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의 복식
도서+교보Only(교보배송)을 함께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20,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1Box 기준 : 도서 10권
알림 신청하시면 원하시는 정보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해외주문/바로드림/제휴사주문/업체배송건의 경우 1+1 증정상품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패키지
북카드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작가정보
유희경은 전통복식 분야 제1호 박사이다. 1972년 왕의 제복(祭服)인 면복(冕服)에 대한 연구로 박사논문을 발표하여 불모지나 다름없던 우리 옷에 대한 체계적이고 이론적인 연구의 포문을 열었다. 이후 이화여자대학교에서 후학들을 지도양성 하였으며, 퇴임 후에는 복식문화연구원을 설립하여 학계는 물론 현장에서의 활동에도 적극 참여하여 우리 옷의 발전과 계승에 이바지해 왔다. 1986년에 구장복 복원을 시작으로 궁중복식은 물론 전통 복식의 복원과 재현을 주도해 왔으며, 이후 한복의 고급화와 세계화를 이루기 위한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 문화공보부 정책자문 위원, 한국의류학회 초대회장, 복식학회장을 역임하였고, 현재 (사)한국복식과학재단과 한국복식학회 고문, 문화재위원회 위원, 아미박물관 자문위원을 맡고 있다. 저서로는 『한국복식사연구』(1975)와 『한국복식문화사』(1989)가 있다
(사)한국복식과학재단 상임이사인 한복디자이너 김혜순은 오랫동안 우리 옷의 원형을 복원하는 작업에 참여해 왔으며, 드라마와 영화 등을 통해 우리 옷의 멋과 가치를 대내외적으로 각인시키는 역량을 발휘해 왔다. 2003년 서울역사박물관에서 개최한 <저고리 600년사>와 파리에서의 <조선시대 궁중의상 전시회>, 2004년 세계박물관대회 기념특별전과 폐막리셉션 <김혜순한복 초청 어린이한복 패션쇼>, 2005년 <기생>展, 2007년에는 미국 스미소니언박물관에서 강연 및 저고리전시를 개최하는 등 현재까지 국내외의 다양한 문화축제에서 우리 옷의 아름다움을 전파하는데 기여해 오고 있다. 특히 지난 2006년 제작한 KBS드라마 <황진이>를 통해서 우리 옷의 새로운 가능성은 물론 패션계에 큰 반향을 일으키면서 패션산업의 변화와 발전의 결점을 형성해 왔다. 2007년 문화관광부장관 표창장 수여와 삼성전자 김치냉장고 디자인, 2008년의 FENDI BAG 디자인을 했으며, 근래에는 ‘한국스타일(Korea Style)의 세계화’에 적극 참여하여 한복의 아름다움을 국내는 물론 해외에도 널리 알리는 문화전도사로서 활약하고 있다. 현재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에 출강하고 있으며 원광디지털대학교 겸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아름다운 우리 저고리』(2004), 『김혜순의 황진이』(2006)가 있으며, <무인시대>, <토지>, <태양인 이제마>를 비롯한 20여 편의 드라마 의상과 영화 <천년학>, 국립극장의 춤 <춘향>의 의상을 제작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목차
- 발간사 |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
통서 | 도올 김용옥
한국복식사 연구에 대한 회고 |유희경
왕의 복식의 역사적 전개 | 김혜순
왕의 복식 연구에 있어서 미적 가치와 사회문화적 의미의 상관성 | 변청자
1장. 면복
1. 십이장복
십이류면
의
십이장문
상
중단
폐슬
패옥
대대 ․ 후수
옥대
말
석
규
방심곡령
중치막
저고리
바지
2. 구장복
구류면
의
상
중단
폐슬
패옥
대대 ․ 후수
석
규
2장. 조복
통천관
강사포
상
중단
폐슬
대대 ․ 후수
말
화
3장. 상복
익선관
곤룡포
황룡포
홍룡포
흑룡포
4장. 융복
흑립
철릭
광다회
5장. 구군복
전립
동달이
전복
광대
전대
7. 평상복
상투관
주의
도포
도포끈
책 속으로
왕의 복식은 용도에 따라 제복(祭服), 조복(朝服), 상복(常服), 융복(戎服), 군복(軍服), 평상복(平常服)으로 구분하는데, 머리에 쓰는 관을 기준으로 다른 이름을 사용하기도 한다. 제복은 면복이라고 하는데 면복은 의(衣)와 면류관으로 구성되며 황제는 십이장복, 왕은 구장복을 착용한다. 이것은 의복에 장식하는 문양의 수와 면류관에 늘이는 유(旒)의 수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조복은 통천관복, 원유관복이라고 하며, 강사포를 입고 통천관이나 원유관을 썼다. 통천관은 천자가 착용하는 관으로 우리나라에서는 고종 황제가 착용하였다. 상복은 익선관복을 말하는데, 곤룡포를 입고 익선관을 썼다. 황제는 황룡포, 왕은 홍룡포, 왕세자는 흑룡포를 입었고, 용보(龍補)를 달았다고 하여 용포(龍袍)라고도 한다. 융복은 흑립과 철릭으로 구성되며, 구군복은 전립을 쓰고 동달이와 전복을 입었다. 평상복은 사대부의 평상복과 유사하며 종류가 다양하다.
- 본문 중에서 -
십이장복은 12가지 문양[十二章紋]으로 장식한 옷이라는 뜻에서 이름 지어졌으며, 이들 장문은 각 신분에서 갖추어야 할 덕목을 의미한다. 황제가 착용하는 십이장복에는 일(日),월(月, 성신(星辰), 산(山), 용(龍),화(火), 화충(華蟲) , 종이(宗彛),조(藻) ,분미(粉米), 보(黼),불의 12가지의 문양을, 9장복에는 12장문 중 일 · 월 · 성신을 제외한 9가지의 문양을, 7장복에는 9장문 중 산과 용을 제외한 7가지의 문양을, 5장복에는 9장문 중 산,용, 화, 화충을 제외한 5가지의 문양을 새겨 이를 통해 신분을 나타내었다. 웃옷[上衣]에 해당하는 ‘의(衣)’에는 황제 6장, 왕과 황태자 5장을, 아래옷[下衣]에 해당하는 ‘상(裳)’에는 황제 6장, 왕과 황태자 4장을 그리도록 하였으며, 이로써 황제의 면복으로는 십이류면 십이장복을, 왕과 황태자의 면복은 구류면 구장복을 사용하도록 하였다. ‘의’는 십이장복의 가장 상징적인 복식으로 왕이 입는 포(袍)라는 의미이며, 현색(玄色)으로 만들어 ‘현의(玄衣)’라고도 한다.
- 본문, 「면복 : 십이장복 ‘의’」 중에서 -
출판사 서평
이 책은 오랜 기간 복식 관련 고전을 비롯한 국내외의 관련 사료들을 연구한 결과인 만큼 학술적인 견고함이 실로 대단하다. 탄탄한 연구 성과를 통해 왕의 복식을 재조명하고 아울러 우리 전통 복식 전반을 통찰하고 있다. 이 책을 높이 평가할 수밖에 없는 또 하나의 이유는 당시의 왕의 복식 그대로를 복원하고 일습으로 재현했다는 점으로, 이는 전례 없는 과정이다. 기술적인 복원을 위해 다년간 유물의 기법을 연구하고 문헌을 통해 남아있지 않은 왕의 옷까지도 재현하였다. 학술적으로도 기술적으로도 어찌 이보다 더 밀도 있게 왕의 복식을 다룰 수 있겠는가! 조선 후기 및 대한제국 시기의 왕의 복식을 다루는 유일한 책인 『왕의 복식』은 전통복식사뿐 아니라 문화, 예술, 역사 전반에 이르는 인문학 전통복식 전문가를 비롯한 일반인들에게 왕의 옷에 관한 최대한의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독자들로 하여금 우리 전통복식의 의미를 새기고 자긍심을 가질 수 있게 하는 전초가 될 것이다. 동시에 이 책이 전통문화 관련 연구의 본보기가 되고 나아가 우리 문화예술의 고급화, 세계화를 위한 밑거름이 되길 기대한다.
기본정보
ISBN | 9788993140040 ( 8993140049 ) |
---|---|
발행(출시)일자 | 2009년 11월 17일 |
쪽수 | 268쪽 |
크기 |
230 * 320
mm
|
총권수 | 1권 |
Klover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리뷰 종류별로 구매한 아이디당 한 상품에 최초 1회 작성 건들에 대해서만 제공됩니다.
판매가 1,000원 미만 도서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일부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불편을 끼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래에 해당하는 Klover 리뷰는 별도의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리뷰는 1인이 중복으로 작성하실 수는 있지만, 평점계산은 가장 최근에 남긴 1건의 리뷰만 반영됩니다.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문장수집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