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전통사상과 민족문화
도서+교보Only(교보배송)을 함께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20,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1Box 기준 : 도서 10권
알림 신청하시면 원하시는 정보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해외주문/바로드림/제휴사주문/업체배송건의 경우 1+1 증정상품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패키지
북카드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작가정보
저자 손병욱
고려대학교 철학 박사
현재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교수
주요저서
『서산 조선을 뒤엎으려하다.』, 정보와사람, 2006.
『(신역)기학(氣學)-19세기 한 조선인의 우주론』, 통나무, 2004.
『융복합 시대의 인간과 윤리』(공저), 경상대학교출판부, 2016.
저자 김형석
성균관대학교 철학 박사
현재 경상대학교 인문대학 철학과 교수
주요저서
『(신역) 장자-내편: 절대자유의 인생철학』(공역), 한국전통문화연구회, 2017.
『태평경 역주』(공역), 세창출판사, 2012.
『(譯註) 장자』(공역), 한국전통문화연구회, 2008.
목차
- 저자의 말
제1장 우리 민족의 고유성, 그 정체는 무엇인가?
제1절 고유성으로 본 한국의 고유사상
제2절 고유성/외래성으로 본 한국사상
제2장 단군신화, 어떻게 읽을 것인가?
제1절 환웅의 하강(下降)이 갖는 철학적인 의미는 무엇인가?
제2절 하강(下降)한 용, 환웅과 관련하여 생각해 볼 문제들
제3절 환웅 의식이 후대에 준 영향은 무엇인가?
제4절 곰이 웅녀(熊女)가 된 이야기에서 찾을 수 있는 의미는 무엇인가?
제5절 나가면서
제3장 남명학파의 실천적인 선비정신과 그 연원 탐구
제1절 실천적인 선비정신의 표상, 남명 조식(1501~1572)
제2절 『신명사도』의 인성교육적 함의
제3절 남명학파가 계승한 신라 화랑의 인성교육적 함의
제4절 실천적인 선비정신의 현대적 표상, 활사개공형(活私開公型) 인간상 탐구
제4장 우리 문화 속에 숨은 철학 엿보기
제1절 전통사상과 민족문화의 관련성
제2절 태극기 속의 태극과 팔괘
제3절 오행(五行)과 한국인의 생활
제4절 숫자 ‘3’과 ‘7’에 얽힌 우리 문화
제5절 구례 운조루의 뒤주에 새긴 타인능해(他人能解)
제5장 인(仁)사상과 동이족(東夷族)
제1절 인(仁)사상의 기원(起源)
제2절 인(仁)의 의미
제3절 인(仁)의 완성
제4절 인(仁)을 회복하는 세부적인 실천 방안
제5절 인(仁 )사상의 현대적 의의
제6장 옛 사람들의 마음 수양
제1절 유교, 불교, 도가의 마음 수양론
제2절 결론
제7장 무속의 문화와 사유 체계
제1절 무속(巫俗)·무교(巫敎)의 세계
제2절 무(巫)의 세계
제3절 무속의 의의
제8장 통과의례 - 상·장례
제1절 통과의례와 상·장례
제2절 전통 상?장례의 절차와 형식
제3절 현대 상?장례의 예절
제9장 한국 도가·도교의 흐름
제1절 도가와 도교
제2절 한국의 도가와 도교
제10장 한국 전통 춤의 예술세계
제1절 개요
제2절 전통 춤의 분류
제3절 장단의 이해
제4절 보법(步法)의 종류
제5절 춤사위
제6절 기(氣)의 운용법
제7절 춤 공간의 활용
제8절 악(樂)·가(歌)·무(舞)의 총체적 합일
제11장 한국의 인류 문화유산
제1절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2001년 등재)
제2절 강강술래(2009년 등재)
제3절 처용무(2009년 등재)
제4절 판소리(2003년 등재)
제5절 영산재(2009년 등재)
제6절 강릉 단오제(2005년 등재)
제7절 제주 칠머리당 영등굿(2009년 등재)
제8절 남사당놀이(2009년 등재)
제9절 줄타기(2011년 등재)
제10절 농악(2014년 등재)
제11절 줄다리기(2015년 등재)
제12절 아리랑(2012년 등재)
제13절 가곡(2013년 등재)
제12장 명상과 정좌수련
제1절 명상(瞑想)이란 무엇인가?
제2절 정좌수련이란 무엇인가?
제3절 집중력[의지력]이 왜 중요한가?
제4절 성공적인 삶은 인성교육과 어떤 연관성을 지니는가?
제5절 나가면서
참고문헌
찾아보기
출판사 서평
한국의 전통사상은 우리만의 고유한 것일까. 그리고 한국의 고유성이란 무엇일까. 이 책을 집필한 네 명의 공저자는 고유한 한국의 특성이 어디서부터 발현되었는지 살펴보고, 젊은이들에게 이러한 한국 고유의 특성을 바탕으로 이 시대를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 제시한다.
저자는 한국의 전통사상을 고유성뿐만 아니라 고유성을 바탕으로 한 외래성까지 모두 포괄하는 확장된 개념으로 보고 있다. 도교사상을 예를 들어보자. 도교는 7세기 무렵 당으로부터 전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보다 이전 시기인 단군신화나 신라의 국선 등에도 도교의 색채나 신선을 떠올리게 하는 것들이 있었다.
그래서 일제강점기 이능화(李能和)는 “조선 단군신화가 가장 도교에 가깝다”며 조선 민족의 원시종교가 신선의 도였고, 그다음이 유교와 불교였고, 고구려 사람들이 다투어 그것을 받아들였던 것으로 봤다. 이런 점에서 한국에서는 우리 본래의 도교적인 성격의 바탕 위에서 중국 도교를 수용한 것으로 봐야 한다고 저자는 주장한다.
또한, 이 책에는 우리 문화 속에 숨은 다양한 이야기를 흥미롭게 서술하고 있다. 가령 누구나 알고 있는 태극 문양 속의 음(陰, 서쪽)과 양(陽, 동쪽)의 속성에서부터 양의 기운이 많은 남성은 동쪽을, 음의 기운이 많은 여성은 서쪽에 위치한다고 말한다. 이것은 산소에서 왼쪽이 할아버지, 오른쪽이 할머니의 묘인 것에서도 드러난다. 절을 할 때 남자는 왼손을, 여자는 오른손을 위에 올리는 원리도 같은 맥락이라는 것.
흔히 우리 민족이 가장 좋아하는 숫자로 3과 7을 꼽는다. 거기에도 이유가 있다. 단군신화에서 곰이 21일(21=3×7) 동안 마늘 20쪽과 쑥 1단을 먹은 것과 민간풍속의 3·7일(21일) 기도 등이 그러하다. 그뿐만 아니라 삼태극(三太極), 삼족오(三足烏), 삼색, 반찬 세 가지, 셋째 딸, 침 세 번 등 3은 우리 문화 곳곳에서 등장한다.
그밖에 이 책에서는 전통적인 상·장례 절차와 형식에서부터 현대식 상례 조문 예절까지 소개하여 실생활에 도움으로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잘 알려진 ‘종묘제례악’등의 전통예술부터 다소 생소한 ‘제주 칠머리당 영등굿’까지 다양한 인류 문화유산을 소개하고 있다. 아울러 우리 전통 춤의 문화와 역사, 철학뿐만 아니라 장단, 춤옷 등 춤의 세계도 다채롭게 소개하고 있다.
기본정보
ISBN | 9788962571622 |
---|---|
발행(출시)일자 | 2018년 08월 20일 |
쪽수 | 276쪽 |
크기 |
178 * 249
* 16
mm
/ 546 g
|
총권수 | 1권 |
Klover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리뷰 종류별로 구매한 아이디당 한 상품에 최초 1회 작성 건들에 대해서만 제공됩니다.
판매가 1,000원 미만 도서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일부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불편을 끼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래에 해당하는 Klover 리뷰는 별도의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리뷰는 1인이 중복으로 작성하실 수는 있지만, 평점계산은 가장 최근에 남긴 1건의 리뷰만 반영됩니다.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문장수집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