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해녀연구총서 5(음악학, 복식학, 서평, 자료)

양장본 Hardcover
숭실대학교 한국문예소 학술총서 48
이성훈 엮음
학고방 · 2014년 12월 30일
0.0
10점 중 0점
(0개의 리뷰)
평가된 감성태그가
없습니다
  • 해녀연구총서 5(음악학, 복식학, 서평, 자료) 대표 이미지
    해녀연구총서 5(음악학, 복식학, 서평, 자료) 대표 이미지
  • A4
    사이즈 비교
    210x297
    해녀연구총서 5(음악학, 복식학, 서평, 자료) 사이즈 비교 160x230
    단위 : mm
01 / 02
무료배송 소득공제
10% 37,800 42,000
적립/혜택
420P

기본적립

1% 적립 420P

추가적립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420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300원
배송안내
무료배송
배송비 안내
국내도서/외국도서
도서 포함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도서+사은품 또는 도서+사은품+교보Only(교보굿즈)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교보Only(교보배송)
각각 구매하거나 함께 20,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20,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해외주문 서양도서/해외주문 일본도서(교보배송)
각각 구매하거나 함께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업체배송 상품(전집, GIFT, 음반/DVD 등)
해당 상품 상세페이지 "배송비" 참고 (업체 별/판매자 별 무료배송 기준 다름)
바로드림 오늘배송
업체에서 별도 배송하여 1Box당 배송비 2,500원 부과

1Box 기준 : 도서 10권

그 외 무료배송 기준
바로드림, eBook 상품을 주문한 경우, 플래티넘/골드/실버회원 무료배송쿠폰 이용하여 주문한 경우, 무료배송 등록 상품을 주문한 경우
4/2(수) 출고예정
기본배송지 기준
배송일자 기준 안내
로그인 : 회원정보에 등록된 기본배송지
로그아웃 : '서울시 종로구 종로1' 주소 기준
로그인정확한 배송 안내를 받아보세요!

이달의 꽃과 함께 책을 받아보세요!

1권 구매 시 결제 단계에서 적용 가능합니다.

알림 신청하시면 원하시는 정보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이성훈 박사는 숭실대학교 한국문예연구소 학술총서 48호로 『해녀연구총서(전5권)』를 발간하여 해녀와 관련한 연구의 현황과 동향을 분석하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모색하였다. 해녀 연구는 구비문학과 의학 분야에서 시작되었고, 요즘은 여러 학문 분야로 확대되어 학제간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

이 책의 총서 (47)

작가정보

엮음 이성훈

엮은이 이성훈은 1961년 제주도 조천 출생
문학박사. 숭실대 겸임교수, 중앙대 강사, 숭실대 한국문예연구소 연구원, 제주대 교육과학연구소 특별연구원, 온지학회 이사를 역임하였다. 한국민요학회 이사, 한국공연문화학회 이사, 백록어문학회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해녀의 삶과 그 노래』(2005)
『제주도 해녀노젓는소리의 본토 전승양상에 관한 조사?연구』(2005, 공저)
『연행록연구총서(전10권)』(2006, 공편저)
『수산노동요연구』(2006, 공저)
『고창오씨 문중의 인물들과 정신세계』(2009, 공저)
『해녀노젓는소리 연구』(2010)
『제주여성사Ⅱ』(2011, 공저)
『한국민속문학사전』(2013, 공저)

목차

  • 01 [해녀노젓는소리]의 가창방식 |이성훈|
    ? 서 론
    ? 가창방식
    ? 결 론

    02 서부경남에 전승된 제주도 [해녀노젓는소리]의 음악적 고찰 |문숙희|
    ? 서 론
    ? 제주도에 전승된 [해녀노젓는소리]의 음악적 내용 검토
    ? 서부 경남지역에 전승된 [해녀노젓는소리]의 음악적 분석
    ? 결 론

    03 해녀소리 ?이어도 사나? 오르프 음악놀이 |조효임|
    ? 서 론
    ? 제주도 해녀소리 ?이어도 사나?의 의의
    ? 해녀소리 ?이어도 사나? 오르프 음악놀이
    ? 결 론

    04 민요의 전승과 교육을 위한 사설 표준화 방안 |이성훈|
    ? 서 론
    ? [해녀노젓는소리] 사설의 활용 양상
    ? [해녀노젓는소리] 사설 표준화의 필요성
    ? [해녀노젓는소리] 사설 표준화 방안
    ? 결 론

    05 민요 웹사이트의 구축 현황과 문제점 |이성훈|
    ? 서 론
    ? 민요 웹사이트의 구축 현황과 실태
    ? 민요 정보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 결 론

    06 濟州島 海女服 硏究 |김정숙|
    ? 序 論
    ? 濟州島의 風土와 海女의 生活狀態
    ? 海女服의 歷史的 考察
    ? 海女服의 種類와 時代的 變遷過程
    ? 遺品의 實測 및 製作 方法
    ? 濟州島 海女服의 特徵
    ? 結 論

    07 [해녀노젓는소리] 연구의 새로운 국면 진입 |강등학|

    08 삶과 노래의 관련 양상을 찾아서 |한창훈|

    09 출가[出稼] 해녀의 생애와 소리 총체적 조명 |최은숙|

    10 ‘검은 바다’와 더불어 사는 사람들 이해하기 |한창훈|

    11 濟州島의 潛嫂 用語에 관한 調査報告 |김순이|
    ? 入漁
    ? 氣候
    ? 潮水
    ? 採取物
    ? 道具
    ? 俗談?禁忌語

    12 강원도 속초시 해녀 [노 젓는 노래]와 생애력 조사 |이성훈|
    ? 일러두기
    ? 제보자 이기순의 생애력과 사설

    13 제주해녀항쟁의 주도자 김옥련 할머니의 삶 |허호준|

    14 제주해녀들의 생애사 |문순덕?김창후|
    ? 강매화의 삶 그리고 역사
    ? 서향엽의 삶 그리고 역사
    ? 고금선의 삶 그리고 역사
    ? 김정숙의 삶 그리고 역사
    ? 김정자의 삶 그리고 역사
    ? 한덕순의 삶 그리고 역사
    ? 한재윤의 삶 그리고 역사

    15 물질이 천직 |문순덕|
    ? 어린 시절
    ? 부모의 뜻에 따른 혼인
    ? 물질이 천직
    ? 한림의 과거와 미래
    16 물질이 일생의 삶 |문순덕|
    ? 인생살이 시작
    ? 결 혼
    ? 과거의 생활
    ? 최근의 근황
    ? 개인 생활

    17 경남 통영시 해녀 [노 젓는 노래] 조사 |이성훈|
    ? 일러두기
    ? 제보자 현종순의 생애력과 사설

    18 서부 경남지역 [해녀노젓는소리] 조사 |이성훈|
    ? 일러두기
    ? 거제시 남부면 저구리
    ? 사천시 서금동
    ? 통영시 사량면 금평리
    ? 거제시 장목면 장목리
    ? 거제시 남부면 다대리
    ? 거제시 남부면 갈곶리

    19 불턱 |문순덕|
    ? 서 론
    ? 불턱의 기능
    ? 불턱의 지역별 특징
    ? 결 론
    ? 불턱의 현황과 내용

    20 전남 신안군 흑산면 가거도의 해녀문화에 관한 보고서 |이유리|
    ? 조사개요 및 지역개관
    ? 가거도 무레꾼의 성립과 조직형태
    ? 생업의 변화와 무레조직의 붕괴
    ? 물질도구와 물질기술
    ? 가거도 해녀문화의 특징

출판사 서평

도서 소개
? 이성훈 박사는 숭실대학교 한국문예연구소 학술총서 48호로 『해녀연구총서(전5권)』를 발간하여 해녀와 관련한 연구의 현황과 동향을 분석하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모색하였음.

? 해녀 연구는 구비문학과 의학 분야에서 시작되었고, 요즘은 여러 학문 분야로 확대되어 학제간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음.

? 고령화 추세로 인한 해녀 수의 감소는 해녀문화의 소멸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해녀문화의 보존과 전승을 위해서만이 아니라 제주해녀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될 수 있도록 학문적 연구도 병행되어야 함을 보여주고 있음.

? 이 총서는 해녀와 관련한 문학, 민속학, 역사학, 경제학, 관광학, 법학, 사회학, 인류학, 음악학, 복식학 분야의 대표적 논문들과 서평, 해녀노래 사설, 해녀의 생애력, 해녀용어, 해녀문화 등의 자료들을 한데 묶음.

? 『해녀연구총서』는 먼저 학문 분야에 따라 대표적인 연구자를 선정하고, 그 분야별로 해녀 관련 연구물과 자료들을 수록하여 해녀 연구의 흐름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였으며, 해녀연구자들에게 학문적 기초 자료도 제공함.

? 이 총서는 제주해녀 연구의 흐름을 학문 분야별로 정리한 책으로 향후 해녀연구자의 연구에 귀중한 지침서가 될 것이며, 최초로 해녀와 관련한 연구 논문과 자료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것임.

? 이 총서는 해당 학문 분야 연구자들의 해녀 관련 연구물을 대상으로 하여 전 5권으로 묶어 연구 현황 분석과 미래 연구 방향을 탐구하였음.
머리말
해녀는 공기통 없이 바닷속에 들어가 전복, 소라, 해삼, 미역, 우뭇가사리 따위를 채취하는 여자다. 제주해녀들은 농어촌의 범상한 여인이면서도 육지의 밭과 바다의 밭을 오가며 농사를 짓는 한편 해산물도 채취한다. 제주해녀는 제주도뿐만 아니라 출가(出稼) 물질을 나갔던 한반도의 모든 해안지역과 일본에도 정착하여 살고 있다.
최근에 제주특별자치도, 제주도민, 해녀들, 학계, 언론계 등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제주해녀를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시키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제주해녀문화는 현재 문화재청 한국무형유산 국가목록에 선정되면서 유네스코 문화유산 등재도 구체화되고 있다. 이러한 노력에는 지역민의 참여 확대와 행정적인 측면 이외에 학술적인 측면도 중요시해야 한다. 해녀연구자로서 이 총서를 엮게 된 이유다.
해녀 연구는 크게 두 가지 방향에서 시작되었다. 하나는 구비문학적 측면에서 해녀노래(해녀노젓는소리)를 수집하고 연구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의학적 측면에서 해녀의 인체 생리를 연구한 것이다. 이후로 해녀 연구는 차츰 여러 학문 분야로 확대되었고 요즘에는 학제간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간 해녀 관련 박사논문이 의학, 문학, 인류학 분야에서 여러 편 나왔고 석사논문과 일반논문들은 수백 편이 있으나, 아직 그것들을 한데 묶어 책으로 내놓은 적은 없다. 제주해녀를 유네스코에 등재시키려고 노력하는 이때야말로 해녀와 관련된 연구 논문과 자료들을 집대성하는 작업이 필요한 시점이다. 또한 ‘해녀학’을 정립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 그에 대한 논의도 필요한 때라고 본다.
지난해 말부터 『해녀연구총서』 출간 작업에 착수하였고, 이제 일부분이긴 하나 작은 결실을 보게 되었다. 작업 과정에서 글을 찾아 읽고 선별하며 필자들을 섭외하는 일은 간단치 않았다. 『해녀연구총서』를 엮는 취지를 잘 설명했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연구자는 끝내 글의 게재를 거절해서 몇몇 글들을 싣지 못한 아쉬움은 있지만 어쩔 수 없는 일이다.
이 총서는 해녀 관련 문학?민속학?역사학?경제학?관광학?법학?사회학?인류학?음악학?복식학 분야의 대표적인 논문들과 서평?해녀노래 사설?해녀의 생애력?해녀용어?해녀문화 등의 자료들을 한데 묶은 것이다. 타 학문 분야와 폭넓게 소통하면서 통섭하려는 요즘의 시대적 흐름에 맞게 이 총서는 해녀 연구자들에게 그간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새로운 연구 방법을 탐구하는데 활로를 뚫어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 총서를 엮으면서 납활자시대에 나온 논문들은 일일이 타자 작업을 하고, 원본 논문에서 표기가 잘못된 어휘나 문장을 찾아 교정하고 교열하는 과정은 지난한 작업이었다. 한국고전종합DB의 『신증동국여지승람』과 『조선왕조실록』, 한국역사통합정보시스템과 한국고전번역원의 원문데이터베이스 등의 원문 텍스트를 일일이 대조하면서 잘못된 부분을 바로잡은 것과 현행 맞춤법 규정, 표준어 규정, 외래어 표기 규정에 맞게 고친 게 그것이다. 이를테면 저자명인 “?山守彌”를 “?山寺彌”로 오기한 것이 있는가 하면, 『삼국사기』제19권 문자명왕 13년 기록에 “小國係誠天極”을 “小口係誠天極”으로, 『고려사』제28권 충렬왕 2년 기록에 “乃取民所藏百餘枚”를 “及取民所藏百餘枚”로, “안성맞춤”을 “안성마춤”으로, “出稼”를 “出嫁”로, “스티로폼”을 “스티로풀”로 오기한 것을 바로잡아 고친 게 그 예이다.
이 총서를 엮는데 많은 관심을 가져주시고 선뜻 원고를 보내주신 필자 여러분과 책에 실린 해녀 사진을 제공해주신 사진작가 김익종 선생님의 사모님께 이 자리를 빌려 감사드린다. 또한 인문학의 발전을 위한다는 사명감으로 출판에 도움을 준 학고방의 하운근 사장님과 편집을 담당한 박은주 선생께도 감사의 뜻을 전한다.
학계의 해녀 연구에 새로운 전기가 마련되기를 기대하는 마음과, 제주해녀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기를 기원하는 염원으로 이 총서를 세상에 내놓는다.

기본정보

상품정보 테이블로 ISBN, 발행(출시)일자 , 쪽수, 크기, 총권수, 시리즈명을(를) 나타낸 표입니다.
ISBN 9788960714694
발행(출시)일자 2014년 12월 30일
쪽수 686쪽
크기
160 * 230 mm
총권수 1권
시리즈명
숭실대학교 한국문예소 학술총서

Klover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문장수집 (0)

문장수집 안내
문장수집은 고객님들이 직접 선정한 책의 좋은 문장을 보여주는 교보문고의 새로운 서비스입니다. 마음을 두드린 문장들을 기록하고 좋은 글귀들은 "좋아요“ 하여 모아보세요. 도서 문장과 무관한 내용 등록 시 별도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리워드 안내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드립니다.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판매가 5,000원 미만 상품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이 책의 첫 기록을 남겨주세요.

교환/반품/품절 안내

  • 반품/교환방법

    마이룸 > 주문관리 > 주문/배송내역 > 주문조회 > 반품/교환 신청, [1:1 상담 > 반품/교환/환불] 또는 고객센터 (1544-1900)
    * 오픈마켓, 해외배송 주문, 기프트 주문시 [1:1 상담>반품/교환/환불] 또는 고객센터 (1544-1900)
  • 반품/교환가능 기간

    변심반품의 경우 수령 후 7일 이내,
    상품의 결함 및 계약내용과 다를 경우 문제점 발견 후 30일 이내
  • 반품/교환비용

    변심 혹은 구매착오로 인한 반품/교환은 반송료 고객 부담
  • 반품/교환 불가 사유

    1) 소비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상품 등이 손실 또는 훼손된 경우
    (단지 확인을 위한 포장 훼손은 제외)
    2)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악세서리 포함) 등
    3)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예) 음반/DVD/비디오,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4)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1)해외주문도서)
    5) 디지털 컨텐츠인 ebook, 오디오북 등을 1회이상 ‘다운로드’를 받았거나 '바로보기'로 열람한 경우
    6)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7)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8) 세트상품 일부만 반품 불가 (필요시 세트상품 반품 후 낱권 재구매)
    9) 기타 반품 불가 품목 - 잡지, 테이프, 대학입시자료, 사진집, 방통대 교재, 교과서, 만화, 미디어전품목, 악보집, 정부간행물, 지도, 각종 수험서, 적성검사자료, 성경, 사전, 법령집, 지류, 필기구류, 시즌상품, 개봉한 상품 등
  • 상품 품절

    공급사(출판사) 재고 사정에 의해 품절/지연될 수 있으며, 품절 시 관련 사항에 대해서는 이메일과 문자로 안내드리겠습니다.
  • 소비자 피해보상 환불 지연에 따른 배상

    1) 상품의 불량에 의한 교환, A/S, 환불, 품질보증 및 피해보상 등에 관한 사항은 소비자분쟁 해결 기준 (공정거래위원회 고시)에 준하여 처리됨
    2) 대금 환불 및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함

상품 설명에 반품/교환 관련한 안내가 있는 경우 그 내용을 우선으로 합니다. (업체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