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영문법의 이해
도서+교보Only(교보배송)을 함께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20,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1Box 기준 : 도서 10권
알림 신청하시면 원하시는 정보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해외주문/바로드림/제휴사주문/업체배송건의 경우 1+1 증정상품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패키지
북카드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책 소개
이 책이 속한 분야
- 국내도서 > 외국어 > 영어일반 > 영어학이론
- 국내도서 > 인문 > 언어학 > 각국언어학 > 영어학이론
- 국내도서 > 외국어 > 영어문법/독해/작문 > 영어문법 > 일반문법
- 국내도서 > 외국어 > 대학교재
- 국내도서 > 대학교재 > 외국어
작가정보
저자(글) 박병수
저자 박병수는
경희대학교 문리과학대학 영어영문학과 줄업(1963).
미국 University of Pittsburgh에서 언어학 전공, 박사학위(1972).
경희대학교 문리과대학 영어영문학과 교수로 재직(1973~2004).
미국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Cruz 언어학부 연구교수(1991~92).
미국 Stanford University 언어정보연구원 풀브라이트 연구교수(1991~92)
한국언어정보학회 회장(1986~88).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 Linguistics(ICKL) 회장(1996~98)
한국언어학회 회장(2000~2002).
한국영어학회 회장(2004~2006).
경희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소장(1980~2002)
현)경희대학교 문과대학 영어학부 명예교수.
저서
A Study of Complement Structures in Korean (1972)
영문법개론(II) (공저) (1986)
문법이론 (공저) (1999)
역서
텍스트에서 행동으로 (공역) (2002)
논문
영한 기계번역을 위한 일반 구구조 규칙의 수립(1988)
Grammatical Interfaces in Korean Relatives(공저) (2000)
제약 기반의 통제 이론: 영어 통제 동사의 HPSG 분석(2002)
Realistic English Grammar(2002)
외 50여 편
목차
- 서문
감사의 말씀
일러두기
제1장
《현대 영문법》의 이론적 기초
생성문법(Generative Grammar)이란 무엇인가
1.1 생성문법의 목표와 무의식적 언어능력 (Unconscious Linguistic Competence)
1.2 영어 구 구조 규칙(English Phrase Structure Rules)과 나무그림(Tree Diagrams)
1.3 문장 성분의 문법기능
1.3.1 주어, 서술어, 핵심어, 보어
1.3.2 수식어
1.4 명사구의 구조: 지정어와 수식어
1.5 영어 문장의 기본 어순
1.6 구 구조 규칙(Phrase Structure Rules)과 어휘 제약
1.6.1 주어-동사의 일치와 동사의 보어
1.6.2 조동사(Auxiliary Verbs)의 어휘 제약
1.6.3 Yes-No 의문문의 구조
1.6.4 능동문과 피동문
1.7 의문사(Wh-어)와 통사적 간격(Syntactic Gap)
1.8 복문(Complex Sentences): 종속절(Subordinate Clauses)과 대등절(Coordinate Clauses)
1.9 문장 구성의 원리와 어휘주의 문법
제2장
동사의 유형과 용법
2.1 5형식 문형의 문제점과 새로운 동사 유형 체계의 필요성
2.2 동사 유형 분류를 위한 기초적인 의미 개념들
2.2.1 명제(Proposition)와 문장(Sentence)
2.2.2 의미역(Semantic Roles)
2.2.3 논항과 의미역과 문법기능의 상관관계
2.3 비논항 주어(non-argument subject)와 비논항 목적어(non-argument object)
2.4 통제 동사(Control Verb)와 보통 주어(Ordinary Subject) 그리고 상승 동사(Raising Verb)와 상승 주어(Raised Subject)
2.5 동사 유형 분류의 기준과 유형의 윤곽
2.5.1 자동사(Intransitive Verbs)
2.5.1.1 단순 자동사(Strict Intransitive Verbs) V1
2.5.1.2 복합 자동사(Complex Intransitive Verbs) V2~V14
① 연결자동사(Linking Intransitive Verbs)
② 원형 부정사 동사구 자동사 (법조동사)
③ to부정사 자동사
④ ing분사 자동사
⑤ Be 동사
⑥ 완료 시상 동사 Have (Perfective Have)
2.5.2 타동사(Transitive Verbs)
2.5.2.1 단순 타동사(Strict Transitive Verbs) V18
2.5.2.2 복합 타동사(Complex Transitive Verbs) V19~V30
① 이중 명사구 타동사(Ditransitive Verbs)
② 연결 타동사(Linking Transitive Verbs)
③ 원형 부정사 타동사(Bare Infinitive Verbs)
④ 피동형 동사구 타동사(Passive VP Transitive Verbs)
⑤ To부정사 타동사(to-infinitive Transitive Verbs)
⑥ ing 분사 타동사(ing-participle Transitive Verbs)
2.5.3 절 동사(Clause Verbs) V36~V42
① that절 동사(that-Clause Verbs)
② 의문사절 동사(Wh-Clause Verbs)
③ 허사 It 주어 절 동사(Expletive It Subject Clause Verbs)
④ 간접화법(Indirect Reported Speech)에서의 that절과 의문사 절
2.6 맺는 말
제3장
전치사와 전치사구 동사(Preposition Phrase Verbs)
3.1 전치사의 종류
3.2 전치사의 의미: 공간과 시간을 나타내는 전치사1
3.2.1 위치의 전치사 at, on, in
3.2.2 이탈의 전치사 away, off, out
3.2.3 위치의 변화를 나타내는 전치사들 to, on, in: 목표 의미역
3.2.4 위치의 변화를 의미하는 from/away, off, out: 출처 의미역
3.2.5 Up과 Down
3.2.6 Over, Through, Across
3.2.7 시간의 전치사 at, on, in
3.3 전치사와 동사의 만남: 전치사구 동사 V15~V17, V31~V35
3.3.1 자전치사구 자동사(Intransitive PP Intransitive Verbs)
3.3.2 타전치사구 자동사(Transitive PP Intransitive Verbs)
3.3.3 이중 전치사구 자동사(Double PP intransitive Verb)
3.3.4 자전치사구 타동사(Intransitive PP Transitive Verbs)
3.3.5 타전치사구 타동사(Transitive PP Transitive Verbs) 1
3.3.6 이중 전치사구 타동사(Double PP Transitive Verbs)
3.3.7 첨사 타동사(Particle Transitive Verbs)
3.3.8 첨사 전치사구 타동사(Particle PP transitive Verbs)
3.4 맺는 말
제4장
형용사의 유형과 용법
4.1 결정사 앞의 형용사구(Predeterminer APs)
4.2 서술 수식어(Predicative Modifiers)
4.3 형용사 유형의 윤곽
4.3.1 통제 형용사와 상승 형용사
4.3.2 Tough 형용사
4.3.3 전치사구 보어를 거느리는 형용사들
4.3.4 that절 보어를 취하는 형용사들
4.3.5 외치 that절 보어를 취하는 형용사들
4.4 맺는 말
제5장
명사의 성질과 유형: 가산성과 불가산성
5.1 명사 가산성의 조건: 원자적 개체(Atomic Individuals)와내재적 경계(Inherent Bounds)
5.2 추상명사(Abstract Nouns): 개체화 불가능성
5.3 질량명사(Mass Noun): 비원자적 물질 (Non-atomic Physical ubstance)
5.4 혼합 집단 명사
5.5 복수만의 명사(Plural-Only Nouns)
5.5.1 두 갈래 명사
5.5.2 복수형 혼합 집단 명사
5.5.3 기타 복수만의 명사
5.6 단수만의 명사(Singular-Only Nouns)
5.7 집합명사(Collective Nouns) 523
5.8 부분 명사 구문(Partitive Noun Constructions)
5.8.1 수사 또는 양사 부분 명사
5.8.2 측정 명사 부분구문(Measure Noun Partitive Constructions)
5.8.3 용기 명사 부분구문(Container Noun Partitive Constructions)
5.8.4 많은 양 또는 수를 나타내는 부분구문
5.8.5 적은 양 또는 수를 나타내는 부분구문
5.8.6 “나머지”의 뜻을 가진 Remainder와 Rest
5.8.7 집합명사 부분구문
5.8.8 종류의 부분 명사 구문(kind/sort/type Partitive Noun Constructions)
5.8.9 Part 구문의 용법
5.9 맺는말
제6장
관사의 용법
6.1 관사 선택의 원리
6.1.1 담화문맥(Context of Discourse)과 지시(Reference)
6.1.2 지시공유의 조건: 한정명사구와 부정명사구의 용법
6.2 절 보어를 거느리는 명사구의 한정성과 부정성
6.3 Of 전치사구 보어를 거느리는 명사구의 한정성과 부정성
6.3.1 파생명사구
6.3.2 파생명사가 아닌 명사의 경우
6.4 동격 구문(Appositive Constructions)의 한정성
6.4.1 명사구 동격 구문(NP Appositive Constructions)
6.4.2 전치사구 동격 구문(PP Appositive Constructions)
6.5 역할의 무관사 명사구(Role Bare NPs)
6.6 총칭의 한정명사구(Generic Definite NP)
6.7 고유명칭(Proper Names)과 정관사
6.7.1 고유명사의 통사적 특징
6.7.2 고유명사와 고유명칭: 고유명칭의 유형
6.7.3 전형적인 지리적 명칭들
6.7.4 조직, 단체, 기관, 학교 등
6.7.5 고유명사의 보통명사화: 보통명사가 된 고유명사
6.8 명사구의 용례 연구: 지시공유 조건의 발현
6.9 맺는 말
참고문헌
용어 찾아보기
단어 찾아보기
책 속으로
이 책이 제시하는 《현대 영문법(modern English grammar)》은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시대에 통용될 수 있는 21세기의 영문법이다. 21세기의 영어가 20세기의 영어와 다를 바 없고 19세기의 영어와도 크게 다를 바 없지만 21세기에 영어를 보는 눈과 영문법을 설명하는 방식은 크게 다르고 새로워졌다. 《현대 영문법》은 영어 문장구조의 생성 원리가 무엇이며 영어 문장은 무엇으로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가를 밝히는 문법이다. 이 《현대 영문법》을 우리나라의 일반 독자에게 소개하고 우리의 영어 학습자, 특히 중급 이상 고급영어 학습자의 영어사용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되도록 하기 위해 이 책을 썼다.
우리나라에서 지금껏 통용되어온 영문법은 전통 학교 영문법(traditional school grammar)에 속한다. 대체로 19세기말 20세기 초 유럽에서 정립되어 주로 일본을 통해 들어온 전통 문법은 20세기 중반 이후 약 반 세기에 걸쳐 발전해온 현대 언어학의 혁혁한 성과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오늘의 시대에 맞고 이론적으로 건전하며 실제 영어 학습에 활용할 수 있는 영문법 체계를 개발하는 것은 우리나라의 영어학과 영어교육의 발전을 위해 시급한 과제다.
《현대 영문법》은 1950년대 중반 미국 언어학계에서 대두하여 유럽은 물론 한국, 일본, 중국 등 세계 전역으로 확산된 생성문법(生成文法 generative grammar)에 이론적 근거를 둔다. 그리고 《현대 영문법》은 현대의 논리학과 의미론의 연구성과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필요할 때마다 의미와 문맥을 충분히 활용한다. 그렇다고 해서 이 책을 읽기 위해 생성문법이나 현대 언어학에 대한 사전 지식이 꼭 필요한 것은 아니다. 기초적인 학교문법 지식만 있으면 누구라도 이 책을 읽고 공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책은 생성문법의 입문서나 해설서가 아니고, 영어 학습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디자인된 실용적인 고급 영문법 책이다.
제1장은 《현대 영문법》의 이론적 기초가 되는 생성문법의 기본적인 개념과 용어들을 소개하고 생성문법 이론의 정신과 목표가 무엇인지를 밝힌다. 그리고 이것이 영어 문장의 생성원리를 밝히는 데 어떻게 공헌하는지를 보여줄 것이다.
이 책이 다룰 영문법 문제들의 견본을 장별로 대강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제2장에서는 동사 42유형을 수립하고 각 유형의 용법과 의미를 밝힌다.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문제에 접근한다. “I feel hungry.”와 “The metal surface feels cold.”와 “The bottom feels like downy flakes.”에서 feel은 다 같은 동사인가? “There seems (to be) a magic in the very name of Christmas.”에서는 to be를 생략해도 되는데 “There seems to be a bug in the program.”에서 to be를 생략하면 안 되는 이유가 무엇인가? “She enjoyed playing tennis.”는 말이 되고 *She enjoyed to play tennis.는 왜 말이 안 되는가? “He persuaded the local people that they should stop the demonstration.”은 정문(正文 grammatical sentence)인데 *He expected the local people that they should stop the demonstration.은 왜 비문(非文 ungrammatical sentence)인가?
제3장은 전치사의 의미를 바탕으로 동사와 전치사가 결합하여 새로운 유형의 동사를 형성하는 과정을 다룬다. arrived at Seoul은 틀렸고 arrived in Seoul만 맞는가? 둘 다 맞는가? on September 11, 2001처럼 날짜에는 on을 쓰고 in September처럼 달에는 in을 쓰는 이유가 무엇인가? show up(나타나다)과 speed up(속도를 내다)의 ‘up’에 무슨 공통점이 있는가? “What are you looking for?”라고 해도 되고 “For what are you looking?”라고 해도 되는데, 왜 “Which rabbit are you looking after?”는 되고 *After which rabbit are you looking?은 왜 비문인가? “Think new. Think creative.”같은 표현은 어떻게 가능한가?
제4장은 형용사의 유형을 다룬다. Mary is hard for us to beat.는 자연스러운데 *John is willing for us to please the boss.는 왜 말이 안 되는가? “It’s such nice weather.”는 정문이고 *It’s so nice weather.는 비문인 이유가 무엇인가? “He left the room upset.”은 “Upset, he left the room.”로 어순을 바꾸어 말해도 되는데 “He pushed the door open.”은 “*Open, he pushed the door.로 바꿀 수 없는 이유가 무엇인가?
제5장에서는 가산명사와 불가산명사의 근본적인 차이가 무엇인지를 밝힌다. *They bought a furniture.... *We need an equipment.... 등에서 왜 furniture나 equipment는 셀 수 없는 명사인가? a lot of fruit, a lot of fruits 둘 다 가능한데 vegetable은 왜 a lot of vegetables만 가능한가? groceries와 grocery의 차이가 무엇이며 10 pieces of groceries에는 무슨 문제가
출판사 서평
이 책이 제시하는 《현대 영문법(modern English grammar)》은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시대에 통용될 수 있는 21세기의 영문법이다. 21세기의 영어가 20세기의 영어와 다를 바 없고 19세기의 영어와도 크게 다를 바 없지만 21세기에 영어를 보는 눈과 영문법을 설명하는 방식은 크게 다르고 새로워졌다. 《현대 영문법》은 영어 문장구조의 생성 원리가 무엇이며 영어 문장은 무엇으로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가를 밝히는 문법이다. 이 《현대 영문법》을 우리나라의 일반 독자에게 소개하고 우리의 영어 학습자, 특히 중급 이상 고급영어 학습자의 영어사용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되도록 하기 위해 이 책을 썼다.
이 책을 읽기 위해 생성문법이나 현대 언어학에 대한 사전 지식이 꼭 필요한 것은 아니다. 기초적인 학교문법 지식만 있으면 누구라도 이 책을 읽고 공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책은 생성문법의 입문서나 해설서가 아니고, 영어 학습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디자인된 실용적인 고급 영문법 책이다.
영문법을 올바로 이해하면 영어를 잘 배우는 소중한 도구가 된다. 이 책은 영문법의 진수를 이해할 수 있게 해 줄 것이며 그것은 심화 발전된 영어사용능력의 초석이 될 것이다. 영어 전문가들은 더욱 넓은 시각과 깊은 통찰력으로 영어의 숲을 보고 영어의 나무를 관찰하는 기회를 가지게 될 것이다. 그리고 생성문법이 무엇인지 궁금한 독자들에게는 그 궁금증을 풀어줄 것이다. 필자는 이 책이 중급 이상 고급 영어 학습자와 영어 교육 전문가에게 유익하고 흥미 있는 읽을거리가 되고 나아가 우리나라의 영문법 연구와 영어교육의 발전에 작은 보탬이라도 되기를 희망한다.
기본정보
ISBN | 9788968171789 ( 8968171785 ) |
---|---|
발행(출시)일자 | 2014년 10월 30일 |
쪽수 | 740쪽 |
크기 |
175 * 250
* 20
mm
/ 152 g
|
총권수 | 1권 |
Klover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리뷰 종류별로 구매한 아이디당 한 상품에 최초 1회 작성 건들에 대해서만 제공됩니다.
판매가 1,000원 미만 도서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일부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불편을 끼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래에 해당하는 Klover 리뷰는 별도의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리뷰는 1인이 중복으로 작성하실 수는 있지만, 평점계산은 가장 최근에 남긴 1건의 리뷰만 반영됩니다.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문장수집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