절 한국 변호사 제도의 연혁과 현황 20
    1. 광무변호사법(光武辯護士法) 시기 20
    2. 대언인(代言人) 대서인(代書人) 대인(代人) 26
    3. 조선 시대의 연혁적 변호사 28
    4. ‘근대적’ 의미의 법률업무관련 자격사 35
    5. ‘대서인’의 성격 39
    6. 근대적 변호사 제도의 연혁 42
    7. 현황과 문제점 43
    제3절 법무사 제도의 연혁과 현황 44
    1. 개화기(開化期)와 일제 강점기 44
    가. 대서업취체규칙(代書業取締規則) 시기 44
    나. 조선사법대서인령(朝鮮司法代書人令) 시기 46
    다. 조선사법서사령(朝鮮司法書士令) 시기 46
    2. 미군정 과도기 47
    3. 대한민국  사법서사법  시기 47
    가. 제정  사법서사법  47
    나. 재제정(再制定)  사법서사법  48
    다. 재제정  사법서사법 의 개정 연혁 49
    4.  법무사법  시기 52
    5. 현황과 문제점 53
    제4절 변리사 제도의 연혁과 현황 55
    1. 변리사 연원(淵源)의 특징 55
    2. 근대 특허 제도의 태동 56
    3. 일제 강점기 58
    4. 미군정 과도기 59
    5. 대한민국  변리사법  시기 60
    가. 제정  변리사법  60
    나. 제정  변리사법 의 개정 연혁 61
    6. 현황과 문제점 62
    제5절 세무사 제도의 연혁과 현황 82
    1. 일제 강점기와 미군정 과도기 82
    2. 대한민국  세무사법  시기 82
    가. 제정  세무사법  82
    나. 제정  세무사법 의 개정 연혁 83
    3. 현황과 문제점 85
    제6절 공인노무사 제도의 연혁과 현황 95
    1. 공인노무사 제도의 연혁 95
    2. 현황과 문제점 100
    제7절 손해사정사 제도의 연혁과 현황 106
    1. 손해사정사 제도의 연혁 106
    가. 손해사정인 시기 106
    나. 손해사정사 시기 110
    2. 현황과 문제점 112
    제8절 공인중개사 제도의 연혁과 현황 113
    1. 공인중개사 제도의 연혁 113
    가. 복덕방 시기 113
    나.  부동산중개업법  시기 115
    다.  공인중개사의 업무 및 부동산 거래신고에 관한 법률  시기 120
    라.  공인중개사법  시기 121
    2. 현황과 문제점 122
    제9절 행정사 제도의 연혁과 현황 129
    1. 행정사 제도의 연혁 129
    가. 일제 강점기 129
    나.  행정서사법  시기 131
    다.  행정사법  시기 133
    2. 현황과 문제점 135

    제3장  외국 법률업무관련 자격사 제도의 연혁과 현황

    제1절 총 론 145
    제2절 일본의 법률업무관련 자격사 제도의 연혁과 현황 146
    1. 개 관 146
    2. 사법서사(司法書士) 제도의 연혁과 현황 148
    3. 변리사(弁理士) 제도의 연혁과 현황 159
    4. 세리사( 理士) 제도의 연혁과 현황 165
    5. 사회보험노무사(社 保  務士) 제도의 연혁과 현황 168
    6. 행정서사(行政書士) 제도의 연혁과 현황 171
    7. 토지가옥조사사(土地家屋調査士) 제도의 연혁과 현황 174
    8. 소 결 175
    제3절 독일의 법률업무관련 자격사 제도의 연혁과 현황 176
    1. 개 관 176
    2. 변리사 제도의 연혁과 현황 177
    3. 세무사 제도의 연혁과 현황 179
    4. Rechtsbeistand(법률상담사) 제도의 연혁과 현황 180
    제4절 프랑스의 법률업무관련 자격사 제도의 연혁과 현황 182
    1. 개 관 182
    2. 1971년 변호사법 이전 시기 183
    3. 1971년 변호사법 시기 184
    4. 1990년 개정 변호사법 시기 185
    5. 소 결 186
    제5절 미국의 법률업무관련 자격사 제도의 연혁과 현황 186
    1. 개 관 186
    2. 변리사 제도의 연혁과 현황 188
    3. 세무사 제도의 연혁과 현황 191
    4. Paralegal 제도의 연혁과 현황 191
    가. 미국법상 Paralegal 제도 191
    나. 독립적 직무수행이 허용되는 예외적 Paralegal 제도 193
    5. 소 결 195
    제6절 영국의 법률업무관련 자격사 제도의 연혁과 현황 196
    1. 개 관 196
    2. 변리사 제도의 연혁과 현황 198
    3. 세무사 제도의 연혁과 현황 200
    4. Paralegal 제도의 연혁과 현황 201
    5. Legal Executive 제도의 연혁과 현황 202
    6. 소 결 203

    제4장  한국 법률업무관련 자격사 제도의 발전방향

    제1절 총 론 205
    제2절 진입장벽 철폐론 209
    1. 개 관 209
    2. ‘자격’의 규제 기능 210
    3. 진입장벽의 논거 211
    가. 공공이익론 211
    (1) ‘정보의 비대칭성과 역선택’론    212
    (2) ‘부정적 외부효과’론    212
    (3) ‘공공이익 비교 형량’론    213
    나. 사적 이익론 213
    (1) 공공선택이론    214
    (2) 규제포획이론    214
    다. 진입장벽 철폐론 214
    (1) ‘도덕적 해이’론    214
    (2) ‘진단과 처방의 동시적 담당’론    215
    (3) ‘공급확대를 통한 질적 향상 도모’론    215
    라. 진입장벽 철폐론에 대한 검토 216
    (1) ‘도덕적 해이’론 검토    216
    (2) ‘진단과 처방의 동시적 담당’론 검토    217
    (3) ‘공급확대를 통한 질적 향상 도모’론 검토    218
    (4) 소 결    219
    제3절 법률업무 자격제한 필요성 220
    1. 개 관 220
    2. 진입규제 필요론의 논거 검토 221
    가. ‘정보의 비대칭성과 역선택’론 검토 221
    나. ‘부정적 외부효과’론 검토 223
    다. ‘공공이익 비교 형량’론 검토 224
    3. 변호사 제도의 사회적 효용 226
    제4절 변호사 인접 자격사 직군(職群)의 통 폐합 논의 228
    1. 개 관 228
    2. 대한변호사협회의 통 폐합방안 229
    3. 2016년의 논의 231
    4. 외국의 변호사 인접 자격사 직역 통 폐합 사례 232
    가. 개 관 232
    나. 프랑스의 통 폐합 사례 232
    5. 진입규제 완화 사례 234
    가. 개 관 234
    나. 일본의 진입규제 완화 연혁 234
    (1) 개 요    234
    (2) 사법제도개혁심의회    234
    (3) 소 결    236
    다. 영국의 진입규제 완화 사례 237
    6. 결 론 237
    제5절 MDP 도입론 238
    1. MDP의 정의 238
    2. 외국의 MDP 도입 사례와 논의 240
    가. 영국의 MDP 도입 사례 240
    (1) 개 요    240
    (2) Clementi 보고서    241
    (3) Legal Service Act    242
    나. 미국의 MDP 논의 243
    다. 독일의 MDP 논의 246
    라. 일본의 MDP 논의 247
    3. MDP에 대한 평가 249
    가. 긍정적 측면 249
    (1) 원스톱 서비스의 제공    249
    (2) 서비스의 질 향상    250
    나. 부정적 측면 250
    (1) 개 요    250
    (2) 공공성 침해 우려    251
    (3) 독립성 침해 우려    251
    (4) 비밀보호 의무 침해 우려    252
    (5) 이해충돌 방지 의무 침해 우려    253
    4. 우리나라의 MDP논의 253
    가. 개 관 253
    나. 대한변호사협회의 입장 254
    다. 이전오 교수의 입장 254
    라. 최승재 변호사의 입장 256
    마. 소 결 259
    제6절 복합적 협력모델 262
    1. 개 관 262
    2. 복합적 협력모델 265
    가. 복합적 협력모델의 개념 265
    나. 통합대상 직군(職群) 266
    (1) 법무사 직군(職群)    266
    (2) 행정사 직군(職群)    267
    (3) 공인노무사 직군(職群)    267
    다. 동업대상 직군(職群) 268
    라. 업무제휴대상 직군(職群) 271
    마. 동업 업무제휴 배제 직군(職群) 274
    3. 변호사 직역의 변화 필요성 275
    가. 개 관 275
    나. 민사소액사건의 지원 276
    다. 특정분야 직무훈련 강화 277

    제5장  결 론

    ※ 참고자료 295

책 속으로

[서문]
이 연구는 두 개의 질문에서 시작되고 발전되었다. 첫 번째는 “정말인가?”라는 질문이었고, 두 번째는 “그래서?”라는 질문이었다. “정말인가?”라는 질문은 某 자격사 단체의 행사에서 그들 단체가 변호사보다 10년 앞서 우리나라에 도입된 최초의 법률업무전문자격사단체라고 自讚하더라는 傳言을 듣고 나서 든 것이었다. 개화기의 문헌 등 몇 가지 자료를 조사하면서 위 단체의 自讚은 얼토당토않은 것임을 금방 알 수 있었다. 법률문서 작성은 모조리 자신들의 업무라고 생각하는 그 단체의 短見은 主客顚倒의 極致를 보여주기에 부족함이 없었다.
그런데 그 단체의 無道함보다도 더 啞然失色케한 것은, 자신의 淵源조차 제대로 파악하지 않은 채, 남의 말만 믿고 삼촌을 아버지라고 믿으며 지내고 있는 우리 변호사단체의 實相이었다. 심지어 이웃 단체조차 당신네 아버지는 지금 알고 있는 삼촌이 아니라 따로 있다고 알려주고 있는 마당에 말이다. 다소 거친 표현 같지만, 이러한 아연실색의 마음을 추스르고 정리한 부분이 이 연구의 제2장이다. 그 결론은 우리나라의 ‘근대적’ 변호사 제도의 연원은 1895년의 ‘代人’ 제도라는 것이었다. ‘근대적’이라는 어휘를 부가한 이유는, 시간을 훨씬 더 거슬러 올라가면 조선시대 초기에 이미 변호사의 연원으로 볼 수 있는 제도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野史도 아니고 극작가의 머릿속에서 번득이는 창작의 영감으로부터 탄생한 것도 아닌, 朝鮮王朝實錄이라는 正史에서 그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 이른바 ‘外知部’가 바로 그러한 제도이다. 비록 소송을 부추기는 나쁜 존재라고 박해를 받았지만, 이들 外知部야말로 다른 사람의 소송을 위임받아 대신 수행하는 존재였으므로, 연혁적으로 변호사의 뿌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적어도 법률문서만 작성하면 무조건 자기네의 前身이라고 우기는 태도보다는 더 정직한 태도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모름지기 ‘근대적’인 자격사 제도라고 하려면 적어도 국가가 그 자격사의 활동에 관여하는 장치가 마련되어야 하는 것이 최소한의 필요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이유에서 外知部보다는 그나마 1895년의 ‘代人’이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적인 변호사 제도의 嚆矢라고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까지 결론을 정리하고 나자 그 다음에 떠오른 질문이 바로 “그래서?”라는 질문이었다. 이 질문에는 어느 제도가 10년 먼저 들어왔건 10년 늦게 들어왔건 그게 무슨 대수냐는 의문이 바탕에 자리하고 있다. 인접 자격사들이 내 집 앞마당을 차지하는 것도 모자라서 이제는 안방까지 넘보고 있는 지금 실정에 아비를 제대로 알지 못하는 게 무슨 큰 허물이 될까보냐는 것이다.
그러나 이 두 가지 질문에는 매우 중요한 含意가 담겨 있었다. 첫 번째 질문의 含意는 우리나라의 법률업무관련 자격사 제도의 淵源이 어떤 것이며, 지금까지 어떤 변화를 겪으면서 유지되어 왔는지에 대한 것이다. 그러나 만일 두 번째 질문의 含意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다면 첫 번째 질문의 含意는 그게 대수냐는 反問에 가로막히고 말 것이다. 두 번째 질문의 含意는 법률업무관련 자격사 職群간의 갈등과 충돌 속에서 변호사 제도의 사회적 효용성을 분명하게 인식시키지 못한다면 昨今에 변호사업계가 직면하고 있는 어려움은 단지 직역간의 밥그릇싸움에 불과한 것으로 전락하게 된다는 것이다. 변호사 제도의 사회적 효용성은 어디에서 찾아야 하는가? 어째서 국가권력은 변호사를 국가자격제로 운용하면서 변호사가 아닌 자가 변호사의 업무를 조금이라도 할라치면 서슬퍼런 형벌권을 행사하려 드는 것일까? 그 해답은 바로 헌법제정권력자인 국민이 법치주의와 적법절차의 원리를 헌법의 기본질서로 채택하였다는 데에 있다. 변호사가 예뻐서가 아니라 적법절차의 원리가 제대로 구현되기 위해서는, 변호사 제도의 정립이 關鍵이 된다. 국민의 사법접근권을 충실화하는 것이 변호사 제도가 갖는 사회적 효용을 키우는 방편이다. 두 번째 질문에 대한 답변이 여기에 있다. 도토리 키재기를 하자는 것이 아니라, 주권자인 국민이 주권자로 제대로 대접받기 위해서 변호사 제도는 보호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변호사 제도의 정립을 위해 이 연구가 제시한 방안은 인접 자격사 職群의 입장에서는 받아들이기 어려운 방안일 수 있다. 통합 대상 職群은 말할 것도 없거니와 동업이나 업무제휴 대상으로 거론된 職群조차 성에 차지 않는 방안일 것이다. 그러나 이 연구가 제시한 방안은 職群간의 이해관계를 조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국민의 사법접근권 충실화라는 사회적 효용을 극대화해서 법치주의와 적법절차의 원리가 제자리를 찾도록 이바지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변호사단체 스스로도 무엇을 고쳐야 하는지 스스로를 돌아볼 필요가 있다. 이 연구의 원고를 탈고해서 서울지방변호사회에 제출한 이후인 2017. 12. 26.에 변호사에게 자동적으로 세무사자격을 부여하는 규정의 삭제를 내용으로 하는 세무사법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해당 개정안 통과 이후의 상황이나 예상되는 변화에 대해서는 원칙적으로 다루지 않았다. 어차피 헌법재판소의 위헌결정이 나기 전까지는 변호사의 세무사 등록 자체가 제한받아온 터에 개정안이 갖는 파급력이 어느 정도일 것인지 미지수이기 때문에 이 상황을 새롭게 다루어야 할 필요가 없다고 보았다. 다만 이 연구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이미 세무사 자격을 부여받은 변호사들의 세무업무 수행을 방해하는 구실이 되었던 세무사법 관련 조항이 헌법에 위반된다는 헌법재판소의 2018. 4. 26. 결정은 이 연구가 지적한 문제점을 확인시켜주었다는 의미가 있으므로 출간 직전에 추가하였다. 세무사 자격 자동폐지는 적절한 개정이 아니었다는 아쉬움이 강하게 남아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자동부여 폐지 개정안이 발의되기 전에 이 연구가 제시한 것처럼 변호사단체가 앞장서서 특허업무나 세무업무를 수행하는 변호사들에 대한 특별한 관심과 연수 등 훈련프로그램의 개발 등이 필요하다는 의견에 대해 귀를 기울였더라면 어떤 결과를 가져왔을지 아쉬움이 있기도 하다. 이제라도 조금씩 그런 변화의 조짐이 보이고 있음은 그나마 다행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 연구의 動因이 되었던 첫 번째 질문은 서울지방변호사회 94대 이찬희 회장님께서 직접 제기하신 것이다. 그 질문이 없었다면 이 연구는 시작될 수 없었을 것이다. 그리고 회원들의 실무와 직접적 관련성이 부족함에도 ‘사법제도의 발전’이라는 사회적 효용을 위해 법제연구원이라는 조직을 유지하고 있는 서울지방변호사회 94대 임원진의 배려가 없었다면 이 연구가 법제연구원의 열 번째 연구총서로 햇빛을 볼 수 없었을 것이다. 한편 박중진 법제팀장과 박유선 주임, 백종성 사원은 여전히 교정과 출판의 진행을 위한 수고를 아끼지 않았다. 이 자리를 빌려 모두에게 감사함을 표한다.

2018년 11월
서울지방변호사회 법제연구원
책임연구위원 이 광 수

출판사 서평

[발간사]
역사는 왜곡되기 쉽습니다. 기록되지 않은 역사는 그럴 위험성이 더욱 높습니다. 역사는 반드시 바르게 기록되어야 합니다. 법과 원칙을 생명으로 하는 법률가에게는 역사를 바로 세우는 것은 선택이 아니라 사명입니다. 2017년 5월 23일 서울중앙지방법무사회 정기총회에 참석하였는데, 법무사 중 일부가 법무사의 전신인 대서인(代書人)이라는 제도가 1897년에 한국에 도입되었으므로 변호사 제도보다 법무사 제도가 더 앞선 제도라는 주장을 서슴없이 하는 것을 보고, 정말 역사가 이렇게 왜곡될 수 있겠구나 하는 생각에 온몸에 전율이 일었습니다.
‘학문의 기원이 철학, 법학, 신학에서 비롯되었다’는 말이라든지, ‘닷새 후에 대제사장 아나니아가 더들로라는 변호사와 함께 총독 앞에서 바울을 고소하니라(사도행전 24:1)’라고 쓰여 있는 성경구절까지 인용하지 않더라도, 우리는 상식적으로도 무엇인가 잘못되었구나라는 것을 직관적으로 느낄 수 있습니다. 잘못된 주장에는 의미 없는 소모적인 논쟁이 아니라, 체계적인 연구와 증거자료로써 진실을 밝혀야겠다는 사명감이 느껴졌습니다.
진실은 훼손되었음을 인식하는 순간 최대한 빨리 바로잡아야 합니다. 서울지방변호사회 산하 법제연구원에 연구를 의뢰하였습니다. 특정 단체를 비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역사를 바로 세우는 작업이라는 대전제 하에 연구를 진행할 것을 요청하였습니다. 그리고 연구의 범위를 특정 직역에 한정할 것이 아니라, 파행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국내의 유사 법조직역 전체를 포괄하여 줄 것을 요청하였습니다.
우리 법조계는 오랫동안 일제의 잔재를 완전히 청산하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국가가 소수 엘리트 법조인 양성을 주도하고, 고시라는 높은 문턱을 통과한 소수 엘리트들은 그야말로 시험 한번 잘 본 덕분에 평생을 사회적 명예와 경제적 풍요를 보장받는 체제가 너무나 장기간 유지되었습니다. 이러한 소수 엘리트들이 주도하는 법조계는 문턱이 높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일반 국민이 감당하기 어려운 고액의 변호사비용으로 인하여 국민의 법률적 수요를 구조적으로 충족시켜 줄 수 없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같은 소수 엘리트 법조인 양성 시스템을 가지고 있는 일본처럼 법률전문가인 변호사를 보완할 만한 직역이 필요하였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는 유사 법조직역이 탄생하게 된 것입니다. 더욱 우려스러운 것이, 이러한 직역들 중 상당수가 관련 업무를 처리하던 공무원 출신들에게 자동으로 자격을 부여하는 일종의 전관예우라는 특혜를 제공해 왔다는 것입니다. 일제가 남겨 놓은 부정적인 역사가 아직도 우리 사회에 남아있는 것입니다.
사회가 바뀌면 제도도 바뀌어야 합니다. 우리는 법조인을 국가에서 선발하고 공무원의 지위를 부여하여 모든 교육을 지원하는 사법시험 제도를 폐지하고, 로스쿨 제도를 도입하였습니다. 이로 인하여 이제는 소수 엘리트가 아니라, 다양한 학문적?사회적 경험을 가진 변호사들이 대량으로 배출되고 있습니다. 이제는 국민의 곁에서, 국민의 수요에 맞추어 법률서비스를 제공할 변호사들이 언제든지 대기하고 있는 사회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원칙과 예외는 분명히 구별되어야 합니다. 법률업무는 원칙적으로 변호사의 고유 업무입니다. 법률업무는 소송을 포함하여 법률자문, 각종 계약이나 법률행위가 모두 포함되는 개념입니다. 소수 엘리트 법조인 양성 시스템 하에서 변호사의 절대적 숫자가 부족하였기 때문에 반드시 법률전문가인 변호사만이 수행하여야 할 소송을 제외하고, 예외적으로 변호사업무의 보완재로 각종 유사 법조직역이 만들어진 것입니다. 처음에 유사직역이 만들어질 당시만 해도 변호사의 절대 숫자가 부족했고, 유사직역도 그 숫자가 적었기 때문에 암묵적 공존이 가능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시대가 변해서 유사직역에 종사하는 숫자가 늘어나면서 그 안에서 경쟁이 치열해지자 변호사의 고유 업무 중 가장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는 소송까지 마치 본래 자신의 업무영역에 속해 있는 것처럼 사실을 왜곡하고 있습니다. 소액사건, 조세소송, 특허소송, 노동소송 등 외국에서는 찾아보기가 힘든 영역에까지 자신들의 업무범위를 넓히려고 하고 있습니다.
로스쿨 제도의 도입으로 변호사 배출 숫자가 급증하였습니다. 이로 인하여 보완적으로 등장한 유사직역은 그 역사적 사명을 다하였으므로 당장 폐지하거나 통합하여야 한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하지만 인위적인 폐지나 통합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이제는 국민의 선택에 맡겨야 할 때입니다. 소송은 현행법상 변호사의 고유 업무 영역입니다. 소송능력은 소송의 승패를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국민의 권익을 위해서도 소송을 체계적으로 배우지 못한 자에게 결코 맡길 수가 없습니다.
그러나 본래 변호사가 모두 처리하여야 할 업무분야임에도, 변호사 숫자의 절대 부족으로 등장한 유사직역과 변호사의 업무가 중복되는 업무분야에 대해서는 이제 국민을 위하여 ‘비용과 전문성’으로 경쟁하도록 하여야 합니다. 국민들이 같은 비용 혹은 더 저렴한 비용으로 양질의 법률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하는 것이 국가를 위해서도 바람직하다고 할 것입니다.
이제는 대량으로 배출되는 변호사들이 국민과 함께, 국민의 다정한 이웃으로서 법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끔 사회적 환경이 변화하였습니다. 과거의 소수 엘리트 법조인 양성시스템이라는 일제의 잔재를 청산할 때가 되었습니다. 이제는 국민을 위하여, 국회를 비롯한 정부기관에 대한 조직적인 로비 대신 원칙과 합리적 근거자료를 기초로 한 설득이 필요합니다. 법제연구원의 이번 ‘한국의 법률업무관련 자격사 제도에 관한 연구’는 이러한 인식 하에서 오랜 조사와 연구를 거쳐 발간되게 된 것입니다. 국회를 비롯한 정부기관이 올바른 정보를 기초로 무엇이 국민을 위한 길인지를 판단하는 자료로 사용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발간을 결심하였습니다.
바쁘신 중에도 이번 연구총서의 발간에 힘써 주신 이광수 법제연구원장님과 본회 법제팀을 비롯한 많은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또한 본서의 출간을 위해 협조와 노고를 아끼지 않으신 박영사 안종만 회장님과 편집부 관계자 여러분의 노고에 깊이 감사드립니다. 앞으로도 서울지방변호사회는 국민의 다정한 이웃으로서 국민과 함께, 국민을 위하여 최상의 법률서비스를 제공하는 변호사회가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2018년 9월 23일
서울지방변호사회 회장
이 찬 희

기본정보

상품정보
ISBN 9791130331966
발행(출시)일자 2018년 11월 30일
쪽수 320쪽
크기
160 * 232 * 27 mm / 598 g
총권수 1권
시리즈명
서울지방변호사회 법제연구원 연구총서

Klover

Klover 리뷰 안내
교보를 애용해 주시는 고객님들이 남겨주신 평점과 감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는 교보문고의 리뷰 서비스입니다.
리워드 안내
구매 후 90일 이내에 평점과 10자 이상의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리뷰 종류별로 구매한 아이디당 한 상품에 최초 1회 작성 건들에 대해서만 제공됩니다.
판매가 1,000원 미만 도서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한달 후 리뷰
구매 후 30일~ 120일 이내에 작성된 두 번째 구매리뷰에 대해 한 달 후 리뷰로 인지하고 e교환권 100원을 추가 제공합니다.
운영 원칙 안내
Klover 리뷰를 통한 리뷰를 작성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자유로운 의사 표현의 공간인 만큼 타인에 대한 배려를 부탁합니다.
일부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불편을 끼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래에 해당하는 Klover 리뷰는 별도의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리뷰는 1인이 중복으로 작성하실 수는 있지만, 평점계산은 가장 최근에 남긴 1건의 리뷰만 반영됩니다.
신고하기
다른 고객이 작성리뷰에 대해 불쾌함을 느끼는 경우 신고를 할 수 있으며, 신고 자가 일정수준 이상 누적되면 작성하신 리뷰가 노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문장수집

문장수집 안내
문장수집은 고객님들이 직접 선정한 책의 좋은 문장을 보여주는 교보문고의 새로운 서비스입니다. 마음을 두드린 문장들을 기록하고 좋은 글귀들은 "좋아요“ 하여 모아보세요. 도서 문장과 무관한 내용 등록 시 별도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리워드 안내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드립니다.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이 책의 첫 기록을 남겨주세요

교환/반품/품절 안내

상품 설명에 반품/교환 관련한 안내가 있는 경우 그 내용을 우선으로 합니다. (업체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벤트
TOP

저자 모두보기

저자(글)

매장별 재고 및 위치

할인쿠폰 다운로드

  • 쿠폰은 주문결제화면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 다운로드한 쿠폰은 마이 > 혜택/포인트 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도서정가제 적용 대상 상품에 대해서는 정가의 10%까지 쿠폰 할인이 가능합니다.
  • 도서정가제 적용 대상 상품에 10% 할인이 되었다면, 해당 상품에는 사용하실 수
    없습니다.

적립예정포인트 안내

  • 통합포인트 안내

    • 통합포인트는 교보문고(인터넷, 매장), 핫트랙스(인터넷, 매장), 모바일 교보문고 등 다양한 곳에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 상품 주문 시, 해당 상품의 적립률에 따라 적립 예정 포인트가 자동 합산되고 주문하신 상품이 발송완료 된 후에 자동으로 적립됩니다.
    • 단, 쿠폰 및 마일리지, 통합포인트, e교환권 사용 시 적립 예정 통합포인트가 변동될 수 있으며 주문취소나 반품시에는 적립된 통합포인트가 다시 차감됩니다.
  • 통합포인트 적립 안내

    • 통합포인트는 도서정가제 범위 내에서 적용됩니다.
    • 추가적립 및 회원 혜택은 도서정가제 대상상품(국내도서, eBook등)으로만 주문시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 기본적립) 상품별 적립금액

    • 온라인교보문고에서 상품 구매시 상품의 적립률에 따라 적립됩니다.
    • 단 도서정가제 적용 대상인 국내도서,eBook은 15%내에서 할인율을 제외한 금액내로 적립됩니다.
  • 추가적립) 5만원 이상 구매시 통합포인트 2천원 추가적립

    • 5만원 이상 구매시 통합포인트 2천원 적립됩니다.
    • 도서정가제 예외상품(외서,음반,DVD,잡지(일부),기프트) 2천원 이상 포함시 적립 가능합니다.
    • 주문하신 상품이 전체 품절인 경우 적립되지 않습니다.
  • 회원혜택) 3만원이상 구매시 회원등급별 2~4% 추가적립

    • 회원등급이 플래티넘, 골드, 실버 등급의 경우 추가적립 됩니다.
    • 추가적립은 실결제액 기준(쿠폰 및 마일리지, 통합포인트, e교환권 사용액 제외) 3만원 이상일 경우 적립됩니다.
    • 주문 후 취소,반품분의 통합포인트는 단품별로 회수되며, 반품으로 인해 결제잔액이 3만원 미만으로 변경될 경우 추가 통합포인트는 전액 회수될 수 있습니다.

제휴 포인트 안내

제휴 포인트 사용

  • OK CASHBAG 10원 단위사용 (사용금액 제한없음)
  • GS&POINT 최대 10만 원 사용
더보기

구매방법 별 배송안내

배송 일정 안내

  • 출고 예정일은 주문상품의 결제(입금)가 확인되는 날 기준으로 상품을 준비하여 상품 포장 후 교보문고 물류센터에서 택배사로 전달하게 되는 예상 일자입니다.
  • 도착 예정일은 출고 예정일에서 택배사의 배송일 (약1~2일)이 더해진 날이며 연휴 및 토, 일, 공휴일을 제외한 근무일 기준입니다.
배송 일정 안내
출고예정일 도착예정일
1일이내 상품주문 후 2~3일 이내
2일이내 상품주문 후 3~4일 이내
3일이내 상품주문 후 4~5일 이내
4일이내 상품주문 후 5~6일 이내

연휴 및 토, 일, 공휴일은 제외됩니다.

당일배송 유의사항

  • 수도권 외 지역에서 선물포장하기 또는 사은품을 포함하여 주문할 경우 당일배송 불가
  • 회사에서 수령할 경우 당일배송 불가 (퇴근시간 이후 도착 또는 익일 배송 될 수 있음)
  • 무통장입금 주문 후 당일 배송 가능 시간 이후 입금된 경우 당일 배송 불가
  • 주문 후 배송지 변경 시 변경된 배송지에 따라 익일 배송될 수 있습니다.
  • 수도권 외 지역의 경우 효율적인 배송을 위해 각 지역 매장에서 택배를 발송하므로, 주문 시의 부록과 상이할 수 있습니다.
  • 각 지역 매장에서 재고 부족 시 재고 확보를 위해 당일 배송이 불가할 수 있습니다.

일반배송 시 유의사항

  • 날씨나 택배사의 사정에 따라 배송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
  • 수도권 외 지역 바로배송 서비스의 경우 경품 수령 선택 여부에 따라 도착 예정일이 변경됩니다.
  • 출고 예정일이 5일 이상인 상품의 경우(결제일로부터 7일 동안 미입고), 출판사 / 유통사 사정으로 품/절판 되어 구입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 경우 SMS, 메일로 알려드립니다.
  • 선물포장 주문 시 합배송 처리되며, 일부상품 품절 시 도착 예정일이 늦어질 수 있습니다.
  • 분철상품 주문 시 분철 작업으로 인해 기존 도착 예정일에 2일 정도 추가되며, 당일 배송, 해외 배송이 불가합니다.

해외주문 시 유의사항

  • 해외주문도서는 해외 거래처 사정에 의해 품절/지연될 수 있습니다.

Special order 주문 시 유의사항

  • 스페셜오더 도서나 일서 해외 주문 도서와 함께 주문 시 배송일이 이에 맞추어 지연되오니, 이점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바로드림존에서 받기

  1. STEP 01
    매장 선택 후 바로드림 주문
  2. STEP 02
    준비완료 알림 시 매장 방문하기
  3. STEP 03
    바로드림존에서 주문상품 받기
  • 바로드림은 전국 교보문고 매장 및 교내서점에서 이용 가능합니다.
  • 잡지 및 일부 도서는 바로드림 이용이 불가합니다.
  • 각 매장 운영시간에 따라 바로드림 이용 시간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수령 안내

  • 안내되는 재고수량은 서비스 운영 목적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므로 해당 매장에 문의해주시기 바랍니다.
  • 바로드림 주문 후 재고가 실시간 변동되어, 수령 예상 시간에 수령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취소/교환/반품 안내

  • 주문 후 7일간 찾아가지 않으시면, 자동으로 결제가 취소됩니다.
  • 취소된 금액은 결제수단의 승인취소 및 예치금으로 전환됩니다.
  • 교환/반품은 수령하신 매장에서만 가능합니다.

사은품 관련 안내

  • 바로드림 서비스는 일부 1+1 도서, 경품, 사은품 등이 포함 되지 않습니다.

음반/DVD 바로드림시 유의사항

  • 음반/DVD 상품은 바로드림 주문 후 수령점 변경이 불가합니다. 주문 전 수령점을 꼭 확인해 주세요.
  • 사은품(포스터,엽서 등)은 증정되지 않습니다.
  • 커버이미지 랜덤발매 음반은 버전 선택이 불가합니다.
  • 광화문점,강남점,대구점,영등포점,잠실점은 [직접 찾아 바로드림존 가기], [바로드림존에서 받기] 로 주문시 음반 코너에서 수령확인이 가능합니다
  • 선물 받는 분의 휴대폰번호만 입력하신 후 결제하시면 받는 분 휴대폰으로 선물번호가 전달됩니다.
  • 문자를 받은 분께서는 마이 > 주문관리 > 모바일 선물내역 화면에서 선물번호와 배송지 정보를 입력하시면 선물주문이 완료되어 상품준비 및 배송이 진행됩니다.
  • 선물하기 결제하신 후 14일까지 받는 분이 선물번호를 등록하지 않으실 경우 주문은 자동취소 됩니다.
  • 또한 배송 전 상품이 품절 / 절판 될 경우 주문은 자동취소 됩니다.

바로드림 서비스 안내

  1. STEP 01
    매장 선택 후 바로드림 주문
  2. STEP 02
    준비완료 알림 시 매장 방문하기
  3. STEP 03
    바로드림존에서 주문상품 받기
  • 바로드림은 전국 교보문고 매장 및 교내서점에서 이용 가능합니다.
  • 잡지 및 일부 도서는 바로드림 이용이 불가합니다.
  • 각 매장 운영시간에 따라 바로드림 이용 시간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수령 안내

  • 안내되는 재고수량은 서비스 운영 목적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므로 해당 매장에 문의해주시기 바랍니다.
  • 바로드림 주문 후 재고가 실시간 변동되어, 수령 예상시간에 수령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취소/교환/반품 안내

  • 주문 후 7일간 찾아가지 않으시면, 자동으로 결제가 취소됩니다.
  • 취소된 금액은 결제수단의 승인취소 및 예치금으로 전환됩니다.
  • 교환/반품은 수령하신 매장에서만 가능합니다.

사은품 관련 안내

  • 바로드림 서비스는 일부 1+1 도서, 경품, 사은품 등이 포함되지 않습니다.

음반/DVD 바로드림시 유의사항

  • 음반/DVD 상품은 바로드림 주문 후 수령점 변경이 불가합니다. 주문 전 수령점을 꼭 확인해주세요.
  • 사은품(포스터,엽서 등)은 증정되지 않습니다.
  • 커버이미지 랜덤발매 음반은 버전 선택이 불가합니다.
  • 광화문점,강남점,대구점,영등포점,잠실점은 [직접 찾아 바로드림존 가기], [바로드림존에서 받기] 로 주문시 음반코너에서 수령확인이 가능합니다.
  1. STEP 01
    픽업박스에서 찾기 주문
  2. STEP 02
    도서준비완료 후 휴대폰으로 인증번호 전송
  3. STEP 03
    매장 방문하여 픽업박스에서 인증번호 입력 후 도서 픽업
  • 바로드림은 전국 교보문고 매장 및 교내서점에서 이용 가능합니다.
  • 잡지 및 일부 도서는 바로드림 이용이 불가합니다.
  • 각 매장 운영시간에 따라 바로드림 이용 시간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수령 안내

  • 안내되는 재고수량은 서비스 운영 목적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므로 해당 매장에 문의해주시기 바랍니다.
  • 바로드림 주문 후 재고가 실시간 변동되어, 수령 예상시간에 수령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취소/교환/반품 안내

  • 주문 후 7일간 찾아가지 않으시면, 자동으로 결제가 취소됩니다.
  • 취소된 금액은 결제수단의 승인취소 및 예치금으로 전환됩니다.
  • 교환/반품은 수령하신 매장에서만 가능합니다.

사은품 관련 안내

  • 바로드림 서비스는 일부 1+1 도서, 경품, 사은품 등이 포함되지 않습니다.

음반/DVD 바로드림시 유의사항

  • 음반/DVD 상품은 바로드림 주문 후 수령점 변경이 불가합니다. 주문 전 수령점을 꼭 확인해주세요.
  • 사은품(포스터,엽서 등)은 증정되지 않습니다.
  • 커버이미지 랜덤발매 음반은 버전 선택이 불가합니다.
  • 광화문점,강남점,대구점,영등포점,잠실점은 [직접 찾아 바로드림존 가기], [바로드림존에서 받기] 로 주문시 음반코너에서 수령확인이 가능합니다.

도서 소득공제 안내

  • 도서 소득공제란?

    • 2018년 7월 1일 부터 근로소득자가 신용카드 등으로 도서구입 및 공연을 관람하기 위해 사용한 금액이 추가 공제됩니다. (추가 공제한도 100만원까지 인정)
      • 총 급여 7,000만 원 이하 근로소득자 중 신용카드, 직불카드 등 사용액이 총급여의 25%가 넘는 사람에게 적용
      • 현재 ‘신용카드 등 사용금액’의 소득 공제한도는 300만 원이고 신용카드사용액의 공제율은 15%이지만, 도서·공연 사용분은 추가로 100만 원의 소득 공제한도가 인정되고 공제율은 30%로 적용
      • 시행시기 이후 도서·공연 사용액에 대해서는 “2018년 귀속 근로소득 연말 정산”시기(19.1.15~)에 국세청 홈택스 연말정산간소화 서비스 제공
  • 도서 소득공제 대상

    • 도서(내서,외서,해외주문도서), eBook(구매)
    • 도서 소득공제 대상 상품에 수반되는 국내 배송비 (해외 배송비 제외)
      • 제외상품 : 잡지 등 정기 간행물, 음반, DVD, 기프트, eBook(대여,학술논문), 사은품, 선물포장, 책 그리고 꽃
      • 상품정보의 “소득공제” 표기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도서 소득공제 가능 결제수단

    • 카드결제 : 신용카드(개인카드에 한함)
    • 현금결제 : 예치금, 교보e캐시(충전에한함), 해피머니상품권, 컬쳐캐쉬, 기프트 카드, 실시간계좌이체, 온라인입금
    • 간편결제 : 교보페이, 네이버페이, 삼성페이, 카카오페이, PAYCO, 토스, CHAI
      • 현금결제는 현금영수증을 개인소득공제용으로 신청 시에만 도서 소득공제 됩니다.
      • 교보e캐시 도서 소득공제 금액은 교보eBook > e캐시 > 충전/사용내역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SKpay, 휴대폰 결제, 교보캐시는 도서 소득공제 불가
  • 부분 취소 안내

    • 대상상품+제외상품을 주문하여 신용카드 "2회 결제하기"를 선택 한 경우, 부분취소/반품 시 예치금으로 환원됩니다.

      신용카드 결제 후 예치금으로 환원 된 경우 승인취소 되지 않습니다.

  • 도서 소득공제 불가 안내

    • 법인카드로 결제 한 경우
    • 현금영수증을 사업자증빙용으로 신청 한 경우
    • 분철신청시 발생되는 분철비용

알림 신청

아래의 알림 신청 시 원하시는 소식을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알림신청 취소는 마이룸 > 알림신청내역에서 가능합니다.

한국의 법률업무관련 자격사 제도에 관한 연구
| 양장본 Hardcover
한달 후 리뷰
/ 좋았어요
작년까지만 해도 주식은 커녕 재테크에 관해 아무것도 모르다가 올해 주식 투자를 시작했다. 아무것도 모르고 초심자의 행운으로 분유값 정도를 벌고 나니, 조금 더 공부해보고 싶어져서 『초격차 투자법』을 구매했다.
작년까지만 해도 주식은 커녕 재테크에 관해 아무것도 모르다가 구매했어요! 저도 공부하고 싶어서 구매했어요~ 다같이 완독 도전해봐요! :)
기대가됩니다~
작년까지만 해도 주식은 커녕 재테크에 관해 아무것도 모르다가 구매했어요! 저도 공부하고 싶어서 구매했어요~ 다같이 완독 도전해봐요! :)
기대가됩니다~
작년까지만 해도 주식은 커녕 재테크에 관해 아무것도 모르다가 구매했어요! 저도 공부하고 싶어서 구매했어요~ 다같이 완독 도전해봐요! :)
작년까지만 해도 주식은 커녕 재테크에 관해 아무것도 모르다가 구매했어요! 저도 공부하고 싶어서 구매했어요~ 다같이 완독 도전해봐요! :)
기대가됩니다~
기대가됩니다~
기대가됩니다~
기대가됩니다~
이 구매자의 첫 리뷰 보기
/ 좋았어요
하루밤 사이 책한권을 읽은게 처음이듯 하다. 저녁나절 책을 집어든게 잘못이다. 마치 게임에 빠진 아이처럼 잠을 잘수없게 만든다. 결말이 어쩌면 당연해보이는 듯 하여도 헤어나올수 없는 긴박함이 있다. 조만간 영화화되어지지 않을까 예견해 본다. 책한권으로 등의 근육들이 오그라진 느낌에 아직도 느껴진다. 하루밤 사이 책한권을 읽은게 처음이듯 하다. 저녁나절 책을 집어든게 잘못이다. 마치 게임에 빠진 아이 처럼 잠을 잘수없게 만든다. 결말이 어쩌면 당연해보이는 듯 하여도 헤어나올수 없는 긴박함이 있다. 조만간 영화화되어지지 않을까..
작년까지만 해도 주식은 커녕 재테크에 관해 아무것도 모르다가 구매했어요! 저도 공부하고 싶어서 구매했어요~ 다같이 완독 도전해봐요! :)
기대가됩니다~
신고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신고 내용은 이용약관 및 정책에 의해 처리됩니다.

허위 신고일 경우, 신고자의 서비스 활동이 제한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어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판형알림

  • A3 [297×420mm]
  • A4 [210×297mm]
  • A5 [148×210mm]
  • A6 [105×148mm]
  • B4 [257×364mm]
  • B5 [182×257mm]
  • B6 [128×182mm]
  • 8C [8절]
  • 기타 [가로×세로]
EBS X 교보문고 고객님을 위한 5,000원 열공 혜택!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