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계 이황 시선
도서+교보Only(교보배송)을 함께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20,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1Box 기준 : 도서 10권
알림 신청하시면 원하시는 정보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해외주문/바로드림/제휴사주문/업체배송건의 경우 1+1 증정상품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패키지
북카드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도학자로서의 깊은 사색이 밑바탕이 되었기에 더욱더 소중한 것이었다. 그래서 때로는 이취(理趣)를 드러내 보이는 것 같으면서도 두고두고 새겨 읽을 만하고 선인의 탁월한 삶의 지혜가 배어 있음을 느낄 수 있는 것이다.
퇴계는 선비이자 대학자이며 순정(純靜)한 기품을 지닌 시인이었다. 그의 사상은 이후 영남학풍의 사표가 되었다. 나아가 도학과 심학을 결합시키면서 예교를 확립하는 데 노력함으로써 후대의 유가의 스승으로 길이 추앙받게 되었던 것이다.
- 〈퇴계의 생애와 시〉에서
작가정보
퇴계(退溪) 이황(李滉)은 1501년 11월 25일 안동 예안현 온계리에서 진사 이식(李埴)과 박씨 부인의 7남 1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 6세에 이웃 노인에게서 ≪천자문(千字文)≫과 ≪동몽선습(童蒙先習)≫, ≪명심보감(明心寶鑑)≫, ≪소학(小學)≫ 등을 배웠고 12세에는 숙부 송재공(松齋公) 이우(李?)에게 ≪논어(論語)≫를 배웠다. 15세에 게[蟹]를 보고 <부석천사자유가(負石穿沙自由家)> 등의 시를 지었고 20세에는 ≪주역(周易)≫을 탐독했다.
21세에 서울로 올라와 성균관에 유학한다. 27세에 경상도 향시에 2위로 합격하고 28세에 진사회시에 2등으로 합격, 32세에 문과 초시 2등으로 합격하고 다음 해인 33세(1533)에 반궁(泮宮)에 유학하며 경상도 향시에 합격한다. 34세에 문과에 급제해 승문원권지부정자와 예문관검열이 되었고 36세에 선무랑과 성균관전적을 거쳐 9월 호조좌랑에 임명되었다. 37세에 선교랑, 승훈랑, 승의랑에 임명되었으나 어머니 박씨의 상을 당해 관직에서 물러난다.
39세에 3년 상을 마치고 홍문관부수찬을 거쳐 수찬지제교로 승진해 40세에는 사간원정언, 승문원교검, 경연시독관, 춘추관기주관교리에 임명되었고 42세에는 홍문관부교리, 충청도·강원도어사로 순찰했으나, 43세에 병을 이유로 관직을 사임했다. 이후 종친부전첨, 세자시강원필선, 사간원사간, 성균관사성 등에 여러 차례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44세 10월에 상경한 후 중종이 승하하자 부고와 시장을 집필했다. 47세 7월에 안동부사에 제수되었으나 사임했다. 홍문관응교에 제수되어 상경해 사퇴하려고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했다. 48세에 외직을 자청해 단양군수로 취임했다. 10월에 풍기군수로 전임했다. 49세에 소수 서원을 개칭해 사액 서원의 효시가 되었다. 9월에 신병으로 사임해 귀향했다. 그러나 신병을 이유로 세 번이나 사직원을 제출한 후 회답을 기다리지 않고 퇴계로 돌아와 임소를 이탈했다는 죄목으로 직첩을 박탈당했다. 50세에 예안 하명동에 한서암(寒棲庵)을 짓고 학문에 전념한다. 53세 4월에 성균관대사성에 제수되었으나 사퇴한다.
54세에 형조·병조참의, 첨지중추부사에 임명되었고 경복궁에 새로 지은 여러 전각의 편액을 썼으나 이듬해 병으로 모든 관직을 사임하고 귀향한다. 56세에 도산에서 ≪주자서절요(朱子書節要)≫를 편찬 완성하고 다음 해인 57세에 도산 서당을 지을 터를 마련하고 ≪계몽전의(啓蒙傳疑)≫를 저술했다. 58세에 대사성에 임명되자 사직을 청했으나 허락받지 못하고 공조참판에 임명되었다. 59세에 휴가를 얻어 귀향한 후 관직을 사임하고 ≪송계원명리학통록(宋季元明理學通錄)≫을 저술했다.
60세에 고봉 기대승(奇大升)과 편지로 사단칠정론(四端七情)을 변론했다. 도산서당(陶山書院)이 완공된다. 61세에 <도산기(陶山記)>를 저술했다. 64세 2월에 무이구곡도(武夷九曲圖)의 발문을 썼으며 65세에 ≪경현록(景賢錄)≫, ≪역학계몽(易學啓蒙)≫, ≪명당실어(名堂室語)≫ 등을 저술했다. 66세에 공조판서와 홍문관·예문관대제학에 제수되었고, 다음 해인 67세에 다시 예조판서, 경연춘추관사로 임명되었으나 사의를 표명하고 8월에 귀향, 역동 서원(易東書院)을 새로 건축했다.
68세에 선조 원년 의정부우찬성과 판중추부사에 제수되자 6월에 소명을 어기지 못해 상경해 양관의 대제학을 겸임했다. 재임 중 <무진육조소(戊辰六條疏)>, ≪성학십도(聖學十圖)≫를 저술했다. 69세(1569)에 이조판서에 임명되었으나 사의를 표명하고 귀향했다. 70세 7월 역동 서원에 가서 ≪심경(心經)≫을 강의하고, 8월 역동 서원의 낙성식에 참여했다. 11월 격물치지설(格物致知說)을 개정하다 병이 심상치 않자 12월 봉화현감으로 재직 중이던 큰아들을 사직, 귀가하게 해 장례 준비를 갖추도록 했다. ‘퇴도만은진성이공지묘(退陶晩隱眞城李公之墓)’라는 명문(銘文)과 자명(自銘)을 몸소 짓고, 임종 직적 매화분에 물을 주라는 말과 함께 한서암에서 세상을 떠났다. 이후 영의정에 추서되었다.
목차
- 본집
길 선생 정려를 지나면서ㆍ15
월영대에서ㆍ17
서당에서ㆍ18
태안에서 새벽에 거닐며 경명 형님이 그리워ㆍ19
청평산을 지나다가ㆍ20
독서당 뒷산에 올라 임형수에게ㆍ25
저물녘에 거닐며ㆍ26
황중거의 방장산유록에다ㆍ28
농암 선생께ㆍ29
반악의 전기를 읽고서ㆍ30
말 위에서ㆍ31
백운동 서원의 여러 학도들에게ㆍ32
퇴계에서ㆍ33
도연명의 시집에서 ‘집을 옮기고 지은 시’를 차운하여ㆍ34
도연명의 시집에서 ‘음주’ 이십 수를 화답하여ㆍ35
계당에서 우연히ㆍ38
화담집 뒤에다ㆍ40
붉은 복사꽃 아래에서 김계진에게ㆍ41
셋집에서 일찍 일어나ㆍ42
꿈속에서도 날 보고 싶어 시를 지었다는 제자 태수에게ㆍ43
용수사에서 농암 선생께ㆍ44
인간 세상의 참된 사내ㆍ45
도학을 강론하며ㆍ46
연말이라 집으로 돌아가는 제자들에게ㆍ47
서재에서ㆍ48
도산서당ㆍ49
언덕을 넘어 서당에 이르며ㆍ50
김을 빨리 맨다고 뿌리를 남겨서야ㆍ52
꿈속에 궁궐 들어가ㆍ53
용수사에서 글을 읽는 손자 안도에게ㆍ54
잘못된 책을 불태웠다는 소식을 듣고ㆍ55
역동서원이 이루어졌기에ㆍ56
말세의 학문들은ㆍ57
고향 서재에 작은 매화가 피었다기에ㆍ58
서울에서 내가 매화에게ㆍ59
매화가 나에게ㆍ60
도산 달밤에 매화를 읊어ㆍ61
외집
탁청정 주인이 내게 편지를 보냈는데 강고에 임시로 머물러 있다고 비웃는 내용이 있으므로 재미삼아 절구 두 수를 지어 주다ㆍ65
조사경이 병 때문에 청량산으로 가자던 약속을 지키지 못하였기에, 금협지가 화답한 운으로 시를 지었다ㆍ67
들못ㆍ69
김유지의 탁청정에 걸라고 시를 지어 부치다ㆍ70
율곡에게 지어 주다ㆍ72
산에서 나온 다음날 황중거에게 차운하여 답하다ㆍ74
계재에서 정자중에게 부치다ㆍ76
매화와 함께 시를 부치면서ㆍ77
신해년 이른 봄에ㆍ79
금문원의 심경 절구에 차운하다ㆍ83
조사경을 생각하며ㆍ85
정원의 매화ㆍ86
조사경에게 부치다ㆍ87
조사경이 부용봉을 읊은 여러 시에 차운하다ㆍ88
유이득이 그린 두 마리의 소 그림에 쓰다ㆍ91
한사형과 남시보의 시에 차운하여 답하다ㆍ92
계장에서 백강이 찾아온 것을 기뻐하다ㆍ93
별집
의령공의 삼우대ㆍ97
곤양에서 관포 어득강 선생이 지은 동주서원 열여섯 수의 절구에 차운하다ㆍ100
곤양에서 어관포 선생을 모시고 까치섬에 노닐다. 이 날 밀물과 썰물에 대해서 논하다ㆍ104
꿈 속에서 지은 시에 보태어 짓다ㆍ106
형님이 진휼경차관의 임무를 띠고 선산에 와서 성묘를 한다고 들었지만ㆍ108
전의현 남쪽을 가다가 산골에서 굶주린 사람들을 만나다ㆍ110
병으로 눕고 더위에 지쳐 금호자 임형수를 그리워하다가 책상 위에서 오산록을 집어 들어 읽고는 그 뒤에 쓰다ㆍ111
남경림이 원접사의 종사관이 되어 서쪽으로 가게 되었으므로 지어
주다ㆍ112
청심루에 묵다ㆍ114
꿈을 적다ㆍ114
양생론ㆍ116
선조의 묘에 술을 뿌려 제사지내며ㆍ119
한가롭게 지내며ㆍ121
임대수가 찾아와 시에 대하여 논함을 기뻐하다ㆍ124
한윤명이 내 글씨를 구하기에ㆍ129
남시보가 보내준 시를 받들어 답하다ㆍ133
속집
반궁ㆍ137
해바라기ㆍ138
만취당의 시를 차운하다ㆍ139
양지현 청감당에서 남경림의 운으로 짓다ㆍ140
우연히 읊다ㆍ141
또 의고시에 화운하다ㆍ142
양벽정에서 조계임의 시를 차운하다ㆍ144
사락정에 제하여 부치다ㆍ145
삼월 병중에 뜻을 말하다ㆍ149
절구ㆍ151
규암의 시에 차운하다ㆍ154
임사수가 서당에서 인상인을 데리고 와서 시권에다 시를 지어 달라고 청하니 세 수이다ㆍ156
관음원에서 비를 피하다ㆍ158
사인거사 노인보가 찾아왔기에 앞의 운을 써서 짓다ㆍ159
계장에서 우연히 쓰다ㆍ161
동암에서 뜻을 말하다ㆍ162
사물을 관조하다ㆍ163
황중거가 보내준 시에 차운하다ㆍ164
어제 농암선생을 뵙고 물러나와 느낀 바 있어 두 수를 짓다ㆍ165
동래 여조겸ㆍ167
상산 육구연ㆍ168
동짓달 열엿새에 눈이 오다ㆍ169
손자 아몽의 이름을 안도라 짓고는 절구 두 수를 지어 그 뜻을 보여주다ㆍ173
죽마 타고 같이 놀던 벗들ㆍ174
책을 읽고 보내온 조카의 시를 보고ㆍ175
부록
퇴계의 생애와 시/윤기홍ㆍ179
연보ㆍ183
原詩題目 찾아보기ㆍ185
기본정보
ISBN | 9788971157220 | ||
---|---|---|---|
발행(출시)일자 | 2020년 04월 30일 | ||
쪽수 | 192쪽 | ||
크기 |
146 * 221
* 16
mm
/ 259 g
|
||
총권수 | 1권 | ||
시리즈명 |
한국의 한시
|
||
이 책의 개정정보 |
가장 최근에 출시된 개정판입니다.
구판보기
|
Klover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리뷰 종류별로 구매한 아이디당 한 상품에 최초 1회 작성 건들에 대해서만 제공됩니다.
판매가 1,000원 미만 도서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일부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불편을 끼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래에 해당하는 Klover 리뷰는 별도의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리뷰는 1인이 중복으로 작성하실 수는 있지만, 평점계산은 가장 최근에 남긴 1건의 리뷰만 반영됩니다.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문장수집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