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주문/바로드림/제휴사주문/업체배송건의 경우 1+1 증정상품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패키지
북카드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작가정보
저자(글) 광명스님
목차
- 目次
머리말 8
第一章 佛敎의 意義
Ⅰ. 불교(佛敎)의 정의(定義) 20
Ⅱ. 불교(佛敎)의 목적(目的) 24
1. 상구보리(上求菩提) 25
2. 하화중생(下化衆生) 28
[육바라밀(六波羅蜜)]
1. 보시바라밀(布施波羅蜜) | 2. 지계바라밀(持戒波羅蜜)| 3. 인욕바라밀(忍辱波羅蜜)
4. 정진바라밀(精進波羅蜜)| 5. 선정바라밀(禪定波羅蜜)| 6. 반야바라밀(般若波羅蜜)
第二章 佛敎의 歷史
第一. 佛敎 以前時代 40
1. 佛敎以前의 印度38 | 2. 佛陀時代의 思想40
第二. 根本佛敎 47
1. 불타(佛陀)의 생애 47
2. 근본교리(根本敎理) 52
(1) 사성제(四聖諦)| (2) 중도(中道)와 무기(無記)| (3) 무아(無我), 무상(無常)
(4) 오온(五蘊)| (5) 법(法)과 연기(緣起)| (6) 십이연기(十二緣起)| (7) 삼법인설(三法印說)
第三. 部派佛敎(小乘佛敎) 68
1. 부파불교(部派佛敎)의 성립 68
2. 불전(佛典)의 결집(結集) 75
3. 부파불교(部派佛敎)의 교리 77
(1) 다르마와 아비다르마| (2) 승의유(勝義有)와 세속유(世俗有)
(3) 유위법(有爲法)과 무위법(無爲法)| (4) 유루법(有漏法)과 무루법(無漏法)| (5) 5위 75법
第四. 大乘佛敎 81
Ⅰ. 大乘佛敎의 胎動 81
1. 대승(大乘)과 소승(小乘)의 뜻| 2. 대승불교의 기원
Ⅱ. 大乘佛敎의 발전 86
Ⅲ. 大乘佛敎 경전(經典) 86
第三章 大乘佛敎의 思想
第一. 보살사상(菩薩思想) 94
Ⅰ. 보살(菩薩)의 의의(意義) 94
1. 보살(菩薩)의 뜻| 2. 보살사상의 기원| 3. 보살(菩薩)임을 자각한 신자
Ⅱ. 보살도(菩薩道) 97
1. 보살행의 전제조건 97
(1) 신(信 : 믿음)| (2) 발보리심(發菩提心)| (3) 원(淸淨願)| (4) 무진에(無瞋?)
2. 보살(菩薩)의 실천행(實踐行) 107
(1) 방편바라밀(方便波羅蜜)| (2) 원바라밀(願波羅蜜)| (3) 역바라밀(力波羅蜜)
(4) 지바라밀(智波羅蜜)
第二. 중관사상(中觀思想) 112
Ⅰ. 용수(龍樹)의 전기(傳記) 113
1. 청년시기의 용수| 2. 불법(佛法)을 공부하는 용수| 3. 용수(龍樹)의 저작
Ⅱ. 中觀(中道)思想의 敎理 114
1. 연기(緣起)| 2. 공(空)인 연기(緣起)| 3. 연기(緣起)와 공(空)의 기능| 4. 공(空)의 내용
第三. 유식사상(唯識思想) 124
1. 인도유식학의 성립 125
2. 유식학의 중국전래 126
3. 유식학의 한국전래 127
第四. 여래장사상(如來藏思想) 128
Ⅰ. 여래장사상(如來藏思想)의 역사(歷史) 128
Ⅱ. 여래장사상의 교리 129
1. 여래장의 의의(意義)| 2. 여래장과 아트만 | 3. 공여래장(空如來藏), 불공여래장(不空如來藏)
4. 여래장과 아뢰야식(阿賴耶識)| 5. 여래장사상을 정비한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
第五. 정토사상(淨土思想) 137
Ⅰ. 제불(諸佛)의 정토(淨土) 138
1. 정토(淨土)의 의미| 2. 타방정토설(他方淨土說)| 3. 유심정토설(唯心淨土說)
Ⅱ. 정토(정토), 아미타불(阿彌陀佛) 명의(名義)와 기원(起源) 148
1. 정토(淨土)의 명의(名義)| 2. 아미타불(阿彌陀佛)의 명의(名義)
3. 아미타불(阿彌陀佛)신앙의 기원
第六. 밀교사상(密敎思想) 151
Ⅰ. 밀교(密敎)의 명의(名義) 152
Ⅱ. 밀교(密敎)의 역사(歷史) 152
1. 근본불교(根本佛敎)시대| 2. 초기밀교(初期密敎)
3. 중기밀교(中期密敎)| 4. 후기밀교(後期密敎)
Ⅲ. 밀교(密敎)의 2대경전(二大經典) 157
1. 대일경(大日經)| 2. 금강정경(金剛頂經)
Ⅳ. 밀교(密敎)의 교리(敎理) 162
1. 6대(六大) : 體大 162
(1) 6대의 철학적 의미 | (2) 6대의 종교적 의미 | (3) 6대와 오륜탑파
2. 만다라(曼茶羅, Mandala) : 相大 168
(1) 만다라(Mandala)의 의미 | (2) 만다라(Mandala)의 종류
(3) 양부만다라(兩部曼茶羅)
3. 삼밀(三密) : 용대(用大) 211
(1) 삼밀(三密:用大)의 의의(意義)| (2) 신밀(身密, K?ya guhya)
(3) 구밀(口密, V?g guhya)| (4) 의밀(意密, Samadhi-guhya)
第四章 緣起論
第一. 業感緣起(업감연기) 218
Ⅰ. 업(業)의 의의 218
Ⅱ. 업(業)의 종류(種類) 219
Ⅲ. 업(業)의 성질(性質) 220
Ⅳ. 업(業)의 원인(原因) : 번뇌(煩惱) 220
第二. 阿賴耶識緣起(아뢰야식연기) 223
Ⅰ. 삼성(三性)과 삼무성(三無性) 224
1. 삼성(三性)| 2. 삼무성(三無性)
Ⅱ. 제법(諸法)의 분류 227
1. 5위100법(五位百法)| 2. 심왕법(心王法)| 3. 심소법(心所法)
4. 색법(色法)| 5. 불상응행법(不相應行法)| 6. 무위법(無爲法)
Ⅲ. 식(識)의 종류(種類) 235
1. 식(識)의 뜻| 2. 여덟 종류의 식(識)
Ⅳ. 전오식(前五識) 239
Ⅴ. 제6의식(第六意識) 241
1. 의식(意識)의 뜻| 2. 의근(意根)| 3. 의식(意識)의 특성(特性)
Ⅵ. 제7말나식(末那識) 245
1. 말나식(末那識)의 뜻| 2. 말나식(末那識)의 특성(特性)
3. 말나식(末那識)의 근(根)| 4. 말나식(末那識)의 4번뇌(四煩惱)
Ⅶ. 아뢰야식(阿賴耶識) 253
1. 아뢰야식의 뜻| 2. 아뢰야식의 삼상(三相)
3. 아뢰야식의 사분(四分)
Ⅷ. 종자(種子) 263
1. 종자(種子)의 의미(意味)| 2. 종자론(種子論)
Ⅸ. 훈습(熏習)과 현행(現行) 270
1. 훈습(熏習)| 2. 현행(現行)| 3. 훈습과 현행의 관계(阿賴耶緣起)
第三. 眞如緣起(진여연기) 279
Ⅰ. 진여(眞如)의 의의(意義) 280
1. 경(經),논(論)에서 말하는 진여(眞如)| 2.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의 진여(眞如)
Ⅱ. 연기(緣起)의 근원(根源) : 아려야식(阿黎耶識) 282
1. 진여연기(眞如緣起)의 문제점| 2. 아려야식(阿黎耶識)
Ⅲ. 근본불각(根本不覺) : 무명(無明) 285
1. 무명(無明)의 의의(意義)| 2. 무명(無明)의 원동력(原動力)
3. 무명(無明)의 체성(體性)| 4. 무명(無明)의 시초(始初)
Ⅳ. 지말불각(枝末不覺) : 염법연기(染法緣起) 289
1. 삼세(三世)| 2. 육추(六?)
Ⅴ. 아려야식(阿黎耶識)의 각(覺) 296
1. 시각(始覺)| 2. 본각(本覺)
Ⅵ. 각(覺)과 불각(不覺)의 관계 313
1. 동상(同相)| 2. 이상(異相)
Ⅶ. 훈습(熏習) 317
1. 훈습(熏習)의 의미(意味)| 2. 염훈습(染熏習)| 3. 정훈습(淨熏習)
第四. 法界緣起(법계연기) 332
Ⅰ. 화엄사상(華嚴思想)의 두 원리(相入, 相卽) 333
1. 상입(相入, mutual penetration, mutual entering)의 원리
2. 상즉(相卽, mutual identity)
Ⅱ. 연기인문육의(緣起因門六義) 340
1. 연기인문육의(緣起因門六義)의 의미| 2. 인문육의(因門六義)
3. 인문육의(因門六義)와 상입(相入), 상즉(相卽)
Ⅲ. 법계연기(法界緣起) 345
1. 법계(法界)의 의의(意義)| 2. 사종법계(四種法界)
3. 십현연기(十玄緣起)| 4. 육상원융(六相圓融)
第五. 六大緣起(육대연기) 368
第五章 實相論
第一. 法體實有論(법체실유론) 369
Ⅰ. 삼세실유법체항유설(三世實有法體恒有說) 370
1. 삼세실유법체항유(三世實有法體恒有)의 내용
2. 이교증(二敎證)과 이리증(二理證)
3. 제행무상(諸行無常)과의 관계
Ⅱ. 과미무체설(過未無體說)과 현법가실설(現法假實說) 375
1. 과미무체설(過未無體說)| 2. 현법가실설(現法假實說)
第二. 法體空性論(법체공성론) 376
Ⅰ. 공(空)의 사상(思想) 377
1. 공(空)의 의의(意義)| 2. 경(經), 논(論)에서의 공(空)
Ⅱ. 중관사상(中觀思想)의 중도실살(中道實相) 388
1. 팔불(八不)| 2. 공(空)의 내용| 3. 중도실상(中道實相)
Ⅲ. 유식학파(唯識學派)의 유공중도론(有空中道論) 400
1. 삼성(三性)| 2. 삼무성(三無性)| 3. 삼성(三性)과 삼무성(三無性)의 관계
Ⅳ. 천태학(天台學)의 제법실상(諸法實相) 403
1. 삼제원융(三諦圓融)| 2. 일념삼천(一念三千)
第六章 修行論
第一. 修行(수행)의 階位(계위) 415
1. 번뇌장(煩惱障)과 소지장(所知章)
2. 이장(二障)의 단(斷)과 복(伏)
Ⅰ. 자량위(資糧位) 419
1. 십주(十住)| 2. 십행(十行)| 3. 십회향(十廻向)
Ⅱ. 가행위(加行位) 423
Ⅲ. 통달위(通達位) : 見道 426
Ⅳ. 수습위(修習位) : 修道 427
1. 2지(二智)의 증득| 2. 구생기(俱生起)의 2장(二障)을 끊음(斷)
3. 십지(十地)의 차제(次第)
Ⅴ. 구경위(究竟位) : 無學道(佛果) 432
1. 4종열반(四種涅槃)| 2. 보리(菩提)의 4지(四智)| 3. 불신(佛身)
第二. 修行方法(수행방법) 436
Ⅰ. 염불선(念佛禪) 437
1. 염불(念佛)의 의미| 2. 염불(念佛)의 기원| 3. 염불(念佛)의 종류와 방법
4. 염불수행절차
Ⅱ. 간화선(看話話禪) 457
1. 간화선(看話禪)의 의의| 2. 화두참구(話頭參究)의 전제(前提)
3. 화두참구(話頭參究)의 실제
Ⅲ. 주력선(呪力禪) 468
1. 주력(呪力)의 기원과 정의 | 2. 우리나라의 주력수행 | 3. 삼밀수행(三密修行)
補論 Ⅰ. 불교(佛敎)에서 본 기세간(器世間) 478
Ⅰ. 기세간(器世間)의 구조(構造) 478
Ⅱ. 욕계(欲界) 482
Ⅲ. 색계(色界) 483
Ⅳ. 무색계(無色界) 484
Ⅴ. 기세간(器世間)의 생멸과정 485
補論 Ⅱ. 상태(狀態)의 공존(共存) : 유(有)와 무(無)의 공존(共存) 489
1. 빛은 파동이면서 입자(파동과 입자의 이중성) 490
2. 전자(電子)는 입자이면서 파동(입자와 파동의 이중성) 495
3. 상태의 공존 497
참고문헌506
기본정보
ISBN | 9788992988308 | ||
---|---|---|---|
발행(출시)일자 | 2009년 07월 27일 | ||
쪽수 | 507쪽 | ||
크기 |
188 * 254
mm
|
||
총권수 | 1권 | ||
이 책의 개정정보 |
새로 출시된 개정판이 있습니다.
개정판보기
|
Klover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리뷰 종류별로 구매한 아이디당 한 상품에 최초 1회 작성 건들에 대해서만 제공됩니다.
판매가 1,000원 미만 도서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일부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불편을 끼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래에 해당하는 Klover 리뷰는 별도의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리뷰는 1인이 중복으로 작성하실 수는 있지만, 평점계산은 가장 최근에 남긴 1건의 리뷰만 반영됩니다.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문장수집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