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주문/바로드림/제휴사주문/업체배송건의 경우 1+1 증정상품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패키지
북카드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작가정보
| 지은이 |
마시코 타카히로 益子貴寬
1975년생. 와세다 대학 대학원 상학연구과 수료.
대학원 재학중인 1999년 5월에 웹 리퍼런스&리소스 제공.
사이트‘CYBER@GARDEN’설립.
일반기업에 근무하면서 웹 디자인 잡지 투고와 W3C 䠶사양서 번역활동 계속.
2003년 5월에 웹 프로듀서로 독립.
(X)HTML, CSS, XML 어플리케이션, 접근성,
웹 트렌드에 관한 집필•강의.
저서『: 전달되는 웹 문장 디자인 100 철칙 傳わるWeb文章デザイン100の則』
| 옮긴이 |
김대석 (http://www.nmindplus.com/)
NHN Japan UX디자인센터 UIT팀 매니저.
일본 웹사이트 제작회사 미쯔에 링크스(MITSUE LINKS)에서 웹디자이너로 3년 근무.
| 감수자 |
신승식 Greg Shin
LG전자 러닝센터에서 과장으로 근무 중이며,2004년부터 웹 접근성 관련 W3C 문서 번역 작업과 정부 정책 참여 등 다양한 활동을 한 한국의 대표적인 웹 접근성 에반겔리스트이다.
신승식의 다른 생각(http://gregshin.pe.kr/)에서 그의 일상을 엿볼 수 있으며,
이 사이트는 웹 접근성 정책을 제공하는 국내 첫 번째 사이트이다.
신현석 Hyeonseok
웹 에이전시 Cidow에서 웹 표준화 추진팀장으로 근무 중이며,2004년부터 다수의 웹 표준 관련 컨퍼런스 발표, 강의 진행, 사이트 제작과 컨설팅 등을 수행한한국의 대표적인 웹 표준 에반겔리스트이다.특히 그가 제작한 재정경제부 웹 사이트는 2005년 한국 웹 어워드에서 접근성 부문 대상을 수상했으며,아름다운 세상을 위해서 노력하는 현석닷컴(http://hyeonseok.com/)에서 그의 다양한 목소리를 들을 수 있다.
조훈 Hooney
DBdib에서 웹 표준/접근성 컨설턴트로 활동하고 있다.
2005년부터 웹 표준/접근성 관련 커뮤니티 운영, 컨퍼런스 발표, 강의 진행 등 다양한 활동을 하며,특히 교육과 강의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이웃집 후니네(http://hooney.net)를 운영하며, 웹 표준을 준수한 사이트를 디자인 관점에서
날카롭게 분석하여 평가하는 csslook.com을 운영하고 있다.
사람과 정보의 상호작용(HII), 유니버설 웹 디자인, 웹 디자인 2.0 등에 관심이 많다.
강민혜 Kukie
프리랜서 웹 디자이너로 활동하며,
2005년부터 웹 표준 관련 커뮤니티 운영, 컨퍼런스 발표, 워크숍 진행 등 다양하게 활동하고 있다. 특히 국내 웹 표준 커뮤니티에서 활동하는 유일한 여성 회원으로
한국의 Molly (Web Standards Project 리더)라고 불릴 정도다.
그녀의 블로그 쿠키네(http://kukie.net/)에서 웹 표준을 준수하면서
디자인적 가치를 높이는 방향에 관한 다양한 고민을 확인할 수 있다.
번역 김대석
목차
- 제1장 소개-웹표준은 무엇인가
1. 누가 웹표준을 정하는가
2. 인프라와 트렌드에서 생각하는 웹표준
3. 웹표준의 장점
4. 구조언어와 표현언어
5. 그 밖의 언어와 가이드라인
제2장 문서구조-XHTML 웹페이지 구축 시작
1. 웹 구조 이해
2. XHTML의 전체 모양과 서식
3. XML선언, 문서형 선언, 네임 스페이스와 언어코드
4. 타이틀, 문자코드세트, 설명문과 키워드
5. 검색로봇 제어, 그 밖의 메타데이터, 내비게이션 링크
6. 제목, 문단, 작성자 정보, 구분선
7. 인용문, 정형화된 텍스트
8. 항목 목록과 번호 목록, 정의형 목록, 표
9. 링크, 이미지
10. 텍스트를 정의하기 위한 인라인 요소
11. 그룹화 요소, 주석 삽입, 문자참조
제3장 시각표현-CSS 웹페이지를 자유롭게 디자인하기
1. CSS의 역할
2. CSS의 서식
3. CSS 적용방법과 우선순위
4. 선택자와 가상 클래스ㆍ가상 요소
5. 박스모델
6. 시각정형모델
7. 시각효과
8. 문자색과 배경
9. 글꼴
10. 텍스트
11. 표
12. 생성내용
13. 목록
14. 사용자 인터페이스
15. @규칙과 미디어 컨트롤
제4장 상호작용-웹 사이트를 장식하는 다양한 콘텐츠
1. 폼 설치
2. 스크립트 삽입
3. 이미지맵 삽입
4. 인라인 프레임 삽입
5. Java애플릿 삽입
6. 오브젝트 삽입
7. 프레임 설정
제5장 리디자인-웹표준으로 매끄러운 전환
1. HTML4.01, XHTML1.0, XHTML1.1의 차이
2. HTML에서 XHTML으로 전환하는 방법
3. XHTML1.1 폐지 요소 대체
4. XHTML1.1 폐지 속성 대체
5. XHTML1.1 추가 요소 해설
제6장 크로스 브라우저 레이아웃-브라우저를 차별하지 않는 레이아웃 기법
1. 브라우저의 구현과 호환성
2. 문서형식 전환과 표현방식
3. CSS핵
4. 외부 스타일시트 만들기
5. 레이아웃 기법(1)-문서본체
6. 레이아웃 기법(2)-내비게이션
7. 레이아웃 기법(3)-링크
8. 레이아웃 기법(4)-텍스트
9. 레이아웃 기법(5)-제목글
10. 레이아웃 기법(6)-인용문
11. 레이아웃 기법(7)-목록
12. 레이아웃 기법(8)-테이블
13. 레이아웃 기법(9)-폼
14. 레이아웃 기법(10)-이미지 대체 기법
15. 레이아웃 기법(11)-다단 레이아웃
16. 레이아웃 기법(12)-인쇄용 스타일
제7장 접근성-다양한 사용자를 배려하는 설계
1. 접근성이란
2. W3C의 대처: WAI
3.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1.0(WCAG1.0)
4. 미국 재활법 508조(Section 508)
제8장 메타데이터-효율적인 정보 수집을 지원하는 웹 기술
1. 메타데이터와 시맨틱 웹
2. RSS로 하는 효율 정보 전달
3. FOAF로 하는 인물 프로파일 제공
부록
옮긴이의 말
감수자의 말
출판사 서평
1. 웹표준이 대세
웹표준이 일반 대중에게 알려진 것은 2005년 6월 코리아 인터넷 닷컴에서 진행한 CSS 세미나부터일 것이다. 그뒤 2년 동안 변화가 많았다. 한국 웹 표준화프로젝트 (http:// webstandards.or.kr/), CSS 디자인 코리아 (http://standardmag.org), 한국 웹 접근성
(그룹(http://kwag.net) 등 관련 커뮤니티들이 생겼고,‘ 웹표준의 날’같은 행사도 진행되고
다양한 웹표준 관련 세미나가 열렸다. 또한 팀인터페이스의 UI아카데미에서 웹표준과 웹접근성 교육을 정기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2. 웹표준은 웹의 근간
웹표준이 처음 알려질 때만 해도, 많이 사용되는 것이 표준이고 W3C의 표준을 따라갈 필요는 없다거나, 수지타산 이 맞지 않는 투자는 필요 없다거나, 과연 웹표준이 도움이
필요한지 의문이 많았다. 하지만 웹표준에 관한 관심 은 엄청나게 늘어 웹표준을 부정
적으로 또는 옵션으로 바라보는 사람은 거의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이제는 대규모
포털 업체나 대기업들이 앞장서서 웹표준을 연구하고 적용하고 있다. 웹사이트를 가장 많이 만들지만 별다른 관심이 나 개선점이 보이지 않던 웹에이전시 업계에서도 웹표준을 새롭게
인식하려는 움직임을 보인다. 이제 웹표준은 웹을 올바르게 만드는 데 가장 기본인 근간
기술임에 모든 사람이 동의한다.
3. 실제로 도움이 되도록
이제 인식을 퍼뜨리는 단계는 지났고 다음 단계를 준비할 때이다. 이 순간에도 초기 웹표준 멤버들은 같은 고민을 한다. 현재 가장 필요한 다음 단계는 웹표준이 우리에게 보여준
많은 장점을 믿고 적용하려는 웹사이트 제작자들이 느낄 수 있게 하는 일이다. 그러려면
웹표준 입문서나 기초 교육이 아닌 실제로 도움이 되는 게 필요하다. 한국 소프트웨어
진흥원 도움으로 실전 웹표준 가이드도 나왔고, 더블트랙의 박수만이 번역한 웹표준 관련 서적이 세 권 있고, 웹표준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가능성을 보인 미투데이(http://me2day.
Net) 같은 서비스도 있다. 하지만 웹표준을 처음 접하는 사람이 참고할 책이나 사이트가 부족한 게 현실이다
4. 전문가조차 들춰보게 할 만큼 상세하게 다룸
이렇게 부족함을 공감하던 사람들에게『웹표준 교과서』는 가뭄에 내리는 단비처럼 갈증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다. 기존 번역서들은 친절하고 상세하지만 웹표준의 전체적 규모를
알게 하는 데에는 부족했다.『 웹표준 교과서』는 웹표준에 관해 많이 안다고 자부하던
전문가조차 자료를 다시 들춰보게 할 만큼 상세하다. 다루는 내용도 역사적 관점, 마크업
스타일, 웹 기능, 크로스 브라우징, 웹 접근성, 검색엔진 최적화 등 굉장히 넓다. 기초적 내용부터 전문적 내용까지 모든 내용을 다룬다. 교과서로 삼을만하고 웹을 만들 때 옆에
보는 조언자 구실을 훌륭하게 할 책이다.
5. ‘바른’웹사이트 만드는 도우미
웹표준을 알던 사람에게는 내용을 되새겨 탄탄한 지식을 만들게 하고, 처음 접하는 이들에게 웹표준의 범위와 깊이를 느끼게 하고 웹표준을 상세하고 완벽하게 이해하게 만들 것이다. 이 책을 통해 많은 사람이 XHTML과 CSS로‘바른’웹 사이트를 만드는 데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
기본정보
ISBN | 9788995527634 |
---|---|
발행(출시)일자 | 2009년 01월 15일 (1쇄 2007년 06월 25일) |
쪽수 | 613쪽 |
크기 |
182 * 257
mm
|
총권수 | 1권 |
Klover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문장수집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판매가 5,000원 미만 상품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