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의 기원
도서+교보Only(교보배송)을 함께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20,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1Box 기준 : 도서 10권
알림 신청하시면 원하시는 정보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해외주문/바로드림/제휴사주문/업체배송건의 경우 1+1 증정상품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패키지
북카드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수상내역/미디어추천
작가정보
저자 가라타니 고진 柄谷行人 Karatani Kojin은 1941년 생. 세계적인 비평가이자 사상가이다. 주요 저서로는 《정본 가라타니 고진집》의 『일본근대문학의 기원』, 『은유로서의 건축』, 『트랜스크리틱』, 『역사와 반복』, 『네이션과 미학』이 있으며 그 외에 『언어와 비극』, 『근대문학의 종언』, 『세계공화국으로』, 『정치를 말하다』, 『세계사의 구조』, 『철학의 기원』, 『유동론』, 『제국의 구조』 등 다수가 있다.
번역 조영일
역자 조영일 曺泳日은 서강대 국문학과 박사과정 수료하고 현재 대학에서 강의를 하며 문학평론가로 활동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가라타니 고진과 한국문학』, 『한국문학과 그 적들』, 『세계문학의 구조』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는 가라타니 고진의 『언어와 비극』, 『근대문학의 종언』, 『세계공화국으로』, 『역사와 반복』, 『네이션과 미학』, 『정치를 말하다』, 『문자와 국가』, 『세계사의 구조』, 『자연과 인간』 등이 있다.
목차
- 서문 9
한국어판 서문 ㆍ 11
서문 ㆍ 17
서론 19
1. 보편종교 ㆍ 21
2. 윤리적 예언자 ㆍ 26
3. 모범적 예언자 ㆍ 29
제1장 이오니아의 사회와 사상 33
1. 아테네와 이오니아 ㆍ 35
2. 이소노미아와 데모크라시 ㆍ 39
3. 아테네의 데모크라시 ㆍ 44
4. 국가와 민주주의 ㆍ 49
5. 식민과 이소노미아 ㆍ 52
6. 아이슬란드와 북아메리카 ㆍ 59
7. 이소노미아와 평의회 ㆍ 65
제2장 이오니아 자연철학의 배경 71
1. 자연철학과 윤리 ㆍ 73
2. 히포크라테스 ㆍ 80
3. 헤로도토스 ㆍ 85
4. 호메로스 ㆍ 90
5. 헤시오도스 ㆍ 97
제3장 이오니아 자연철학의 특질 105
1. 종교비판 ㆍ 107
2. 운동하는 물질 ㆍ 109
3. 제작과 생성 ㆍ 116
제4장 이오니아 몰락 이후의 사상 125
1. 피타고라스 ㆍ 127
a. 윤회의 관념_127
b. 이중세계_132
c. 수학과 음악_137
2. 헤라클레이토스 ㆍ 143
a. 반민중적_143
b. 반피타고라스_149
3. 파르메니데스 ㆍ 155
a. 헤라클레이토스와 파르메니데스_155
b. 피타고라스 비판_160
c. 간접증명_164
4. 엘레아학파 이후 ㆍ 169
a. 엠페도클레스_169
b. 원자론_171
c. 폴리스에서 코스모폴리스로_174
제5장 아테네제국과 소크라테스 179
1. 아테네제국과 민주정 ㆍ 181
2. 소피스트와 변론의 지배 ㆍ 187
3. 소크라테스의 재판 ㆍ 191
4. 소크라테스의 수수께끼 ㆍ 197
5. 다이몬 ㆍ 203
6. 소크라테스의 문답법 ㆍ 207
7. 플라톤과 피타고라스 ㆍ 212
8. 철인왕 ㆍ 215
9. 이소노미아와 철인왕 ㆍ 220
미주 225
| 부록 |
1. 『세계사의 구조』에서 『철학의 기원』으로 ㆍ 241
2. 고대 그리스사 연표 ㆍ 248
3. 사상가 연표 ㆍ 251
4. 지도 ㆍ 252
옮긴이 후기 ㆍ 255
책 속으로
● 『철학의 기원』 집필동기 ? 소크라테스의 명예회복
“나는 10대 중반에 철학소년은 아니었지만 소크라테스, 데카르트, 칸트에 대해 알고 있었다. 그들은 모두 자명하게 보이는 것을 근본적으로 의심한 사람들이다. 그래서 제대로 읽지도 않을 때부터 그들은 내게 히어로였다. 하지만 이후 현대철학 책을 읽게 되자, 그들 대부분이 비판대상이 되어있는 것을 발견했다. 그것은 유쾌하지 않은 일이었지만, 내게는 그것을 반박할 만한 식견이 없었다. 다른 한편으로 그들을 옹호하는 담론이 있었다. 아니 오히려 그것이 표준적이었다. 하지만 내게 그것은 더욱 마음에 들지 않았다. 그 결과 나는 철학 자체를 회피하게 되었다. 그래서 문학으로 향했던 것이다.
하지만 나는 이후에도 그들을 계속 의식하고 있었다. 문학비평이라는 형태로 그들의 명예를 회복하려고 했다고 해도 좋다.”(11쪽)
● 소크라테스가 광장으로 간 이유
“소크라테스가 택한 것이 아고라(광장?시장)에 가는 것이었다. 민회가 공적인 장(場)인 데에 반해 광장(아고라)은 사적인 장이다. 하지만 그곳이 그저 사적인 곳만은 아니다. 민회 이상으로 보편적으로 열린 장소이다. 아테네의 민주주의는 오늘날 직접민주주의로 불리며 종종 대의민주주의를 넘어서는 것으로 간주된다. 민주주의란 바로 데모스=시민의 지배이다. 그런데 여성, 외국인, 노예는 민회에 참석할 수 없었다. 그리고 ‘데모스’에 들어가지 않는 사람들이 대거 광장에 있었다. ‘정의’는 오히려 거기서 발견되어야 한다. 소크라테스가 광장에 나간 것은 그 때문이었다.”(12-13쪽)
● 민주주의의 한계와 그 극복
“근대의 민주주의란 자유주의와 민주주의의 결합, 즉 자유-민주주의이다. 그것은 상극하는 자유와 평등의 결합이다. 자유를 지향하면 불평등하게 되고, 평등을 지향하면 자유가 손상을 입는다. 자유-민주주의는 이런 딜레마를 넘어설 수 없다. 그것은 예를 들어 자유를 지향하는 리버테리언(신자유주의)이라는 극과 평등을 지향하는 사회민주주의(복지국가주의)의 극을 진자처럼 오가며 움직이게 된다.
오늘날의 자유-민주주의는 인류가 도달한 최종적인 형태이기에 인내하면서 그 한계까지 천천히 나아가는 수밖에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당연하지만 자유-민주주의는 마지막 형태가 아니다. 그것을 넘어서는 길이 있다. 그리고 그것을 위한 열쇠를 고대 그리스에서 발견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그것은 아테네가 결코 아니다. 아테네의 데모크라시를 모범으로 삼아 근대민주주의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오히려 근대민주주의에 존재하는 곤란함의 원형을 아테네에서 발견해야 한다.”(42쪽)
● 이오니아 사회와 아테네 사회의 차이
“이오니아에서는 상공업이나 교역의 발전이 심각한 계급적 격차를 가져오지 않았다. 화폐경제가 빈부의 차이를 가져오는 것은 정치적 권한의 불평등이 존재하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 해외무역에서 큰 이익을 얻을 수 있는 것은 그것이 국가에 의해 독점되었을 경우이다. 일반적으로 원격지교역은 국가에 의해 행해진다. 관료가 그것을 행하는 경우도 있으며, 상인에게 맡기고 과세를 하는 방법을 취하는 경우도 있다. 아테네도 예외가 아니었다. 그들은 기류외국인에게 교역을 맡기고 세금을 걷었다. 즉 아테네는 교역의 중심지로서 발전했음에도 불구하고, 시민은 상업에 종사하지 않았다. 부의 축적은 농원이나 은산(銀山)의 노예노동에 근거하고 있었다.”(58쪽)
● 니체와 하이데거의 그리스 이해 비판
“하이데거의 관점은 기본적으로 소크라테스 이후의 철학이 주지주의적이 되고 본능적인 직관이나 비극적인 감수성을 잃은 것을 비판한 니체의 관점을 이어받은 것이다. 니체는 ‘소크라테스 이전’의 사상가들에 대해 말했지만, 그들이 어떻게 이오니아적인 것과 깊이 연결되어 있는지를 생각하지 않았다. 니체가 소크라테스 이후의 아테네에서 잃어버렸다고 본 것은 이오니아적인 것이 아니라 아테네의 전사=농민공동체의 전통이었다. 이와 같은 관점은 동시대의 낭만주의적 관점을 그리스에 투사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69-70쪽)
● ‘개인’으로서의 소크라테스
“플라톤이나 아리스토텔레스는 소크라테스의 획기성을 강조한다. 하지만 그처럼 보이는 것은 소크라테스가 이오니아적 사상과 다른 무언가를 가져왔기 때문이 아니다. 오히려 그가 이오니아적 사상을 처음으로 받아들이고 실행에 옮겼기 때문이다. 소크라테스는 아테네에서 처음으로 ‘개인’으로서 살려고 한 사람이었다. 이런 의미에서 그는 아테네공동체로부터 독립한 코즈모폴리턴이었다. 하지만 그는 동시에 아테네라는 폴리스의 일원이라는 것을, 그곳에서 태어났다는 이유에 의해서가 아니라, 자발적으로 선택한 최초의 인물이기도 했다. 그
출판사 서평
고차원적으로 회복해야 할
교환양식D의 원천을
고대 이오니아 철학에서 찾는다!
▶『세계사의 구조』 이후 또 하나의 역저
이번에 출간된 가라타니 고진의 『철학의 기원』(2012)은 『세계사의 구조』(2010) 이후 약 2년 만에 씌어진 역저이다. 세계가 주목한 대작 『세계사의 구조』에서 간략적으로 다룬 ‘철학의 기원’과 ‘민주주의의 기원’이라는 문제를 본격적으로 다룬 저작이다. 이 책은 2012년 ‘기노쿠니야(紀伊國屋) 인문대상’을 받았는데, 이 상은 전문가집단이 아닌 순전히 독자의 참여에 의해 결정된다(가라타니 고진은 수상 소감에서 독자가 주는 상이기 때문에 더욱 기쁘다고 말하고 있다).
▶가라타니 고진의 인기와 파괴력
하지만 일반 대중독자들에게 있어 가라타니 고진의 인기는 그가 이해하기 쉽게 글을 쓰기 때문도, 그의 주장에 지적 선정성이 존재하기 때문도 아니다. 일반적인 인상과 다르게 그는 대중영합적인 방식과는 거리가 먼 글을 쓴다. 본서 『철학의 기원』을 봐도 그렇다. 이 얄팍한 책은 생각보다 읽기 어렵다. 왜냐하면 기존 철학사나 학교에서 가르치지 않은 고대그리스 자연철학이 꽤 자세히(전문적으로) 다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책은 일반 독자들의 관심을 끌어들이는 데에 성공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큰 감명을 주는데, 그 이유는 그의 책을 읽고 나면 다시는 읽기 이전과 같은 생각을 하지 못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한국의 문학연구가 『일본근대문학의 기원』 수용 이전과 이후로 나뉘는 것처럼, 『철학의 기원』은 고대그리스 철학에 대한 우리들의 막연한 이해를 완전히 뒤바꾸어 놓기에 충분하다.
▶『철학의 기원』의 두 가지 키워드는 ‘철학’과 ‘정치’
『철학의 기원』의 두 가지 키워드는 ‘철학’(학문)과 ‘민주주의’(정치)이다. 가라타니 고진에 따르면, 오늘날 별개로 존재하는 이 두 가지가 원래는 하나였음을 주장하면서, 오늘날 우리가 마주하고 있는 자유민주주의라는 막다른 골목과도 같은 난관을 극복하기 위해 고대그리스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리고 이제까지 철학사에서 그저 ‘철학 이전’으로 간주되어온 이오니아 자연철학을 진정한 철학으로서 복권시킨 후 ‘소크라테스의 철학’이란 그것들의 ‘억압된 것의 회귀’라고 주장하며, 그의 수제자를 자처하는 플라톤의 철학과 대립시킨다. 그리고 아테네 민주주의를 문제 삼으면서 당시 왜 소피스트들이 융성했는지 그리고 소크라테스는 왜 소피스트라는 비난을 받으며 죽을 수밖에 없었는지를 당시 역사적, 정치적인 맥락을 조목조목 짚어가면서 살펴보고 있다.
▶근본적으로 다른 소크라테스 철학과 플라톤의 철학
이런 의미에서 이 책은 세 가지 방향에서 접근할 수 있다. 첫째는 제목 그대로 ‘철학의 기원’을 탐구하는 책으로서이고, 둘째는 일종의 ‘소크라테스론’으로서이며, 셋째는 민주주의비판서로서이다. 물론 어느 쪽으로 접근하든 이 세 가지는 만나게 된다. 그리고 그랬을 때 우리는 ‘철학의 기원’이라는 제목에 담긴 이중적 의미를 발견할 수 있다. 민주주의(데모크라시)에서 나온 플라톤철학의 기원으로서의 ‘아테네철학’과 무지배(이소노미아)에서 나온 소크라테스철학의 기원으로서의 이오니아 철학을 말이다.
지은이의 말
나는 『세계사의 구조』에서 교환양식D가 보편종교로서 나타난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다른 한편으로 교환양식D가 종교라는 형태를 취하지 않고 나타난 적은 없는가 하는 질문을 던졌다. 그리고 나는 그 최초의 사례를 이오니아의 정치와 사상에서 발견했다. 다만 『세계사의 구조』에서는 그에 대해 충분히 전개할 수 없었다. 그래서 속편인 이 책에서 그 과제를 수행했다. -부록, 《『세계사의 구조』에서 『철학의 기원』으로》에서
『철학의 기원』이 갖는 의미는 매우 크다. 일찍이 『일본근대문학의 기원』이 한국문학계에 준 것과 유사한 충격을 한국 철학계에 줄 것으로 예상되는데, 그것은 이 책이 단순히 ‘철학의 기원’을 계보학적으로 탐구하고 있기 때문도, 한동안 잠잠해진 반플라톤주의를 담고 있기 때문도 아니다. 그보다는 “철학이란 무엇인가”, “철학을 한다는 것의 의미는 무엇인가”와 같은 다소 시대착오적인(그러나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오늘날 우리가 지향해야 할 최선의 정치형태로 간주되는 민주주의에 대해 다시 사고하도록 요구하기 때문이다. -《옮긴이 후기》에서
기본정보
ISBN | 9788991706910 ( 8991706916 ) | ||
---|---|---|---|
발행(출시)일자 | 2015년 04월 01일 | ||
쪽수 | 262쪽 | ||
크기 |
150 * 220
* 20
mm
/ 458 g
|
||
총권수 | 1권 | ||
시리즈명 |
가라타니 고진 컬렉션
|
||
원서명/저자명 | 哲學の起源/柄谷行人 |
Klover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리뷰 종류별로 구매한 아이디당 한 상품에 최초 1회 작성 건들에 대해서만 제공됩니다.
판매가 1,000원 미만 도서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일부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불편을 끼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래에 해당하는 Klover 리뷰는 별도의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리뷰는 1인이 중복으로 작성하실 수는 있지만, 평점계산은 가장 최근에 남긴 1건의 리뷰만 반영됩니다.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문장수집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