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망과 질시의 로컬리티
도서+교보Only(교보배송)을 함께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20,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1Box 기준 : 도서 10권
알림 신청하시면 원하시는 정보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해외주문/바로드림/제휴사주문/업체배송건의 경우 1+1 증정상품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패키지
북카드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수상내역/미디어추천
- 전문기관 추천도서 > 세종도서 우수학술도서 > 2014년 선정
작가정보
저자(글) 오미일
(吳美一 Oh, Mi-il)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HK교수
저자(글) 조정민
(趙正民 Cho, Jung-min)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HK교수
저자(글) 문재원
(文載媛 Mun, Jae-won)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HK교수
저자(글) 조명기
(曺鳴基 Cho, Myung-ki)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HK교수
저자(글) 양흥숙
(梁興淑 Yang, Heung-sook)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HK교수
저자(글) 손은하
(孫銀河 Son, Eun-ha)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HK연구교수
저자(글) 신지은
(辛智恩 Shin, Ji-eun)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HK교수
저자(글) 차윤정
(車胤汀 Cha, Yun-jung)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HK교수
저자(글) 공윤경
(孔允京 Kong, Yoon-kyung)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HK연구교수
저자(글) 하용삼
(河龍三 Ha, Yong-sam)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HK연구교수
저자(글) 차철욱
(車喆旭 Cha, Chul-wook)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HK교수
저자(글) 장세용
(張世龍 Jang, Se-yong)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HK교수
목차
- 책머리에 3
1부 표류하는 중심성과 욕망
제국의 주변ㆍ조선의 중심, 경성 일본인의 心像?오미일ㆍ조정민
교육시스템과 진로문제를 중심으로
1. 경성지역 이주 일본인의 정체성과 로컬리티
2. 일본인 교육시스템과 경성의 학교
3. 경성 일본인의 심상 - 선망과 질시, 콤플렉스의 변주
4. 식민도시 경성 거류 일본인의 콤플렉스
고향의 발견과 서울/지방의 (탈)구축?문재원
결여와 선망의 이중구조
1. 로컬리티 그리고 한국문학
2. 이동하는 주체와 공간의 중층성
3. 구심력의 확산과 고백주체
4. 결여와 선망의 이중구조 안에서 발견되는 고향(담론)
5. 중심/주변의 담론을 넘어
일상적 장소성과 관계적 공간성의 두 변증법?조명기
『서울, 어느 날 소설이 되다』와 『서울, 밤의 산책자들』을 중심으로
1. 로컬과 공간 감각
2. 관계적 공간성의 관습과 현대성ㆍ도시성의 전유
3. 지식 체계의 수행성과 부정변증법
4. 로컬리티 - 즉자와 대자 사이에서
2부 로컬의 경합과 로컬 재구성
진주의 ‘중심성’과 문화예술도시로의 재구성?양흥숙
1. 진주에서의 ‘중심’과 경남도청
2. ‘도청’ 트라우마와 중심으로의 선망
3. 새로운 도시 구상, 문화예술도시
4. 도시 주체들의 결집과 성찰
영화 「고양이를 부탁해」에서 나타나는 혼종과 우정의 공간?손은하ㆍ신지은
1. 영화로 인천보기
2. 등장인물과 미장센 분석
3. 혼종과 우정의 공간, 인천
4. 선물에 기초한 우정공동체
간판매체에 반영된 주변화 양상과 지역인의 의식?차윤정ㆍ공윤경
부산 정관 덕산마을을 중심으로
1. 공간의 문화 표상, 간판
2. 신ㆍ구 공간의 형성과 변화
3. 간판에 반영된 주변화
4. 주변화와 지역인의 의식
5. 일상공간과 주체적 삶
3부 자본과 공간분절
자본주의적 종교와 로컬리티의 세속화?하용삼
G. 아감벤의 성스러운 것과 세속적인 것을 중심으로
1. 로컬과 개인의 경계
2. 총체적 삶
3. 성스러운 것과 세속적인 것의 분리
4. 성스러운 것의 이미지 인간 대 세속화의 몸짓 인간
5. 자본의 현상학적 환원으로서 공동체
6. ‘아무 할 일도 없는 존재’와 무위의 공동체
부산 기지촌 주민들의 역사적 경험과 양면성?차철욱
1. 기지촌의 새로운 이해
2. 기지촌의 시ㆍ공간적 특징
3. 미군 점령과 기지촌 주민의 반응
4. 기지촌 주민과 미군부대
이탈리아 ‘북부문제’와 지역주의?장세용
로컬경제와 유럽연합의 지역정책과 관련시켜
1. 지역의 탄생
2. 지역주의와 기억의 정치
3. 포스트 포드주의 생산양식과 북부지역주의 생성
4. 신지역주의와 로컬리즘
5. 재성찰되는 지역주의
필자 소개
출판사 서평
선망과 질시
로컬인을 주체로 호명하기 위해 이용된 도구적 감정, 선조적 질서를 긍정하게 만드는 기제
선망과 질시 - 갈등의 제 양상과 의미를 분석
로컬은 국가ㆍ중앙ㆍ글로벌이라는 각종 층위의 공간단위가 부단히 개입하면서 실천적으로 작동하고 있는 현장이며 다양한 질서들이 중층적으로 얽히면서 복합적인 갈등을 직조해내는 공간이다.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로컬리티의 인문학’은, ‘지금 여기’라는 가치와 다양한 외부 규정력의 상호영향관계에 주목하면서 궁극적인 공생의 가능성을 인문학적 차원에서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출간된 『선망과 질시의 로컬리티』(소명출판, 2013)는 ‘선망과 질시’를 개인의 자생적인 감정으로 간주하는 대신 외부발생적 요인을 강조하는 사회구조적인 차원에서 접근한다. 선망과 질시는 근대성의 논리가 만들어낸 양극화와 소외ㆍ배제의 고통스런 결과일 뿐만 아니라, 근대적 국민국가와 자본이 자신의 헤게모니를 위해 활용한 감정적 도구라는 점을 끊임없이 암시하고 상기시킨다. 자신을 부정하는 방식인 선망과 질시는, 타자 혹은 ‘텅 빈 공간’을 생산함으로써 자신을 주체로 확립해온 근대의 논리 그리고 소비를 유발하기 위해 끊임없이 결핍을 생산해 온 자본의 논리에 효과적이다.
‘선망과 질시’라는 키워드는 갈등의 제 양상과 의미를 분석하고 이해하는 데 유용한 돌파구를 제공한다. 비록 부인할 수 없는 로컬인의 감정이기는 하지만 로컬인을 주체로 호명하기 위해 이용된 도구적 감정인 동시에 선조적인 질서를 긍정하게 만드는 기제인 셈이다. 국가ㆍ자본이 구체성을 획득하고 자연성을 인정받는 유력한 방식 중 하나는, 국가(중심공간)와 자본을 중심으로 한 선조적 가치를 통해 개인의 선망과 질시를 유도하고 이 감정을 로컬 전체의 감정으로 유포함으로써 추상적인 선조성을 구체적인 공간위계ㆍ사회구조로 전환하는 것이다. 이때 선망과 질시의 감정은 개인적 차원에서 발생되고 해결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의미망 안에서 구조적으로 조성된다.
구조의 선회 - 분열, 재편성, 재구성
선조성(線條性)ㆍ위계성에 따른 갈등의 메커니즘을 찾아 나선 이 책은 다음 세 차원의 논의를 순차적으로 진행한다. 우선 선망과 질시의 기준점으로 표상된 중심ㆍ국가의 분열성ㆍ파편성을 확인하는 작업을 수행한 후, 선조성의 내면화로 인해 발생한 로컬리티의 재편성ㆍ로컬 내부의 갈등 등을 확인하는 논의들을 진행하고, 마지막으로 공간의 생산에 상당한 영향을 끼치는 자본의 이중적 기능 즉 로컬리티의 재구성과 대안적 가능성을 모색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표류하는 중심성과 욕망’은, 장소로부터 공간을 탈취하여 중심 - 주변이라는 이분법적 공간인식 구도를 생성해낸 근대적 인식틀 그리고 여기에 기반을 둔 위계적 공간구도는 선험적이거나 고정적인 구도가 아니라 유동적이고 역사적인 세계 인식의 구도일 뿐임을 밝히는 데 초점을 맞춘다. 이분법적 위계구도나 인식 자체를 먼저 고찰하는 이유는, 현재의 문제를 재인식하고 새롭게 진단하기 위한 인식론적 도구나 시각을 확보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 작업은, 로컬을 결핍의 공간으로 생산하는 중심지향적 인식구도를 재고할 뿐만 아니라 생산적으로 해체하고 전복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를 확보하는 작업, 나아가 대안적 공간인식의 구조를 제시하려는 시도까지 포함한다.
‘로컬의 경합과 로컬 재구성’은, 공간의 위계를 부정할 수 없는 현실적 조건으로 인정하는 상황인식에서 출발하여 로컬이 선택할 수 있는 대안적 가능성을 탐구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이 글들은, 로컬이 중앙ㆍ자본의 논리를 내면화하여 이를 모방하는 과정에서 로컬은 어떻게 재편성되고 있는지 그리고 로컬 내외부는 어떤 갈등에 봉착하게 되는지를 살핌으로써 중앙ㆍ자본에 대한 로컬의 이중적 태도를 탐구하고 나아가 대안적 사유의 단초를 발견하는 데 집중한다.
‘자본과 공간분절’은 자본이 로컬이라는 구체적인 현장에서 작동할 때 선망과 질시라는 자극적인 감정을 유발함으로써 공간을 분절하여 자본 자체의 증식을 도모하고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자본의 이런 작용은 로컬리티의 생성ㆍ변화에 영향을 끼치는데, 로컬은 이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가를 철학적, 역사적 관점에서 고민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로컬 - 공존의 길을 모색하다
『선망과 질시의 로컬리티』는 ‘선망과 질시’라는 키워드를 통해 갈등의 로컬리티를 탐구함으로써 공존ㆍ공생의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한 밑거름을 제공한다는 데 의의를 둔다. 우리는, 국가ㆍ자본ㆍ중심은 악(惡)이며 가해자이고 로컬ㆍ주변은 선(善)이지만 피해자라는 이분법적 사고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전자의 분열성과 파편성’ 그리고 ‘후자의 주체화’를 동시에 탐색함으로써 ‘공생의 길을 모색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내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선망과 질시는 일방향적인 선조성에 의해 직조되지 않을뿐더러 쌍방향적으로 작동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비단 로컬ㆍ주변의 문제만이 아니라 보편적인 문제임을 인식하게 되는 기회를 갖게 되었다.
이 책은 철학, 문학, 언어학, 역사학, 사회학, 영상공학, 도시공학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선망과 질시를 갈등의 원인이자 결과로 이해하면서 분석하는 작업을 공간 정치라는 관점으로 일관되게 진행한 후 통합한 결과이다. 따라서 자칫 제기될 수 있는 로컬리즘을 예방하는 동시에 ‘지금 여기’의 주체적 삶이 외부의 영향력과 변증법적이고도 다양한 방식으로 관계 맺을 수 있는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모색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기본정보
ISBN | 9788956268620 | ||
---|---|---|---|
발행(출시)일자 | 2013년 05월 20일 | ||
쪽수 | 357쪽 | ||
크기 |
153 * 224
mm
|
||
총권수 | 1권 | ||
시리즈명 |
로컬리티 연구총서
|
Klover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리뷰 종류별로 구매한 아이디당 한 상품에 최초 1회 작성 건들에 대해서만 제공됩니다.
판매가 1,000원 미만 도서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일부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불편을 끼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래에 해당하는 Klover 리뷰는 별도의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리뷰는 1인이 중복으로 작성하실 수는 있지만, 평점계산은 가장 최근에 남긴 1건의 리뷰만 반영됩니다.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문장수집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