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네르바의 촛불
도서+교보Only(교보배송)을 함께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20,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1Box 기준 : 도서 10권
알림 신청하시면 원하시는 정보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해외주문/바로드림/제휴사주문/업체배송건의 경우 1+1 증정상품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패키지
북카드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작가정보
조정환(Joe Jeong Hwan, 1956~ )
지금은 댐 건설로 수몰된 경상남도 진양의 한 작은 마을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문과 박사과정에서 일제하 프롤레타리아 문학을 연구했고, 1980년대 초부터 <민중미학연구회>, <문학예술연구소>에서 민중미학을 공부하며 여러 대학에서 한국근대비평사를 강의했다. 1989년에 월간 『노동해방문학』 창간에 참여하면서 문학운동의 주류였던 민족문학론에 맞서 ‘노동해방문학론’을 제창하여 당시 문학운동에 새로운 반향을 일으켰다. 1990년 말, 국가보안법에 의한 전국지명수배령이 내려졌고 1990년에서 1999년말까지 그는 9년 여에 걸친 기나긴 수배생활에 들어갔다. 그러한 엄혹하고 고통스러운 상황 속에서도 그는 ‘이원영’이라는 필명으로 10여 권의 번역서를 펴내는 등 그의 연구와 사유의 과정은 중단 없이 지속되었고 이 ‘발견적 모색’의 긴 시간을 통해 그가 ‘자율주의로의 선회’라고 부르는 커다란 전환점을 맞이하게 된다.
1999년 12월 수배 해제 이후 그는 월간 『말』에 1년간 문화시평을 연재하면서 자율주의적 관점을 현실에 적용시키는 작업을 진행하는 한편, ‘제국 속에서 Within Empire, 제국에 대항하여 Against Empire, 제국을 넘어서 Beyond Empire’라는 의미의 ‘다중문화공간 왑 WAB’(지금의 다중네트워크센터) 을 통해 다중지성과의 접속을 이어 갔다. 그는 또 그 동안 발전시켜 온 현대사회와 사회운동, 그리고 문학 예술에 대한 생각을 정리하고 집약하기 위해 ‘조정환의 걸어가며 묻기’라는 연속 저작집을 내고 있다. 현재 다중네트워크(http://waam.net) 공동대표, 웹저널 『자율평론』(http://jayul.net) 상임만사, 도서출판 갈무리 공동대표, 다중지성의 정원(http://daziwon.net) 상임강사로 활동하면서 성공회대에서 탈근대사회이론에 대해 강의하고 있다.
저서 『민주주의 민족문학론과 자기비판』(연구사, 1989), 『노동해방문학의 논리』(노동문학사, 1990), 『지구 제국』(갈무리, 2002), 『21세기 스파르타쿠스』(갈무리, 2002), 『제국의 석양, 촛불의 시간』(갈무리, 2003), 『아우또노미아』(갈무리, 2003), 『제국기계 비판』(갈무리, 2005), 『비물질노동과 다중』(공저, 갈무리, 2005), 『카이로스의 문학』(갈무리, 2006), 『민중이 사라진 시대의 문학』(공저, 갈무리, 2007), 『레닌과 미래의 혁명』(공저, 그린비, 2008)
편역서 『오늘의 세계경제 : 위기와 전망』(C. 하먼, 갈무리, 1994), 『현대 프랑스 철학의 성격 논쟁』(A. 캘리니코스 외, 갈무리, 1995), 『소련의 해체와 그 이후의 동유럽』(C. 하먼 외, 갈무리, 1995), 『이딸리아 자율주의 정치철학 1』(S. 볼로냐 외, 갈무리, 1997), 『자유의 새로운 공간』(A. 네그리 외, 갈무리, 2007)
번역서 『오늘날의 노동자계급』(A. 캘리니코스, 갈무리, 1994), 『디오니소스의 노동 1』(M. 하트 외, 갈무리, 1996), 『디오니소스의 노동 2』(M. 하트 외, 갈무리, 1997), 『사빠띠스따』(H. 클리버, 공역, 갈무리, 1998), 『신자유주의와 화폐의 정치』(W. 본펠드 외, 갈무리, 1999), 『권력으로 세상을 바꿀 수 있는가』(J. 홀러웨이, 갈무리, 2002), 『무엇을 할 것인가』(W. 본펠드, 갈무리, 2004), 『들뢰즈 맑스주의』(N. 쏘번, 갈무리, 2005), 『다중』(A. 네그리 외, 공역, 세종서적, 2008)
목차
- 책머리에
1부 촛불의 논리, 윤리, 그리고 생리
촛불: 유령인가 중간계급인가 다중인가?
보수에서의 촛불유령론 19
진보에서의 촛불유령론 20
촛불 중간계급실체론 28
촛불 과잉아나키즘론 31
다중으로부터의 도피 35
제헌권력: 대중들, 민중, 천민, 그리고 다중 39
투쟁의 새로운 순환 속에서 운동과 정치 54
승리라는 문제 혹은 감각의 혁신을 위하여 65
파시즘에 대항하는 촛불
근대적 전체주의와 수용소 파시즘 71
탈근대적 전체주의와 삶권력의 파시즘 76
삶권력의 정치적 계급적 토대와 그 전략 78
탈근대 파시즘 속에서 삶정치의 가능성 80
한국에서의 파시즘의 운명: 이명박 대 촛불 81
촛불봉기: 다중이 그려내는 새로운 유형의 혁명
머리글 87
촛불봉기의 발생조건 89
촛불봉기의 전개과정 93
권력의 대응 변화 106
촛불봉기의 특징과 새로움 107
집단지성과 봉기의 새로운 기술 123
촛불권력의 현재적 장애와 한계 128
촛불봉기의 쟁점과 새로운 과학 131
촛불봉기는 무엇을 바꾸고 있는가? 138
맺음말: 미래 운동의 새로운 로두스 141
금융위기와 촛불의 시간
미국발 금융위기와 국유화 145
자본주의 위기의 역사 속에서 서브프라임 위기 147
서브프라이머의 입장에서 본 금융위기 151
신자유주의의 위기와 촛불 155
2부 촛불 현장에서: 기록과 성찰
뉴라이트 한국과 촛불
현대의 자본순환과 뉴라이트 161
뉴라이트 우파 정부의 성격: 순수자본독재 167
이명박 정부의 반혁명 170
뉴라이트 한국 20년 결산 173
무력 174
법 176
공안탄압 179
언론과 문화 182
화폐정치 185
테러 188
지배의 피라미드와 촛불 192
사회운동의 새로운 순환과 촛불
촛불의 발생계기: 삶정치적 복합문제로서의 광우병 197
노동의 재구성과 촛불 200
촛불과 욕구노동 204
촛불과 코뮤니즘 208
민민연과 애국촛불 212
촛불봉기의 주체성
다중의 형상들 221
문명, 시민, 시장과 촛불 244
촛불봉기의 특이성
중앙지성, 집단지성, 다중지성 247
다중지성의 미네르바 257
질서화와 (자기)조직화 262
삶정치와 그 무기들 279
계획으로서의 촛불과 욕망으로서의 촛불 292
촛불의 헤게모니와 민주주의의 전망
국가권력 293
촛불운동 297
민주주의 311
촛불의 쟁점들
촛불은 오합지졸인가? 329
폭력인가 비폭력인가? 331
다시 무기의 문제 345
민족주의라는 쟁점 347
금융자유화도 금융국유화도 아닌 다중의 공통되기와 자치 352
촛불은 일시적인 것인가 영원한 것인가? 356
3부 촛불테제
촛불테제 1: 금융위기와 촛불테제
촛불테제 2: 이명박과 강인한 테제
촛불봉기 일지
참고문헌
책 속으로
“이 사회의 정치적 엘리뜨들이나 지적 엘리뜨들이 촛불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가는 시간이 흐르면서 더욱 분명해지고 있다. 촛불봉기가 시작된 지 1년을 맞아 촛불을 대상화하면서 내려지는 해석들이 그것을 분명히 보여준다. 경찰, 법정, 감옥을 잇는 국가의 물리적 폭력과 대면해야 했던 촛불은 이제 자신에 대한 정신적 환멸과 해석의 폭력 앞에 직면했다. 그 환멸의 시선과 해석적 단죄가 이른바 ‘진보’를 자임하는 엘리뜨들로부터 나올 때 촛불은 역사와 사회로부터 총체적으로 추방당하는 셈이다. (…) 촛불은 죽었으며 더 이상 촛불은 없을 지어다, 라는 심판이 전국가적으로 그리고 최종적으로 승리를 거두는 것일까?
결코 가능하지 않은 일이다. 어떤 것이 최종적으로 승리하는 것으로 보이는 순간에조차도 그 승리는 결코 견고하지 못하며 시간 속에서 녹아내리는 운명을 피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하물며 촛불에 대한 지적 장례의식이 논란거리를 남기면서 쟁론의 형식으로 진행되는 상황에서야!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그 쟁점에 개입하여 촛불의 범죄화는 누구를 위한 것인지, 그리고 촛불에 대한 냉소나 환멸의 조성을 통해 득을 보는 것은 누구인지 물어야 할 것이다. 나는 여기에서 최근 발행된 책 『그대는 왜 촛불을 끄셨나요』(산책자, 2009)에 실린 글들 일부에 공통되게 나타나는 촛불의 환멸화에 대한 검토와 비판을 통해, 그리고 다른 일부의 글에 나타나는 촛불의 제헌능력pouvoir constituant 에 대한 긍정을 좀 더 분명한 것으로 발전시킴으로써 촛불의 살아있는 힘과 그 능력을 다시 한 번 주장하려고 한다.”(17~18쪽)
― 「촛불: 유령인가 중간계급인가 다중인가?」 중에서
출판사 서평
일반적 의미
◎ 2008년 5월 2일부터 지난 1년 동안 수 백 만 사람들이 참여한 역사적 사건으로서의 촛불의 의미가 무엇이었는지를 규명한다.
◎ 1970년대의 재야운동, 1980년대의 민중운동, 1990년대의 시민운동과 다른 2000년대 촛불운동의 고유한 특질이 무엇인지를 상세히 밝힌다.
◎ 전 세계적 금융위기를 촛불의 관점에서 조명하면서 촛불을 새로운 사회를 만들어낼 주체성으로 정의한다.
◎ 촛불봉기의 새로움이 무엇이었던가를 맑스의 노동이론, 푸꼬의 삶권력론, 들뢰즈의 잠재력론, 네그리의 다중론을 통해 조명한다.
◎ 촛불 현장을 누비면서 얻은 생생한 생각들의 기록이며 그것에 기초한 치밀하고 진지한 이론적 성찰을 담고 있다.
◎ 촛불에 대한 여러 저작들 중에서 유일한 개인저작으로서 여러 문제를 아우르는 저자의 일관된 관점이 책 전체에 촛불의 역사와 향후 전망에 대한 통일된 방향성을 부여한다.
구체적 의미
◎ 촛불다중론의 관점에서 촛불을 유령으로 보는 보수와 진보 일각의 시각, 그리고 촛불이 중간계급의 행동이라는 사회학적 시각이 다중으로부터의 회피의 다른 양상에 불과한가를 전면적으로 비판한다.
◎ 촛불이 파시즘이라는 시각에 맞서 촛불이야말로 파시즘과 대항할 수 있는 힘입을 입증한다.
◎ 이른바 ‘웹 2.0 시대’의 사건으로 불린 촛불봉기를 집단지성과 다중지성의 주체화로서 파악할 수 있는 정밀한 관점을 제공한다.
◎ 한국 사회를 변화시키고자 하는 운동이 우리 시대에 왜 촛불의 형상으로 나타나는지를 밝힌다.
◎ 비폭력과 폭력 사이에서 촛불운동의 내적 고뇌와 갈등의 사회구성적 근거를 규명한다.
기본정보
ISBN | 9788961950138 | ||
---|---|---|---|
발행(출시)일자 | 2009년 05월 02일 | ||
쪽수 | 404쪽 | ||
크기 |
135 * 198
mm
|
||
총권수 | 1권 | ||
시리즈명 |
아우또노미아총서
|
Klover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리뷰 종류별로 구매한 아이디당 한 상품에 최초 1회 작성 건들에 대해서만 제공됩니다.
판매가 1,000원 미만 도서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일부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불편을 끼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래에 해당하는 Klover 리뷰는 별도의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리뷰는 1인이 중복으로 작성하실 수는 있지만, 평점계산은 가장 최근에 남긴 1건의 리뷰만 반영됩니다.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문장수집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