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대인 예배력에 따른 예수의 의미 마태복음
도서+교보Only(교보배송)을 함께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20,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1Box 기준 : 도서 10권
알림 신청하시면 원하시는 정보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해외주문/바로드림/제휴사주문/업체배송건의 경우 1+1 증정상품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패키지
북카드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저자의 논증은 분명하다. 복음서의 저자는 모두 유대인들이었다. 예수 이야기들은 회당 안에서 구전되다가 로마와의 전쟁으로 예루살렘 성전조차 파괴된 이후에 복음서들이 기록되었다. 예수를 메시아로 고백하는 초기 그리스도인들이, 결국 회당에서 쫓겨나는 사태를 전후한 적대감 속에서 별도로 예배를 드리기 위해, 회당 예배력에 맞추어 예수의 의미를 각 절기 순서대로 치밀하게 구성한 책들이 공관복음서들이다. 따라서 복음서들의 원래 청중인 유대인들은 자신들의 문화, 상징, 절기, 이야기 전달방식을 잘 알았다. 그러나 2세기 중반 이후 교회가 유대인들 대신에 이방인들로 완전히 교체되면서, 복음서들의 유대적 특성을 알지 못한 청중들이 예수 이야기들을 문자적으로 받아들이게 되었다. 따라서 성서 문자주의는 복음서 저자들의 메시지를 완전히 왜곡시키는 “이방인들의 이단”이라는 주장이다. 저자의 치밀한 분석은 이제까지 복음서들을 문자적으로 읽던 잘못에서 벗어나 예수의 의미에 대한 복음서 저자들의 진정한 메시지를 찾도록 도와준다. 특히 예수가 가르친 철저한 은총과 무차별적인 사랑의 종교가 계산적인 공적과 폭력적인 심판의 종교로 전락한 신학적 뿌리를 뽑아내고 새로운 그리스도교의 기초를 놓아준다.
작가정보
존 쉘비 스퐁(1931- ) 주교는 교회의 신앙을 수호하기로 서약한 미국 성공회 주교로서 24년간 봉직한 후, 하버드대학교와 드류대학교 등에서 가르친 매우 진보적인 베스트셀러 작가이다. 과학의 발전으로 인해, 특히 다윈과 프로이드 이후 하느님에 대한 전통적 설명(초자연적 유신론)이 설득력을 잃어버려 많은 사람들이 교회를 떠나는 현실 앞에서, 그는 “머리가 거부하는 것은 가슴이 예배할 수 없다”는 확신 속에 평생 동안 철저하게 정직한 신앙을 추구함으로써 교회를 갱신하는 작업에 헌신했다. 그는 『기독교 변하지 않으면 죽는다』, 『예수를 해방시켜라』, 『성경의 시대착오적인 폭력들』, 『아름다운 합일의 길 요한복음』을 비롯해서 모두 25권의 중요한 책들을 발표했다.
옮긴이 변영권 목사는 감리교신학대학교와 대학원을 졸업하고 현재 예사랑감리교회에서 목회하고 있다. 『아름다운 합일의 길 요한복음』을 번역했다.
번역 변영권
목차
- 서문 / 11
제1부 복음서들은 어떻게 기록되었는가? 복음서들의 구성 원리
1장. 문제 서술, 무대 설정 / 27
2장. 예수를 역사적 상황 속에 설정하기 / 39
3장. 구전 단계: 침묵의 터널로 들어가기 / 55
4장. 공관복음서를 구성한 단서 찾기 / 71
5장. 마태가 의존했던 마가 / 83
제2부 유월절 이후부터 오순절까지: 초기 사역의 탄생
6장. 예수의 족보와 탄생 / 89
7장. 요셉: 신화인가 역사인가? / 111
8장. 동방박사들과 선물: 독창적인 설교? / 121
9장. 헤롯과 파라오 대 예수와 모세 / 131
10장. 예수의 세례: 모세의 재현 / 137
11장. 광야 속으로: 40년이 아니라 40일 / 143
제3부 오순절과 산상설교: 다시 시내산으로
12장. 상징적인 시내산으로 돌아온 예수 / 153
13장. 주님의 기도 / 165
제4부 신년절과 속죄일: 기적들과 가르침
14장. 오순절에서 신년절까지의 예수의 여행 / 179
15장. 마태의 예수 소개: 기적을 일으키는 사람 / 189
16장. 하느님 나라를 위한 마태의 작업 / 197
제5부 속죄일: 속죄 신학에 대한 도전
17장. 욤 키푸르 소개: 속죄의 날 / 207
18장. 용서받지 못할 죄에 대한 비신비화 / 219
19장. 속죄 신학의 저주 / 229
제6부 초막절 이후: 새로운 추수
20장. 초막절의 상징들과 굶주림을 채워주는 음식 / 253
21장. 세례 요한의 참수 / 263
22장. 빵과 물고기, 물 위를 걸으심: 모세 이야기들을 확장한다 / 273
23장. 두 인물, 두 통찰 / 285
제7부 수전절(하누카)과 주님의 변모: 하느님의 빛에 대한 재해석
24장. 수전절: 하느님의 빛의 귀환 / 301
25장. 예수의 변모: 수전절(하누카) 이야기 / 311
제8부 유월절을 향한 여행: 묵시와 심판
26장. 마태복음의 여행 부분에 대한 소개 / 323
27장. 여행의 핵심 / 333
28장. 실현된 묵시: 최후의 심판 / 347
제9부 유월절과 수난: 절정
29장. 수난 이야기의 절정 사건 / 357
30장. 해석의 단서를 찾기 위한 수난 이야기 탐구 / 367
31장. 전례로서의 수난 이야기 / 379
제10부 마태의 부활절 이야기: 새로운 관점
32장. 부활의 새벽: 신화인가 실재인가 / 395
33장. 생명을 향한 마태의 초청 / 411
참고문헌 / 421
책 속으로
(pp. 27-28) 이 책에서 나의 사명 중 하나는 유대적인 것 전체에 대해 이방인들이 참으로 오랜 세월 동안 지녀왔던 무지의 층들(the layers of Gentile ignorance)을 벗겨내는 것이다. 그런 무지함은 신약성서에 대한 우리의 전통적인 접근방식의 특징이기도 하다. 그 과정을 통해 나는 사실상 성서 근본주의는 그러한 무지의 산물이라는 것을 밝힐 것이다. 또한 나는 그리스도교의 복음이 얼마나 깊이 유대적이며, 유대인들의 경전과 역사, 예배방식(Jewish patterns of worship)을 얼마나 많이 반영하고 있는지를 보여주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나는 이제 복음서들을 올바르게 읽으려면 유대인들의 문화, 상징, 성상(icons), 그리고 그들의 전통적인 이야기 전달방식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다고 믿는다. 여기에는 유대인들이 “미드라쉬(midrash)”라고 부르는 것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런 것들에 대해 완전히 무지한 사람들만이 복음서들을 문자적으로 읽도록 기록된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었다. 나는 이와 동일한 무지가 수세기 동안, 동정녀 탄생, 기적, 수난 이야기의 세부사항, 육체적 소생으로서의 부활 이해, 시공간 속에서 실제로 일어난 것으로서의 우주적 승천 같은, 예수의 생애 동안 일어났던 사건들에 대해 문자주의적으로 방어할 필요성을 그리스도인들의 마음속에 만들어냈다고 주장할 것이다.
(pp. 28-29) 나는 성서 문자주의를 이방인들의 이단(a Gentile heresy)으로 생각하기 때문에, 근본주의에 관한 나의 생각을 반드시 밝혀야 할 필요를 느낀다. 나는 그리스도교 교회 스스로가 성서 문자주의에 대해 확실하게 도전하지 않는다면, 결국 그것이 그리스도교 신앙을 죽게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문자주의는 그리스도교를 표면적으로 괴롭히는 가벼운 골칫거리가 아니다. 그것은 세상의 더 많은 사람들이 점차 그리스도교 신앙을 믿을 수 없게 만드는 사고방식이다. 아이러니한 것은, 많은 문자주의적인 그리스도인들이 내가 이 책을 통해 수행하려는 일을 그리스도교 자체에 대한 공격으로 보게 될 것이라는 점이다. 성서를 문자적 진리라고 주장하는 것 외에는 성서를 읽는 다른 방식을 알지 못하기 때문에, 그들은 내가 “전통적인 그리스도교 사상의 모든 교리”를 버렸다고 주장할 것이다. 나는 그런 비난을 여러 번 들었다. 심각하게 왜곡된 이런 관점은, 이 책이 얼마나 그리스도교적인지 볼 수 없게 만들 것이다.
(pp. 35-36) 결국 이것이 나의 딜레마이다. 나는 성서와 성서 연구가 내 삶과 믿음의 깊은 원천임을 발견하는 것과 동시에, 또한 성서가 수세기 동안 타인을 비인간화하는 태도를 정당화하는 일에 사용되었다는 사실에 크게 당혹스러움을 느꼈다. 나는 성서에 대한 이 두 가지 입장을 동시에 취할 수는 없다. 나는 현대사회에서 살기 위해 성서를 거부하거나, 아니면 성서를 붙잡기 위해 현대사회를 거부해야 한다. 그러나 그것은 나의 선택이 아니며, 앞으로 할 선택도 아니다. 그래서 나는 신앙인이면서, 동시에 내가 살아가는 이 축복받은 시대에 감사하고 헌신하는 사람이 될 수 있게 해주는, 성서를 읽는 다른 방법을 찾아 나섰다. 성서를 “하느님의 말씀”이라고 부르거나, 또는 성서의 단어들이 하느님의 입을 통해 말해진 것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은, 내가 보기에는 무책임할 뿐만 아니라 무식한 사람들이다.
(pp. 39-40) 예수 이야기에 대한 우리의 분석은, 성서가 무엇이라고 말하건 간에 현대인들이 더 이상 믿지 않게 된 사실들에 대한 몇 가지 서술에서 시작한다. 별들은 인간의 탄생을 알려주지 않는다. 동방박사들은 자신들이 쫓아갈 수 있을 정도로 천천히 움직이는 별들을 따라가지 않는다. 천사들은 깊은 밤, 하늘에서 내려와 언덕의 목동들에게 노래를 불러주지 않는다. 처녀는 임신하지 않는다. 세례를 받을 때 하늘에서 성령이 내려와 세례받는 사람 위에 임하도록 하늘이 열리지도 않으며, 세례받은 사람이 정말로 하느님의 자녀라는 것을 선포하기 위해 구름 뒤에서 목소리가 들려오지도 않는다. 한 소년의 점심식사인 빵 다섯 개와 생선 두 마리가 기적으로 증식되어 수많은 사람을 먹일 수도 없다. 어느 누구도 물 위로 걸을 수 없다. 죽은 지 나흘이 지나 무덤에 묻혀 있는 나사로를 불러내 이승의 삶을 다시 살게 할 수는 없다. 태어날 때부터 앞을 보지 못하는 사람은 다시 시력을 회복할 수도 없다. 기적으로 물을 포도주로 바꿀 수는 없다. 금요일에 십자가 처형을 당해 무덤에 묻힌 사람이 기적적으로 소생하여 일요일에 무덤에서 빠져나올 수도 없다. 어느 누구도 삼층 구조 우주로 날아 올라가서 하느님의 처소로 돌아갈 수 없다.
(p. 68-69) 그러한 배경을 몰랐던 이방인들은 예수 이야기를 문자적으로 이해하기 시작했는데, 그것은 복음서의 원저자들이 결코 상상하지 못했던 것이었다. 그들 원저자들은 예수를 히브리 경전과 연결시켰고, 그에 관한 기억을 유대인들의 제의적 관례와 결합시켰다. 그들은 예수 경험에 대한 유대적 해석을 기록한 것이지, 위인전을 쓰거나 역사적 이야기를 기록한 것이 아니었다. 따라서 오늘날 가톨릭이나 개신교 모두에서 나타나는 그리스도교의 문자주의나 근본주의는 “이방인들의 이단(a Gentile heresy)”에 지나지 않는다.?그것은 이제는 그리스도교 역사에서 교회의 “이방인 포로기(Gentile captivity)”라고 부르게 된 기간에 태어난, 유대적 가르침에 대한 오해의 결과이다. 예수를 “세상 죄를 지고 가는 하느님의 어린 양”이라고 부르는 복음서의 구절을 보게 되었을 때, 1세기 유대인들은 이것이 티쉬리월 10일에 있는 속죄일(욤 키푸르, [Yom Kippur]) 의식에 관한 언급이라는 것을 곧바로 알아챘을 것이다. 그 유대인들은 이 익숙한 유대교의 제의적 표현들이 그토록 심각하게 왜곡되어, 그리스도교 왕국의 기초가 되어버린 “대속(substitutionary atonement)”이라고 부르는 것의 근거가 되리라고는 상상조차 하지 못했을 것이다.
(p. 76) 고울더의 결론은 회당의 예배생활(the liturgical life of the synagogue)이 세 공관복음서의 기본 구성원리라는 것이었는데, 이제 나는 이것이 정확한 가설이라고 생각한다. 이 책에서는 이 가설을 특별히 마태복음에 적용해 볼 것이다. 나는 그것이 이 복음서에, 그리고 그것을 통해 그리스도교 신앙에, 극적이고 새로운 빛을 비춰줄 것이라고 믿는다.
우리가 앞 장에서 보았듯이 그리스도교는 회당 안에서의 운동으로 시작되었다. 그 첫 번째 신봉자들은 회당에서 예배하는 유대인들로서 유대인 예수를 유대 경전들의 성취일 뿐 아니라 이 경전들이 말해왔던 것으로서 그들이 오랫동안 기다렸던 “메시아”라고 믿은 사람들이었다. 이것은 필연적으로 복음서들이 기록되기 이전의 구전 기간 동안, 예수의 말씀들뿐 아니라 예수에 관한 이야기가 살아 있었던 환경이 회당일 수밖에 없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나는 이제 이러한 결론을 뒷받침하는 자료들이 매우 확실하다고 생각한다.?
(pp. 77-78) 내가 이 책에서 주장하려는 것처럼, 마태복음이 유대력의 안식일과 거룩한 절기(holy days)에 읽기 위한 예수 이야기들을 제공하기 위해 기록된 것이라면, 유대인 예배력의 기본 형태와 구조에 대한 인식 없이 어떻게 그것을 이해할 수 있을까? 그러나 과연 얼마나 많은 그리스도인들이 유대인들의 예배력에 대해 알고 있을까? 우리는 유월절에 대해 조금은 알고 있을 수도 있다. 식료품점들은 사순절 식단(diets)과 유월절 식단을 함께 광고하니까 말이다. 우리에게 유대인 친구들이 있다면, “신년절(로쉬 하샤나, Rosh Hashanah)”과 “속죄일(욤 키푸르, Yom Kippur)”에 대해 들어보았을 것이다. 그러나 이 절기들이 유대인들에게 어떤 의미인지, 또는 이 절기들이 과거와 현재의 유대인들의 예배에서 어떻게 지켜졌는지 아는 사람은 거의 없다. 그밖에도 오순절(샤부옷, Shavuot), 초막절(수코트, Sukkoth), 수전절(Dedication)의 의미에 대해 아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이러한 무지를 생각한다면, 복음서들이 회당에서 형성된 전례용 책들(liturgical books)이라고 말하는 것은 우리에게 어떤 의미가 있을까? 대부분의 그리스도인들은 유대인들에 대해 잘 알지 못한다. 어떤 사람들은 겉으로 보기보다 훨씬 편견을 갖고 있으며, 때로는 무의식적으로 유대적인 모든 것에 대해 반대하기까지 한다. 그러나 우리가 복음서들을 유대 경전에 대한 지식과 유대인 예배공동체 안에서 잘 알려진 예배방식에 기초한 책으로 보기 전까지는, 복음서들이 담고 있는 보물 상자를 열 수 있는 열쇠를 결코 발견하지 못할 것이다.
(p. 108) 그는 예수 조상들의 족보에서 시작했다. 그는 이 족보가 문자 그대로의 역사가 아니라는 것도 분명하게 알고 있었다. 그러나 이 두 부분을 합치면 마태의 의도는 분명해진다. ‘우리는 예수의 삶 속에서 하느님의 현존을 경험했다’라고 그는 주장한다. 우리는 예수가 하느님에게서 왔고, 하느님이 그의 근원이며 그의 삶의 아버지였다고 믿는다. 비록 그것은 어떤 문자적인 방식으로도 입증될 수 없는 주장이지만, 하느님은 인간의 불완전한 상징, 약점, 심지어는 악함에서도 거룩함을 이끌어낼 수 있기 때문에 그것은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마태는 말한다. 하느님은 근친상간, 성매매, 유혹, 간음에서도 거룩함을 이끌어 낼 수 있다. 그러니 예수 운동의 대적자들이 조롱하도록 내버려 두어라! 예수의 출신이 천하다고 주장하며 예수의 성품을 모욕하게 내버려 두어라. 우리가 더 잘 알고 있다. 우리는 하느님이 그리스도 안에 계신다는 것, 그리고 하느님이 삶에서 거룩함을 이끌어내기 위해 인간의 어떤 환경을 통해서도 일하실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출판사 서평
“스퐁 주교는 복음서들을 철저하게 새롭게 보는 길을 열어준다.”
- Publishers Weekly
“85세에 새로운 책을 발표한 스퐁 주교는 자신의 평생 동안의 중심 주제인 그리스도교의 유대적 특성을 다시 치밀하게 다룬다. 그는 그런 특성을 부인하는 것은 너무나 해로운 것이라서 21세기의 그리스도교를 파괴시킬 것이라고 주장한다. 읽기 쉽고 강렬하다.”
- Booklist
“눈을 떼지 못하게 만드는 이 책은 마태복음 배후의 본래적 의미를 회복시켜 줌으로써 우리가 예수를 보는 방식과 오늘날 그를 따르는 방식에 큰 변화를 일으킨다. 스퐁 주교는 너무나 오랜 세월 동안 예수 이야기를 납치했던 ‘이방인들의 이단’이 초래한 무지함에 맞서 진실을 밝히는 매우 정직한 성직자이다.”
- Matthew Fox, 『원복』(Original Blessing) 저자
“스퐁 주교는 철저하게 성서적인 관점에서 성서 문자주의자들을 논파한다. 흥미진진한 이 책은 합리적이며 진정한 그리스도교 신앙을 찾는 이들을 해방시킨다. 새로운 세계에서 새로운 그리스도교를 추구하는 일은 그리스도교 신앙의 성서적 뿌리를 존중하고 영예롭게 되살리는 일이 필수적이다.”
- Peter Francis, 웨일즈 그래드스턴 도서관 관장
“성서 문자주의에 도전하는 탁월한 명저로서, 스퐁 주교는 성서의 문자를 우상처럼 숭배하는 것이 초래한 비극적 결과들을 밝히고 성서 문자주의가 왜 오늘날 매우 큰 문제가 되는지를 설명한다. 매우 중요하며 시의적절한 책이다.”
- Michael Down, Thank God for Evolution 저자
이 책을 읽으면서 생각할 질문들
여든 살이 넘은 주교가 도대체 왜 4년 동안 마태복음 연구에 매달려 힘겨운 저술에 매진했는가?
율법을 엄격히 지켜 구별됨을 통해 거룩함을 추구한 백성들에게 예수는 왜 복음을 가르쳤는가?
어두운 역사 속에서 하느님의 의를 위한 타는 목마름을 예수는 어떻게 해소하라고 가르쳤는가?
무고한 생명들이 떼죽음당하는 시대에 우리가 기도하는 하느님 나라는 어떻게 세울 수 있는가?
인류가 봉착한 전대미문의 위기를 돌파할 종교가 절실한 때에 왜 많은 이들이 교회를 등지는가?
철저한 은총과 무차별적 사랑의 종교가 공적과 심판의 종교로 전락한 신학적 뿌리는 무엇인가?
예수가 호소한 “요나의 표적”은 왜 우리의 종교적 편견들이 “용서받지 못할 죄”임을 고발하는가?
왜 속죄일의 유대적 의미에 대한 이방인의 오해가 은총의 종교를 심판의 종교로 둔갑시켰는가?
저자는 도대체 왜 성서 문자주의가 그리스도교 신앙 자체를 죽이는 사고방식이라고 역설하는가?
저자가 새로운 그리스도교의 기초로 제시한 성서의 중요성과 하느님의 신비와 의미는 무엇인가?
복음서들이 역사가 아니라 회당의 예배력 순서에 따른 “예배문서”라는 분석은 무엇을 뜻하는가?
예수의 탄생, 세례, 시험, 설교, 기적, 처형, 부활 이야기는 어떤 절기 예배들을 위한 것이었는가?
마가복음은 어떻게 신년절부터 유월절까지 적합한 예수 이야기들을 찾아 순서대로 배열했는가?
예수가 유월절에 처형된 것은 역사적 사실인가, 아니면 유월절 예배를 위한 전례상의 연결인가?
군중들이 예수의 죽음을 요구한 것은 왜 속죄염소에게 죄를 전가하고 죽게 만든 것과 똑같은가?
마가 저자는 속죄일, 초막절, 수전절에 적합한 예수의 가르침과 행적들은 무엇이라고 보았는가?
마가복음에는 없는 유월절 이후 신년절까지의 안식일 예배자료들을 마태는 어떻게 구성했는가?
마태 저자는 어떤 이야기들을 통해서 구약과 마가복음의 신학을 창조적으로 더욱 발전시켰는가?
마태의 예수 이야기는 어떻게 유대인들이 기대해왔던 메시아의 역할을 성취하도록 만들었는가?
왜 바울을 비롯해서 40년 동안 예수의 초자연적인 기적 이야기들을 아무도 언급하지 않았는가?
예수가 실제로 초자연적 기적들은 행했는가, 아니면 이사야의 표징들로 예수를 해석한 것인가?
그리스도교는 왜 유대인 학살을 반복했으며 역사상 가장 많은 사람들을 죽인 종교가 되었는가?
왜 나치 SS대원들, 서북청년단, 남미 독재정권의 학살단 거의 모두가 세례받은 신자들이었는가?
“거듭난 복음주의자들”은 왜 가정 폭력과 인종차별에서 다른 미국인들보다 훨씬 더 폭력적인가?
대다수 한국 교회의 지도자들과 교인들은 왜 성서에 근거해서 “차별금지법” 제정을 반대하는가?
세상 종말과 국가 개혁을 외치는 네오-파시스트들은 왜 항상 성경과 십자가를 앞에 내세우는가?
코로나19 이후 시대에도 왜 전능하신 하느님을 잘 믿는 사람일수록 생태계 파괴에 무관심한가?
왜 근본주의는 여성, 성소수자들, 타종교인 차별 및 과학에 반대하는 무기로 성서를 사용하는가?
예수의 동정녀 탄생과 기적 이야기들을 문자적으로 믿는 사람들은 왜 실천적인 무신론자들인가?
기본정보
ISBN | 9788997339525 |
---|---|
발행(출시)일자 | 2020년 06월 15일 |
쪽수 | 429쪽 |
크기 |
153 * 223
* 27
mm
/ 634 g
|
총권수 | 1권 |
Klover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리뷰 종류별로 구매한 아이디당 한 상품에 최초 1회 작성 건들에 대해서만 제공됩니다.
판매가 1,000원 미만 도서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일부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불편을 끼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래에 해당하는 Klover 리뷰는 별도의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리뷰는 1인이 중복으로 작성하실 수는 있지만, 평점계산은 가장 최근에 남긴 1건의 리뷰만 반영됩니다.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문장수집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