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기술과 융합서비스 현장 실무
도서+교보Only(교보배송)을 함께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20,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1Box 기준 : 도서 10권
알림 신청하시면 원하시는 정보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해외주문/바로드림/제휴사주문/업체배송건의 경우 1+1 증정상품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패키지
북카드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방송통신 전문도서로서 필요한 독자에게 적극 기여하기를 바라며-
?방송통신 분야별 기술 및 서비스 전반에 대해 총 5부 24장으로 구성하여 분야별로 상세하게 작성하여 필요한 부분은 즉시 파악할 수 있도록 분류하였다.
?이론과 실무, 기술규격, 방송통신현장 기술, 성능, 측정을 포함한 유지관리 등 단계적으로 작성하여 체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단순 기술 나열이 아닌 현장에 종사중인 정보통신기술사 집필진의 창의성과 노하우, 이슈 분석 등을 토대로 기본적 이론과 현장 실무를 최신 실무 중심으로 작성하여, 방송통신 기술 전반을 체계적으로 집필, 기대 이상 학습 성과를 제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도서를 통해 공무원 및 공공기관, 기업 입사 및 국가기술 자격 취득, 현장 방송통신기술 종사자에 중요 Referencs 매뉴얼이 될 수 있도록 주요 내용을 축약하여 제시하였다.
?현장에서 사용되는 수많은 그림과 표로 본문의 내용을 쉽게 이용하고, 파악할 수 있도록 작성하여, 현장 진출을 목표로 하거나, 현장에 계신 종사자를 위한 전문가 중심의 도서로 유·무형의 성과를 제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작가정보
정보통신기술사/공학박사
?한국방송공사(KBS), SBS, 강원대학교 초빙교수(현)
?안세기술 엔지니어링본부(현), 국가기술자격제도 위원(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NCS 및 학습모듈 개발, 4년제 대학 IPP 프로그램 개발, NCS 기반 기업컨설팅. 평가 및 심의, 자문(중기청, IITP, TIPA, RAPA, KCA, 조달청, 서울시 건설심의위원, 도시공사, 재난연구원 등)
?대한민국 산업현장교수(정보통신), 대외강의(방송통신 등), 논문15편, 특허3건
?한국정보통신기술사회 감사(전), 방송전파통신전문위원
정보통신기술사
?대전문화방송(현)
?저술(4차 산업혁명과 정보통신기술 공저자)
?대전광역시 공동주택 품질검수 위원
?국가기술자격제도 위원(방송통신전파진흥원)
?중소기업청, IITP 과제평가위원, 한국전파진흥협회 자문
?한국정보통신기술사회 방송전파통신전문위원
정보통신기술사
?목포문화방송(현)
?방송프로그램 제작 및 송출 시스템관리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국가기술자격제도 위원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사업제안서 평가위원
?정보통신 특급기술자 및 특급 감리원
?한국정보통신기술사회 방송전파통신전문위원
정보통신기술사
?한국방송공사(KBS)(현)
?국가직무능력표준 NCS 및 학습모듈 개발(정보통신, 방송기술)
?국가기술자격 발전 제도 위원 역임(방송통신전파진흥원)
?KBS 기술사회 회장, 한국정보통신기술사회 부회장 역임
?조달청 IT분야 평가 위원, 통합방송 시스템 강의(ICT 폴리텍대학 산학협력단)
?한국정보통신기술사회 방송전파통신전문위원
정보통신기술사
?한국방송공사(KBS)(현)
?국가직무능력표준 NCS 및 학습모듈개발(정보통신, 방송기술)
?국가기술자격제도 위원(방송통신전파진흥원)
?방송, 정보통신기술 강의 등(학교, 대외)
?한국정보통신기술사회 방송전파통신전문위원
정보통신기술사
원주 MBC 근무
세영통신 근무(현)
국가철도공단 신설 LTE 감리단장
정보통신기술사회 철도건설전문위원
정보통신 특급기술자 및 특급 감리원
한국정보통신기술사회 방송전파통신전문위원
정보통신기술사
LG 유플러스(현)
KT 인재개발원 사외강사, 정보통신공학 관련 강의(대외)
한국네트워크산업협회 평가위원, 통신사 경제성 분석 컨설팅
방송사 전송망 설계 및 망 구축 다수, LTE/5G 인프라 구축
글로벌 네트워크 회사 교육 인증 다수, 해외 전력 전송망 구축 등
한국정보통신기술사회 방송전파통신전문위원
정보통신기술사
SK텔레콤 근무
KT스카이라이프 근무(현)
서울미디어대학원대학교 미디어공학(석사)
특급기술자 및 특급감리원
관심분야:정보통신법제도, 위성방송, 이동통신, 방송통신설비, 건축정보통신
한국정보통신기술사회 방송전파통신전문위원
정보통신기술사
한국스포츠TV, SBS미디어넷, 쌍용정보통신, CJ올리브네트웍스(현)
정보통신, 방송 시스템 통합 설계 및 구축, 연구, 컨설팅
TV조선, YTN, 광주방송, 아리랑국제방송 시스템 설계, 구축
경륜경정본부, 강남케이블TV, 방송통신대 등 방송센터 SI PM
안산공과대학 방송통신학과 강의, 한국정책방송원 방송 시스템 성능향상 책임연구원
한국정보통신기술사회 방송전파통신전문위원
정보통신기술사/공학박사
YTN(현)
통합디지털뉴스룸시스템 구축, 상암신사옥 및 방송시설 구축사업, ICT 융합서비스 연구개발 등
평가 자문(IITP, KTV, ArirangTV, 서울데이터 사이언스연구회 등)
강의(동아방송예술대 겸임, 폴리텍대학교, 경희사이버대학교 등)
저서: 빅데이터분석시스템(폴리텍) 공저, 고속파일전송 및 SDN 논문 등
NCS 및 학습모듈 개발(정보시스템, 실감형통신, 플랫폼, 소셜방송서비스)
한국정보통신기술사회 방송전파통신전문위원
정보통신기술사/공학박사
동아방송예술대학교 방송기술계열 교수(현)
한국영상제작학회 회장(현)/미래방송연구회 회장
SBS 기술인협회 회장/방송기술저널(편집주간, 만평저자)
KBS 뉴스센터, SBS(TV, Radio 기술팀) 근무, NCS 학습모듈개발(지상파방송 기술 감독)
AI 시대의 미디어/4차산업혁명과 미디어/디지털방송기술총람 공저
한국정보통신기술사회 방송전파통신전문위원
정보통신기술사/언론학박사
MBC(현)
지상파방송사 OTT POOQ 이사, 감사
NCS 및 학습모듈 개발(정보통신, 방송기술, 소셜방송 등)
OTT 관련 논문 6편
정보통신 특급기술자, 특급감리
한국정보통신기술사회 방송전파통신전문위원
정보통신기술사
어필텔레콤 통신연구소, 모토로라 통신연구소, 미국 벤처, 중국 대기업 근무
서해철도 기술지원팀장(현)
연구개발(2G/3G/LTE 휴대폰, WLL, 군용 무전기, IMT-2000 단말, Frequency Hopping Filter, MeMS, Array Antenna 등)
대외 정보통신/이동통신 관련 강의
NCS 확인강사(무선통신구축, 이동통신)
한국정보통신기술사회 방송전파통신전문위원, 교통통신전문위원
정보통신기술사/이학박사
LG 유플러스(현)
LTE/5G Access 망 장비개발
산업 IoT 및 Private LTE 상품 개발/기술지원
통신설비 기능장
평가 위원(KISA 등), 강의(학교, 대외), 정보통신 관련 논문 30편
한국정보통신기술사회 방송전파통신전문위원
정보통신기술사
한국정보통신기술사회 방송전파통신전문위원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학습모듈 개발(무선통신 부문)
ICT 폴리텍대학 전문강사(최신 이동통신 기술)
한국생산성본부 정보통신기술사 과정 전문강사
KT MOS 근무(LTE 이동통신망 운영/품질개선)
안세기술 근무(국내외 스마트시티 설계/컨설팅)
정보통신기술사
LG 유플러스(현)
LTE/5G 전국망 설계, 구축, 운영
개발, 연구(5G Access 망 장비 개발, 시스템 상용화, 단말간 IoDT 시험)
국책과제 수행(Reconfigurable Radio System)
인터넷/VoIP/IPTV, 지능형 CCTV 구축, 유선 가입자망 운영
한국정보통신기술사회 방송전파통신전문위원
정보통신기술사
KBS 근무(기술본부장)
KBS 비즈니스 감사
안세기술 국가철도공단 철도통합무선망 감리단장(현)
NCS, 학습모듈 개발(정보통신, 방송기술),
국가 기술자격 출제 및 감독, 공공기관 블라인드 채용 면접위원
한국정보통신기술사회 감사(전), 방송전파통신전문위원
정보통신기술사
(특)한국전파진흥협회 시험인증원(현)
RRA 해상업무용 무선설비 기술기준 연구반원, RRA 지정시험기관 무선분야 심사원
서울교통공사 전자분야 자문위원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산업기술혁신 평가단 정위원
해양경찰청 정보통신분야 기술자문 위원
한국정보통신기술사회 방송전파통신전문위원
목차
- 제1부. 지상파 방송 서비스
제1장 방송프로그램 제작기술
1.1 방송프로그램 제작기술 개요
1.2 방송프로그램 제작 신호
1.3 방송프로그램 제작 장비 및 시스템
제2장 방송프로그램 송출
2.1 방송프로그램 송출 개요
2.2 주조정실
2.3 HD 방송 송출실/주조정실 시스템
제3장 방송네트워크
3.1 방송네트워크 개요
3.2 방송네트워크 종류
제4장 DTV 방송
4.1 DTV 방송 개요
4.2 DTV 방송관련 용어 정의
4.3 DTV 추진 경과
4.4 DTV 신호 규격
4.5 DTV 기술기준
4.6 DTV 방송기기
4.7 STL
4.8 DTV 송신 시스템
4.9 DTV 측정 시스템
4.10 신고하지 아니하고 개설할 수 있는 무선설비 기술기준
4.11 무선국 검사
참고자료
제5장 UHDTV 방송
5.1 UHDTV 방송 개요
5.2 UHDTV 추진 경과 및 현황
5.3 UHDTV 방송 시스템 규격
5.4 UHDTV 기술기준
5.5 UHDTV 방송제작 및 송출기기
5.6 UHDTV 방송회선
5.7 UHDTV 송신 시스템
5.8 ATSC 3.0 기반 2세대 디지털 방송 서비스
참고자료
제6장 FM 방송
6.1 FM 방송 개요
6.2 FM 변조 및 복조 기술
6.3 FM 방송 제작 장비
6.4 FM 방송 송출 장비
6.5 음원 아카이브 및 자동 송출 시스템
6.6 라디오 프로그램 운행
6.7 송출 네트워크 장비
6.8 FM 송신 시스템
6.9 FM 수신 성능 검사
참고자료
제7장 DMB 방송
7.1 DMB 방송 개요
7.2 DMB 방송관련 용어
7.3 DMB 방송 기술기준
7.4 DMB 방송 시설 구분
7.5 DMB 방송 제작 및 송출, 송신 시설 운용
7.6 AT-DMB
참고자료
제2부. 유료방송 서비스
제8장 인터넷멀티미디어 방송
8.1 IPTV 방송 개요
8.2 IPTV 추진 경과
8.3 IPTV 신호 규격
8.4 IPTV 기술기준
8.5 IPTV 방송기기
8.6 IPTV 방송 시스템
8.7 IPTV 신호 측정
8.8 시스템 운용
8.9 IPTV 서비스 진화
참고자료
제9장 위성방송 시스템
9.1 위성방송 개요
9.2 기술기준
9.3 위성방송 시스템 개요
9.4 신호 획득 시스템
9.5 압축다중화 시스템
9.6 업링크 시스템
9.7 주조정실
9.8 IP융합 시스템
9.9 CDN 펌웨어 배포 및 단말기 관리 시스템
참고자료
제10장 Cable TV 방송 시스템
10.1 Cable TV 개요
10.2 Cable TV Head-End
10.3 HFC 네트워크
10.4 Cable TV 방송서비스 네트워크
10.5 Access Network
10.6 VOD
10.7 DRM
10.8 CAS
10.9 PSIP/SI
10.10 STB
참고자료
제3부. 방송, 실감미디어, 방송미디어 유통서비스
제11장 IT 방송 시스템
11.1 NPS 개요
11.2 NPS 워크플로우
11.3 NPS 네트워크
11.4 NPS 스토리지
11.5 CMS
11.6 디지털 아카이브 시스템
제12장 실감미디어 방송 서비스
12.1 실감방송과 가상현실 미디어 기술
12.2 AR/VR/MR/XR 기상현실 기술
12.3 실감방송 서비스
12.4 MR/XR 서비스
12.5 언택트/온택트 콘텐츠
제13장 방송미디어 유통
13.1 방송플랫폼
13.2 방송미디어 생태계
13.3 OTT 서비스
13.4 넷플릭스
13.5 유튜브
13.6 디즈니 플러스
13.7 국내 대표 OTT
13.8 OTT 추천 알고리즘
13.9 소셜 미디어 서비스
제4부. 모바일 방송 서비스
제14장 모바일 방송
14.1 모바일 방송 기술 개요
14.2 출현 배경
14.3 모바일 IPTV 기술 개요
14.4 발전 방향
참고자료
제15장 4G LTE 서비스 및 방송
15.1 4G LTE란
15.2 4G 등장 배경
15.3 4G 기술 개요
15.4 4G LTE 특징
15.5 4G LTE 구조 및 옵션
15.6 4G LTE 응용기술
참고자료
제16장 5G NR
16.1 5G 기술 개요
16.2 5G 특징
16.3 5G Access/Core 네트워크와 구성 방식
16.4 5G 표준화 및 진화 방향
16.5 5G 주요 응용 기술
참고자료
제17장 Wi-Fi
17.1 기술 개요
17.2 용어
17.3 기술적 특징
17.4 Wi-Fi 네트워크
17.5 IEEE 802.11 표준
17.6 차세대 Wi-Fi
제18장 차세대 무선통신 기술
18.1 차세대 무선통신
18.2 차세대 무선통신 기술 개요
18.3 Wi-Fi 7
18.4 6G 이동통신
18.5 차세대 무선통신 발전방향
제5부. 법규, 적합성 평가 및 건축물 방송통신설비
제19장 방송통신관계 법규
19.1 방송통신 관계법규
19.2 방송법
19.3 방송통신발전 기본법
19.4 전파법
19.5 전파법 시행령
19.6 정보통신공사업법
19.7 인터넷 멀티미디어 방송사업법
19.8 건축법
19.9 건축법 시행령
19.10 비상방송설비의 화재안전기준
19.11 고층건축물의 화재안전기준
제20장 방송통신설비 적합성 평가
20.1 적합성평가 제도 정의 및 관련 법령
20.2 적합성평가 기술기준 및 시험방법
20.3 전자파적합성
20.4 미국 인증
20.5 유럽 인증
참고자료
제21장 구내방송 시스템
21.1 구내방송설비 개요
21.2 관련기준
21.3 용어
21.4 구내방송설비의 개요
21.5 구내방송설비의 구성
21.6 구내방송설비 설계 시 고려요소
참고자료
제22장 재난방송 시스템
22.1 재난방송 개요
22.2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22.3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시행령
22.4 UHDTV 재난방송
22.5 전국 터널 FM/DMB 재난방송
22.6 건축물 내 FM, DMB 재난방송
참고자료
제23장 건축물 내 CCTV 시스템
23.1 건축물 내 CCTV 시스템 개요
23.2 건축물 내 CCTV 설치와 관련한 법령
23.3 건축물 내 CCTV 시스템 개요
23.4 카메라부
23.5 CCTV 카메라 종류
23.6 전송부
23.7 녹화부
23.8 ONVIF, TTA
제24장 건축물 내 방송 공동수신설비
24.1 방송 공동수신설비의 개요
24.2 관련 법령 기준
24.3 용어
24.4 방송 공동수신설비의 구성
24.5 방송 공동수신설비 설계 시 고려요소
24.6 방송 공동수신설비의 설치
24.7 방송 공동수신설비 운영 시 고려사항
책 속으로
[머리말]
방송통신기술은 정보통신 기반기술과 방송기술, 미디어, 콘텐츠와 이를 처리하는 정보시스템과 융합되어 4차 산업시대는 물론 그 이후를 선도하는 핵심 기술, 서비스로서 지속적으로 발전되며 앞으로 나아갈 것입니다.
방송통신 용어는 2002년 우리나라의 디지털방송 전환을 위한 특별법 제정, 시행 이후 방송통신발전 기본법등을 토대로 탄생하여 현재에 이르렀으며, 법령과 제도에 따라 NCS 국가직무체계에 정보통신 방송기술로 분류됨과 동시에 방송통신 공무원 직제, 방송통신 국가자격 신설 등 현재는 광범위하게 방송통신이라는 용어가 일상화 되어 가고 있습니다.
그러나 방송통신 기술의 중요성에 비해 그 시기가 비교적 짧은 관계로, 잘 알려지지 못함에 따라, 공무원, 공공기관, 기업입사를 준비하는 분이나, 방송통신 국가기술 자격을 준비하는 분, 방송통신 현장에 종사하고 있으나 참고 실무 도서나 매뉴얼이 없어 기술 역량증진에 애로가 있는 등 실질적인 방송통신 전문기술도서가 매우 부족함을 확인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애로사항을 해결하고자 한국정보통신기술사회 방송전파통신전문위원 20명은 2020년 하반기 방송통신기술을 주변에 알리고, 공적기능을 다 하기 위하여 기술사로서 지식공유라는 책무 하에 방송통신 실무도서를 발간하기로 하였으며, 이후 10개월여가 지난 지금, 방송통신기술 전반에 대한 기술이론, 실무, 현장운용 및 관리, 기술 및 동향 이슈, 향후 전망에 이르기까지 내용을 총 망라하여 본 도서를 집필하게 되었습니다.
이 책은 총 5부 24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부는 방송프로그램 제작 및 송출, 네트워크 시스템, 지상파방송 시스템, 2부는 유료방송 시스템인 IPTV, CABLE, 위성방송, 3부는 IT 방송, 실감미디어, 방송미디어유통 서비스, 4부는 무선통신 기술 및 모바일 방송 융합 서비스, 5부는 주요 방송통신 관련법규, 적합성평가, 구내방송, 재난방송, 비상방송, CCTV, 건축물 공동수신 설비 등 정보통신 시장에 적용되는 주요 핵심기술을 상세하게 서술하여 직장인, 학생, 전문가를 지향하는 모든 분들이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성의를 다하여 구성하였습니다.
?1부 : 지상파 방송인 디지털TV(DTV), 초고화질 TV(UHD-TV), FM,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의 프로그램 제작, 송출과 전송 네트워크, 송신 등 방송 서비스 매체별 주요 기술 이론, 기술 규격, 시스템 구성, 현장 운용 및 측정, 성능시험 등 기술 전반을 수록하였습니다.
?2부 : 유료방송 서비스인 인터넷멀티미디어 방송(IPTV), 케이블 방송(CABLE TV), 위성 방송(Satellite 방송, Skylife)에 대한 기술이론, 규격, 시스템 구성, 현장 운용 및 측정, 성능시험 등 기술전반을 상세하게 다루었습니다.
?3부 : IT 방송 시스템을 적용하는 최근의 동향을 고려한 IT 방송 시스템 제작, 구성, 운용 기술과, AR, VR, MR 등 실감미디어, 소셜 방송을 포함하는 방송미디어 유통전반에 대한 기술과 동향을 서술하였습니다.
?4부 : 모바일 방송은 최근의 고정적인 방송서비스와 더불어 급성장하고 있는 주요 방송서비스입니다. 무선기술의 기본적 이론과 특징, 동향 등은 물론, 모바일 방송서비스, WIFI, LTE, 5G NR, 이동통신 모바일방송 등 주제별 기술을 제시함으로서, 방송과 통신의 융합, 유선과 무선통신의 서비스 통합을 넘어 현재와 미래를 가늠할 수 있는 주요한 내용 전반을 제시하였습니다.
?5부 : 방송 송·수신에 관한 주요 방송통신 관계 법규, 방송통신 시스템 성능심사 및 적합성 평가, 건축물에 설치되는 구내방송 시스템, 재난방송 시스템, CCTV, 공동수신 설비 설치 기술 등 정보통신업계에 종사하는 분들을 위한 방송통신 설비 설계, 공사, 감리에 이르는 주요 기술적 사항을 서술하여 방송통신전문가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이 책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방송통신 분야별 기술 및 서비스 전반에 대해 총 5부 24장으로 구성하여 분야별로 상세하게 작성하여 필요한 부분은 즉시 파악할 수 있도록 분류하였습니다.
?이론과 실무, 기술규격, 방송통신현장 기술, 성능, 측정을 포함한 유지관리 등 단계적으로 작성하여 체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단순 기술 나열이 아닌 현장에 종사중인 정보통신기술사 집필진의 창의성과 노하우, 이슈 분석 등을 토대로 기본적 이론과 현장 실무를 최신 실무 중심으로 작성하여, 방송통신 기술 전반을 체계적으로 집필, 기대 이상 학습 성과를 제고할 수 있도록 성의를 다하였습니다.
?본 도서를 통해 공무원 및 공공기관, 기업 입사 및 국가기술 자격 취득, 현장 방송통신기술 종사자에 중요 Referencs 매뉴얼이 될 수 있도록 주요 내용을 축약하여 제시하였습니다.
?현장에서 사용되는 수많은 그림과 표로 본문의 내용을 쉽게 이용하고, 파악할 수 있도록 작성하여, 현장 진출을 목표로 하거나, 현장에 계신 종사자를 위한 전문가 중심의 도서로 유·무형의 성과를 제고할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하였습니다.
모쪼록 이 책이 4차 산업은 물론 이후에 이르기까지 방송통신 기술 전반의 핵심 도서로서 필요한 분에게 좋은 길잡이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기본정보
ISBN | 9788957175385 |
---|---|
발행(출시)일자 | 2021년 06월 15일 |
쪽수 | 742쪽 |
크기 |
190 * 260
* 34
mm
/ 1539 g
|
총권수 | 1권 |
Klover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리뷰 종류별로 구매한 아이디당 한 상품에 최초 1회 작성 건들에 대해서만 제공됩니다.
판매가 1,000원 미만 도서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일부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불편을 끼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래에 해당하는 Klover 리뷰는 별도의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리뷰는 1인이 중복으로 작성하실 수는 있지만, 평점계산은 가장 최근에 남긴 1건의 리뷰만 반영됩니다.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문장수집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