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겔의 미학강의 1: 예술미의 이념 또는 이상
도서+교보Only(교보배송)을 함께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20,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1Box 기준 : 도서 10권
알림 신청하시면 원하시는 정보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해외주문/바로드림/제휴사주문/업체배송건의 경우 1+1 증정상품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패키지
북카드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작가정보
저자(글)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헤겔
저자 게오르그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Georg Wilhelm Friedrich Hegel)은 독일의 철학자이자 독일 ‘이상주의(理想主義, Idealismus)’ 철학의 이론을 완성한 거장. 1770년 독일 남부 슈투트가르트에서 궁정관리의 장남으로 태어났으며, 튀빙겐대학교에서 철학과 신학을 공부했다. 졸업 후 1793년에 스위스로 가서 당시 베른의 영향력 있는 정치가인 폰 슈타이거(von Steiger) 집안의 가정교사로 일하며 이 가문이 소장한 방대한 양의 서적을 읽는 기회를 가졌다. 여기서 얻은 폭넓고 심오한 지식을 체계적으로 활용하여 훗날 그는 자신의 철학체계를 세울 수 있었다.
1801년 독일 동부 예나(Jena)대학교의 강사직에 임명된 후 불후의 명저 《정신현상학(Phanomenologie des Geiste)》(1807년)을 썼고, 이어서 두 번째 저서인 《논리학(Wissenschaft der Logik)》(1812년)을 출간하였다. 1816년에 하이델베르크대학교 교수로, 1818년에는 당대의 유명한 철학자 피히테의 뒤를 이어 베를린대학교 교수로 임명되었고, 세 번째 명저인 《법철학 강요(Grundlinien der Philosophie des Rechts)》(1821년)를 출간하였다. 대학 강사 시절인 1802년에 당시 독일문화의 중심지였던 드레스덴을 비롯해, 1822년 브뤼셀, 1824년 빈, 1827년 파리와 프라하, 칼스바트로 여행하면서 수많은 전시, 공연, 오페라 등을 관람하였고, 특유의 독창적이고 진지한 예술 감각을 익혔다. 이를 바탕으로 하이델베르크대학교와 베를린대학교에서 ‘미학 또는 예술철학(Asthetik oder Philosophie der Kunst)’ 강의를 하였으며, 이 내용을 제자인 하인리히 구스타프 호토(Heinrich Gustav Hotho)가 정리하여 그의 사후 출간한 것이 바로 《미학강의(Vorlesungen uber die Asthetik)≫이다.
일찍이 스피노자와 칸트, 루소 그리고 괴테의 영향을 받았으며, 열아홉 살에 직접 겪은 프랑스 혁명은 그가 이성과 자유에 바탕을 둔 철학을 과제로 삼는 데 하나의 단초가 되었다. 또한 루소의 사상, 고대 그리스의 철학과 예술 나아가 칸트, 피히테 등 당대의 주요 철학들을 깊이 탐구하면서 근대의 온갖 분열된 상황에 맞서 삶의 근원적인 총체성을 되살리려는 이상을 세웠다.
근대철학과 문화, 사회 안에서 주체와 지식의 대상인 객체, 정신과 자연, 자아와 타자, 권위와 자유, 지식과 신념, 계몽주의와 낭만주의 사이의 긴장과 모순으로 가득 차 있는 현상을 헤겔은 ‘절대정신’을 중심으로 하는 자신의 철학체계 안에서 합리적으로 규명하고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당대 최고의 철학자로 인정받던 헤겔은 1831년 병으로 사망했지만, 1820년부터 형성되기 시작한 ‘헤겔학파’를 통해 독일은 물론 세계적으로 그의 철학이 널리 전파되면서 후세에 큰 영향을 끼쳤다.
역자 두행숙은 전북 군산 출신으로, 서강대학교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한 후 독일 뒤셀도르프대학교에서 독일문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 후 서강대와 한국교원대, 충북대, 중앙대 등에서 독일문학과 철학을 강의했다. 현재는 서강대에서 독일문학과 독일문화, 독일어를 강의하면서 번역 분야에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창작소설로 《길들여진 고독》이 있으며, 주요 번역서로는 헤르만 헤세 수필집 《정원 일의 즐거움》과 《인생을 보는 지혜》 《헤세, 내 영혼의 작은 새》를 비롯해 《시간이란 무엇인가》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꿈꾸는 책들의 도시》 《멸종-사라진 것들. 종과 민족 그리고 언어》 《하얀 마사이》 《디지털 보헤미안》 《레아》 《은하수를 여행했던 천재들의 역사》 등 다수가 있다.
목차
- 역자의 말 4
서장(序章)
Ⅰ. 미학의 범위설정과 예술철학에 반대하는 몇몇 반론에 대한 반박 27
Ⅱ. 미와 예술을 학문적으로 다루는 방식들 51
Ⅲ. 예술미의 개념 69
예술에 대한 통념들 73
1. 인간 활동의 소산으로서의 예술작품 74
2. 인간의 감각을 위해 감각적인 것에서 도출된 예술작품 87
3. 예술의 목적 101
예술의 참된 개념에 대한 역사적인 연역 123
1. 칸트 철학 124
2. 실러, 빙켈만, 셸링 132
3. 아이러니 138
주제의 구분 149
제1부 예술미의 이념 또는 이상(理想)
유한한 현실과 종교 그리고 철학과 관련해서 본 예술의 입지 181
제1장 미의 일반적인 개념 201
1. 이념 201
2. 이념의 현존성 208
3. 미의 이념 209
제2장 자연미 216
A. 자연미 자체 216
1. 생명으로서의 이념 216
2. 자연적인 생동성의 미 227
3. 자연적인 생동성을 고찰하는 방식들 236
B. 감각적 질료 속에 깃든 추상적인 형태와 추상적인 통일성의 외적인 미 241
1. 추상적인 형태의 미 242
a. 규칙성 242
b. 법칙성 248
c. 조화 250
2. 감각적인 질료가 추상적으로 통일되어 드러난 미 252
C. 자연미의 결함 254
1. 직접성 속에 오직 내면으로서만 존재하는 내면 257
2. 직접적이고 개별적인 현실존재가 지니는 의존성 261
3. 직접적이고 개별적인 현실존재가 지니는 한계성 265
제3장 예술미의 이념 또는 이상(理想) 269
A. 이상 자체 269
1. 미적인 개성 269
2. 이상과 자연의 관계 282
B. 이상의 피규정성 306
Ⅰ. 이상의 피규정성 자체 307
1. 통일성이면서 보편성인 신성(神性) 307
2. 신들의 신성한 영역 308
3. 평정(平靜)한 이상 309
Ⅱ. 행위 311
1. 일반적인 세계 상태 313
a. 개인의 독자성이 나타난 영웅시대 314
b. 오늘날의 범속한 상태 337
c. 개인적인 독자성의 재건(再建) 339
2. 상황(狀況) 345
a. 상황 부재성 349
b. 특정한 상황 속에 들어있는 무해성 350
c. 충돌 357
3. 행위 378
a. 행위에 깃들어 있는 보편적인 위력들 382
b. 행동하는 개인들 393
c. 성격 413
Ⅲ. 이상의 외적인 피규정성 432
1. 추상적인 외면성 자체 435
2. 구체적인 이상(理想)과 그것이 외적인 실재성으로 드러날 때의 조화 444
3. 이상적인 예술작품의 외면성과 관객과의 관계 460
C. 예술가 493
1. 상상력, 천재, 영감 493
a. 창조적 상상력 493
b. 재능과 천재성 496
c. 영감 501
2. 표현의 객관성 504
3. 매너리즘, 양식(樣式) 그리고 독창성 508
a. 주관적인 매너리즘 509
b. 양식(樣式) 512
c. 독창성 514
찾아보기 523
출판사 서평
잠자고 있던 헤겔의 명저(名著)를 다시 일깨우다!
1996년 국내 최초 완역본으로 출간되었던 《헤겔미학》이 《헤겔의 미학강의(Vorlesungen uber die Asthetik)》로 14년 만에 새로운 모습으로 출간 되었다. 오랜 시간에 걸친 역자의 노력 끝에, 번역 문장을 다듬고 개념들을 재정리하였으며 도판을 더 풍성하게 실어 더욱 생생하고 정확하게 2백 년 전 철학 대가가 들려주는 최고의 미학 명강의를 다시 만날 수 있게 되었다. 책의 제목도 원서 제목을 그대로 옮겨 《헤겔의 미학강의》로 바꾸었다. 전3권, 원고지 8천 매에 이르는 방대한 텍스트와, 예시로 등장하는 신화와 예술 · 문화에 따른 다양한 도판, 독자의 이해를 돕는 역주가 실린 이 책의 출간은 마치 헤겔의 철학이 예술과 결합하여 펼쳐진 박람회와도 같아서, 평소 헤겔 철학에 관심을 가지고 있던 독자나 미학 공부를 하는 이들이라면 분명 반가워할 소식이다.
모두 3권으로 구성된 완역판《헤겔의 미학강의》는 1832년∼1845년 사이에 출간된 헤겔의 저작들을 바탕으로 독일의 주어캄프 출판사가 편찬해 낸《헤겔전집》(전 20권) 가운데 제 13, 14, 15권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이는 헤겔이 하이델베르크대학교와 베를린대학교에서 강의한 ‘미학 또는 예술철학(Asthetik oder Philosophie der Kunst)’의 내용을 제자인 하인리히 구스타프 호토(Heinrich Gustav Hotho)가 정리하여 그의 사후 출간한 것이다. 호토의 필기를 바탕으로 정리하였기 때문에 전반에는 호토가 헤겔미학에 체계를 부여하려 노력한 점과 풍부한 사례를 들어 헤겔의 사유를 좀 더 논리적으로 강화하려는 흔적이 보이기도 한다. 역자는 이 같은 한계점을 인식하고 호토의 견해로 보이는 부분은 역주를 따로 달아 표시하는 세세한 배려를 아끼지 않았다. 역자의 말에서 밝혔듯이 이 책은 비판적 입장에서 읽어야 할 부분이 분명 존재하지만 헤겔 특유의 변증법적 철학체계에 기반을 둔 예술적 사유를 좇고 그의 역사적 · 철학적 미학관을 살피기에 더없이 좋은 양서이다.
2백 년 전 미학 명강의를 오늘 다시 듣는다!
《헤겔의 미학강의》는 총 3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에서 헤겔은 종래의 예술에 대한 통념들을 폭넓게 검토하면서 예술과 예술미의 본질에 대해 규명한다. 그에 앞서 칸트, 실러, 빙켈만, 셸링 등 미학자들이 세운 예술이론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자연미와 대립되는 예술미에 대한 자신의 이론을 체계적이고 장대하게 펼친다. 특히 1부 서문에서 헤겔은 미학을 예술철학으로 보는 자신의 입장을 분명히 하며, 그의 미학 이론이 전반적으로 ‘자연의 미’가 아닌 ‘예술의 미’를 다루고 있음을 강조한다. 또한 예술미가 자연미보다 우월한 이유는 예술미가 바로 정신의 소산이기 때문이며, 동시에 이것이 그가 예술을 철학적으로 고찰하고자 하는 이유임을 밝히고 있다. 그의 이론에 따르면 진정한 미란 감성이 아닌 이념의 영역에서 이해되는 것으로서 ‘절대정신’, ‘절대이념’으로부터 나오며, 그것이 바로 헤겔이 말하는 절대진리, 즉 ‘이상(Ideal)’이라는 것이다. 이외에도 그는 인간 개인과 집단, 인간정신과 감각, 인간의 자유와 예속 등 이중구조 속에서 나타나는 조화와 갈등이 어떻게 예술로 발전되어 가는지를 놀라운 방식으로 보여준다.
2부에서는 이집트 · 인도 등 고대 동방의 상징적 예술, 그리스의 고전적 예술, 중세 · 르네상스 · 바로크 · 고전주의 · 낭만주의 시대를 포함한 서구의 낭만적 예술과 같은 여러 예술형식들에 대한 헤겔식 전개에 따른 세밀한 분석이 이루어진다. 특히 이러한 예술형식들이 예술미의 이념에 따라 감각적인 가상(假象)으로서 예술작품 속에 구체적으로 형상화되고 극복되어 감각적인 현존방식이 아닌 종교와 철학으로 발전해가는 과정을 통해 헤겔 특유의 관점을 엿볼 수 있다.
마지막 파트인 3부에서는 건축과 조각, 미술과 음악, 시문학 등 개별 예술들의 체계가 심도 있게 논의된다. 이 과정에서 헤겔은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는 여러 장르의 수많은 작품들을 사례로 들며 앞서 구축한 예술미의 이론이 그 속에 어떻게 구체적으로 드러나는지 하나하나 고찰해 나간다. 또한 각 장르들의 질료와 형식, 내용이 일치와 조화를 이루는지 혹은 모순을 갖는지도 철저하게 규명하고 있다.
현대 미학을 이해하고자 한다면 반드시 거쳐야 할 필독서!
예술작품을 실리적이고 감각적으로만 사고하는 태도에서 벗어나 예술 자체에서 예술을 파악하려고 했던 칸트(Kant)에게서 시작된 ‘예술에 대한 사유’의 시도는 이후 독일에서 철학자 셸링(Schelling)과 졸거(Solger)를 지나 헤겔에 이르러 그 정점에 도달한다. 헤겔 이전의 모든 미학은 헤겔로 흘러들어와 헤겔이라는 강을 거쳐 현대 미학으로 발전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완역본이 나왔던 1996년 당시 큰 화제가 되었던 이 책은 헤겔 미학의 빛나는 정점을 오롯이 담고 있으며 현대 미술과 미학을 이해하고자 하는 사람이라면 필연적으로 거쳐야 하는 필독서라고 할 수 있다.
최근에 한국 도서 시장에 쏟아졌던 미학과 미술에 관련한 도서들은 모두 칸트와 헤겔의 미학에 어느 정도 빚지고 있으며, 특히나 역자의 바람대로 한국의 미학을 정립하기 위한 과정으로 서구의 미학을 공부하기 위해서라면 이 책을 통해 미학사상의 실체를 더 확실하게 재검토할 수 있다.
기본정보
ISBN | 9788956603506 | ||
---|---|---|---|
발행(출시)일자 | 2010년 07월 01일 | ||
쪽수 | 532쪽 | ||
크기 |
153 * 224
* 35
mm
/ 800 g
|
||
총권수 | 1권 | ||
원서명/저자명 | Vorlesungen uber die Asthetik : Mit einer Einfuhrung hrsg/Hegel, Georg Wilhelm Friedrich |
Klover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리뷰 종류별로 구매한 아이디당 한 상품에 최초 1회 작성 건들에 대해서만 제공됩니다.
판매가 1,000원 미만 도서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일부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불편을 끼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래에 해당하는 Klover 리뷰는 별도의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리뷰는 1인이 중복으로 작성하실 수는 있지만, 평점계산은 가장 최근에 남긴 1건의 리뷰만 반영됩니다.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문장수집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