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수목의학

수정판 2 판 | 양장본 Hardcover
이경준 저자(글)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2020년 02월 05일
가장 최근에 출시된 개정판입니다. 구판보기
10.0
10점 중 10점
(8개의 리뷰)
집중돼요 (57%의 구매자)
  • 수목의학 대표 이미지
    수목의학 대표 이미지
  • A4
    사이즈 비교
    210x297
    수목의학 사이즈 비교 196x265
    단위 : mm
01 / 02
무료배송 소득공제
49,000
적립/혜택
1,470P

기본적립

3% 적립 1,470P

추가적립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1,470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300원
배송안내
무료배송
배송비 안내
국내도서/외국도서
도서 포함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도서+사은품 또는 도서+사은품+교보Only(교보굿즈)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교보Only(교보배송)
각각 구매하거나 함께 20,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20,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해외주문 서양도서/해외주문 일본도서(교보배송)
각각 구매하거나 함께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업체배송 상품(전집, GIFT, 음반/DVD 등)
해당 상품 상세페이지 "배송비" 참고 (업체 별/판매자 별 무료배송 기준 다름)
바로드림 오늘배송
업체에서 별도 배송하여 1Box당 배송비 2,500원 부과

1Box 기준 : 도서 10권

그 외 무료배송 기준
바로드림, eBook 상품을 주문한 경우, 플래티넘/골드/실버회원 무료배송쿠폰 이용하여 주문한 경우, 무료배송 등록 상품을 주문한 경우
새벽배송 내일(4/3,목 오전 7시 전) 도착
기본배송지 기준
배송일자 기준 안내
로그인 : 회원정보에 등록된 기본배송지
로그아웃 : '서울시 종로구 종로1' 주소 기준
로그인정확한 배송 안내를 받아보세요!

이달의 꽃과 함께 책을 받아보세요!

1권 구매 시 결제 단계에서 적용 가능합니다.

알림 신청하시면 원하시는 정보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수목의학(樹木醫學, arbormedicine) ’에 관한 국내 최초의 책
수목의 건강을 증진하기 위해 병해충 진단, 치료, 예방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다루고 있으며, 대학 교재로 활용되도록 기획한 책이다. 수목의 구조와 기능과의 연관성, 정상적인 수목생장의 생리적 해석, 발병, 진단, 전염성 병, 비전염성 병, 해충, 치료, 방제, 예방, 건강관리법 등을 총 482장의 컬러사진을 첨부하여 서술하였다. 특히 2차 수정판은 수목의 병해충 방제의 화학적 방제 중 농약의 종류를 많은 부분에서 수정 보완하였다. 예를 들면 최근 더는 생산되지 않거나, 사용이 금지되었거나, 이제는 사용하지 않는 용어 중에서 디프수화제, 메프유제, 메틸브로마이드, 클로로피크린, 파라치온, 파라쿠아트 등을 삭제하고 새로운 농약으로 대체하였다.

이 책의 주요 목적은 수목의학을 공부하는 학도들에게 수목의학에 대한 길잡이 역할을 하는 것이다. 특히 문화재청 주관 식물보호기사 자격증, 농촌진흥청 주관 식물보호기술자 자격증, 산림청 주관 수목보호기술자와 나무의사, 수목치료기술자 자격증을 가지고 있거나 취득하려는 많은 수험생에게 유익한 참고자료가 될 것이다.

작가정보

저자(글) 이경준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임학과 학사
미국 University of Wisconsin 임학과 석사(수목생리학)
미국 University of Florida 임학과 박사 및 박사 후 과정(수목생리학)
산림청 임목육종연구소 전문직연구원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과학부 조교수, 부교수, 교수
미국 University of Washington 국비파견 연구교수
서울대학교 식물병원 설립 및 초대원장사단법인 한국임학회 회장
사단법인 한국산림유전생리학회 초대회장사단법인 한국나무병원협회 초대회장
사단법인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부회장사단법인 자연유산보존협회 부회장
사단법인 한국산림정책연구회 부회장한국임업단체총연합회 부회장
문화재청 문화재전문위원 및 문화재위원회 위원서울특별시 건설기술심의회 위원(조경분야)
아시아개발은행(ADB) 몰디브공화국 쓰나미 수목피해조사 단장
(현) 서울대학교 식물병원 외래임상의 및 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과학부 명예교수
(현) 사단법인 한국밀원수조림육성협회 초대회장(현) 한국산림정책연구회 회장
(현) 산림녹화기록물UNESCO기록유산등재추진위원회 위원장

주요 저서
『수목생리학』(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조경수 식재관리기술』(공저,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조경수 병해충 도감』(공저,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조경수생산관리론』(공저, 문운당)
『산림과학개론』(저자대표, 향문사)
『산림생태학』(공저, 향문사)
『임목육종학』(공저, 향문사)
『한국의 천연기념물 ─ 노거수 편』(아카데미서적) 『산에 미래를 심다』(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한국의 산림녹화, 어떻게 성공했나?』(기파랑)
『한국의 산림녹화 70년』(저자대표, 한국학중앙연구원)
Successful Reforestation in South Korea(amazon.com)
『문답으로 배우는 조경수 관리지식』(향문사)

목차

  • 머리말

    제1장 수목의학의 역사
    1-1 의학과 수의학
    1-2 식물의학
    1-3 수목의학
    1-4 외국 수목의학의 발달 역사
    1-5 국내 수목의학의 발달 역사

    제2장 수목의 구조
    2-1 구조와 기능의 연관성
    2-2 수목의 특성
    2-3 수목의 연령별 형태
    2-4 수목의 기본구조

    제3장 수목의 생장
    3-1 수목의 생장점
    3-2 수고생장과 수고생장형
    3-3 직경생장
    3-4 뿌리생장
    3-5 생식생장

    제4장 수목의 생리
    4-1 햇빛에 대한 생리적 반응
    4-2 에너지 대사
    4-3 물질이동과 배분
    4-4 수분 생리
    4-5 유기물 대사
    4-6 무기영양
    4-7 식물호르몬 생리
    4-8 개화 생리

    제5장 수목의 발병
    5-1 수목의 병
    5-2 수목 병의 원인 분류
    5-3 병해충 발생에 영향을 주는 요인
    5-4 발병기작
    5-5 환경 영향과 발병
    5-6 수목 피해의 결과: 죽은 부분과 산 부분의 분리

    제6장 수목의 병해충 진단
    6-1 인체 진단의학과 수목 진단의학
    6-2 진단전문가의 자세
    6-3 피해발생상황 조사
    6-4 수목 진단 기구
    6-5 검사실 분석과 조사
    6-6 샤이고메터
    6-7 진단과정
    6-8 전염성 병과 비전염성 병의 구별
    6-9 병징과 표징
    6-10 해충 피해진단
    6-11 피해원인별 병징과 진단법

    제7장 수목의 전염성 병
    7-1 수목 전염성 병원균의 종류
    7-2 전염성 병의 발병 부위와 공통 병징에 따른 분류
    7-3 곰팡이병
    7-4 세균병
    7-5 바이러스병
    7-6 파이토플라스마병
    7-7 선충병
    7-8 조류에 의한 병
    7-9 기생식물에 의한 병
    7-10 주요 조경수의 주요 전염성 병

    제8장 수목의 해충
    8-1 곤충의 특성
    8-2 곤충의 분류
    8-3 해충의 종류
    8-4 가해습성에 의한 해충의 분류
    8-5 피해증상과 가해흔적에 의한 해충 구분
    8-6 주요 조경수 해충의 종 다양성
    8-7 국내 주요 해충

    제9장 수목의 비전염성 병
    9-1 기상적 요인에 의한 병
    9-2 토양적 요인에 의한 병
    9-3 생물적 요인에 의한 병
    9-4 인위적 요인에 의한 병
    9-5 기타 요인에 의한 비정상적인 현상

    제10장 수목의 치료
    10-1 수간주사
    10-2 엽면시비
    10-3 토양관주
    10-4 부러진 가지 치료: 전정
    10-5 수피 상처치료
    10-6 수간 외과수술
    10-7 뿌리 외과수술
    10-8 지지보조물 설치

    제11장 수목의 병해충 방제
    11-1 수목의 병해충 저항성
    11-2 국가적 및 법적 방제
    11-3 유전적 방제
    11-4 생물적 방제
    11-5 재배적 방제
    11-6 매개충 제거
    11-7 기계적 방제
    11-8 화학적 방제

    제12장 수목의 건강관리
    12-1 수목의 자연방어능력
    12-2 환경스트레스와 수목의 건강
    12-3 식물건강관리
    12-4 건강증진을 위한 수목관리

    인용 및 참고 문헌
    찾아보기(국문/영문)

책 속으로

수목의학은 다른 학문, 특히 식물의학에 없는 고유한 영역도 가지고 있다. 수종별 전염성 병, 줄기 궤양, 수간 천공성 해충, 잦은 기상재해와 인위적 피해, 이로 인한 비전염성 병의 치료, 가지치기 이론과 실제, 줄기 상처의 보호와 방어, 수간주사, 수간의 외과수술 등의 기술은 독특한 영역이며, 이 책에서 자세히 다루게 된다. (4쪽)

식물에서 생명현상을 나타내는 부분은 모두 살아 있는 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생명현상이란 세포분열, 세포신장, 세포분화, 광합성, 호흡, 기공개폐, 물질저장, 분비 등의 기능을 의미한다. 그런데 이러한 생명현상은 모두 살아 있는 유세포(柔細胞, parenchyma cell)에서만 나타난다. 그 이유는 유세포에만 위의 현상을 가능하게 하는 관련 효소(酵素, enzyme), 원형질(原形質, protoplasm), 세포막(細胞膜, cell membrane)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29쪽)

자유생장을 하는 수종일수록 나이를 먹으면서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 따라서 한 개체 내에 불규칙하게 고정생장과 자유생장을 하는 가지가 섞여 있어 수형(tree form)이 불규칙하게 된다. 느티나무는 기본적으로 자유생장을 하지만, 성숙하면 고정생장을 하는 가지의 비율이 늘어나서 수형이 불규칙해진다. 일부 단풍나무도 자유생장을 하지만, 일부 가지에서만 자유생장을 하여 수형이 균형을 잃어버린다. (34쪽)

세포벽은 큰 분자량을 가진 섬유소가 엉성하게 얼기설기 엮여 있어 틈새가 많고, 세포와 세포 사이 서로 떨어져 있는 세포간극(intercellular space)에도 틈새가 많아, 직경이 작은 물분자나 무기염이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는 자유공간(free space)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무기양분이 무기염의 형태로 자유공간을 따라서 뿌리 속으로 자유롭게 이동하는 것을 세포벽이동(apoplastic movement)이라고 한다. 세포벽이동으로 무기양분이 뿌리 속의 피층(皮層, cortex)까지 들어오는 현상은 물과 함께 자유롭게 들어오기 때문에 수동적 흡수(passive absorption)에 해당한다. (61쪽)

황화현상(黃化現象, chlorosis)은 잎에서 엽록소가 파괴되어 노랗게 색이 변하는 것을 의미한다. 잎 전체의 황화, 얼룩 반점(斑點, mottling), 점각(點刻, stippling), 엽맥 사이 조직 황화(interveinal chlorosis) 등으로 나타난다. 황화현상은 전염성 병, 해충, 토양의 과다한 수분, 추운 날씨, 대기와 토양 오염, 토양의 과다한 무기염, 양분 결핍, 복토, 제초제 피해로 생긴다. 성엽이 먼저 노래지면 질소와 인의 결핍을, 유엽이 먼저 노래지면 칼슘, 철분, 붕소의 결핍을 의심할 수 있다. (100쪽)

병원균 배양은 발병한 식물체에서 병원균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을 때 (표징이 없다고 말함) 식물체의 일부를 실험실에서 직접 배양하는 과정을 말한다. 여과지처리법(blotter method) 혹은 습실처리법(moisture chamber method)은 살균된 살레에 2장의 여과지를 깔고 멸균수로 적신 후 발병한 식물체의 일부(잎, 꽃, 종자, 가지, 뿌리 등)를 넣고, 20~25℃에서 3~7일간 배양하여 병반 부위에 형성된 포자(표징에 해당함)를 관찰한다. (122쪽)

소나무류 디플로디아잎마름병이라고도 부른다. 세계적으로 소나무류에 흔한 병이다. Diplodia 균에 의해 소나무, 해송, 잣나무, 리기다소나무, 백송의 10~30년생 수목에서 주로 발생한다. 봄에 새순과 어린잎이 갈변하고 구부러지면서 급히 말라 죽으며, 성엽이 감염되면 밑으로 처지면서 백색을 띤 옅은 갈색(우윳빛에 가까움)으로 퇴색한다. 죽은 가지에서 송진이 흘러나오며, 여름부터 엽초 표피를 뚫고 검은색의 분생포자각이 돌출하여 중요한 표징이 된다. 봄에 비가 자주 오고 서늘할 때 발생한다. 방제를 위하여 봄부터 2주 간격으로 베노밀수화제, 티오판수화제를 2~3회 살포한다. (170쪽)

국내에서는 오리나무잎벌레(Agelastica coerulea)가 오리나무, 박달나무, 밤나무, 서어나무, 피나무, 사과나무, 배나무, 벚나무, 뽕나무류, 사시나무, 버드나무류 등을 가해하는 심각한 해충이며, 유충과 성충이 잎살만 먹어 잎이 붉게 변한다. 그 밖에 버들꼬마잎벌레, 사시나무잎벌레, 버들잎벌레, 호두나무잎벌레 등이 활엽수를 가해한다. 방제를 위해 아시트수화제, 사이스린액제, 델타메트린, 디플루벤주론, 트리플루뮤론, 페니트로치온유제, 클로르플루아주론유제 1,000배액을 7~10일 간격으로 살포한다. (214쪽)

다아현상은 가지의 한 곳에 많은 수의 눈이 모여서 발생하는 현상을 말하며, 곰솔에서 자주 관찰된다. 소나무의 경우 소나무혹응애(pine rosette gall mite)가 기생하면서 생긴다고 알려져 있으며, 그 밖에 바이러스에 의한 병인 경우와 유전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로 알려져 있다. (321쪽)

중력식은 묽은 용액을 쓰는데, 시판되는 것이 없어서 나무병원마다 서로 다르게 만들어 쓰고 있다. 요즘 원예에서 수경재배(水耕栽培, hydroponic culture)가 일반화되어 있기 때문에 호글랜드 용액(Hoagland solution)을 기준으로 하여 조제하여 중력식 수간주사에 사용하면 된다. 병원에서 5% 포도당 혈관 주사용으로 사용하는 링거용액(Ringer’s solution)에 무기염(미네랄)을 혼합하여 쓴다. (328쪽)

여러 가지 병해충 방제 수단 중에서 가장 바람직한 것은 유전적 방제이다. 병해충에 대한 저항성과 감수성은 수종에 따라서 큰 차이가 있으며, 같은 수종 내에서도 품종에 따라서 차이를 보인다. 조경수 중에는 병해충이 많아 관리하기 어려운 수종이 있는가 하면, 병해충이 거의 없어 관리하기 쉬운 수종도 있다. (중략) 국내 수종의 경우 소나무, 잣나무, 벚나무류, 단풍나무류는 병해충이 많고, 주목, 낙우송, 은행나무, 목련, 백합나무, 회화나무는 병해충이 적은 편이다. 이런 수종 고유의 특성을 고려해서 조경수를 선택하면 가장 환경친화적으로 수목을 관리할 수 있다. (365쪽)

IPM의 기본 전제는 해충의 숫자는 주기적으로 증가하기 마련이며, 어느 수준에 도달하면 경제적 손실을 초래한다는 것이다. 경제적 손실을 가져오는 해충의 수준(숫자 혹은 밀도)을 경제적 피해수준(economic injury level, EIL)이라고 한다. 해충의 구체적인 생물학적 특성을 파악하면 과학자들은 해충의 숫자가 언제 경제적 피해수준에 도달할 것인가를 모델을 이용해서 예측할 수 있다. 이 예측된 시점을 경제적 한계(economic threshold, ET)라고 한다. (394쪽)

기본정보

상품정보 테이블로 ISBN, 발행(출시)일자 , 쪽수, 크기, 총권수을(를) 나타낸 표입니다.
ISBN 9788952129437
발행(출시)일자 2020년 02월 05일
쪽수 446쪽
크기
196 * 265 * 35 mm / 1392 g
총권수 1권

Klover 리뷰 (8)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사용자 총점

10점 중 10점
10점 중 10점
100%
10점 중 7.5점
0%
10점 중 5점
0%
10점 중 2.5점
0%

57%의 구매자가
집중돼요 라고 응답했어요

57%

집중돼요

0%

도움돼요

14%

쉬웠어요

14%

최고예요

14%

추천해요

10점 중 10점
/최고예요
여려가지 테마가 압축요약된 좋은책이네요~
10점 중 10점
/추천해요
최신 수정판! 좋아요~
리뷰 썸네일
10점 중 10점
/추천해요
이 리뷰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있습니다.
10점 중 10점
/집중돼요
쉽지 않는 내용이지만 공부하고 있습니다
사진도 첨부되어 있어 좋아요
10점 중 10점
/쉬웠어요
나무의사와 관련된 개설서로는 좋은 교재입니다.
10점 중 10점
/집중돼요
나무의사 준비교재로 좋은거 같습니다
10점 중 10점
/집중돼요
좋은 책 잘 받았습니다.
10점 중 10점
/집중돼요
나무의사 시험준비서로 좋을 듯합니다.

문장수집 (4)

문장수집 안내
문장수집은 고객님들이 직접 선정한 책의 좋은 문장을 보여주는 교보문고의 새로운 서비스입니다. 마음을 두드린 문장들을 기록하고 좋은 글귀들은 "좋아요“ 하여 모아보세요. 도서 문장과 무관한 내용 등록 시 별도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리워드 안내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드립니다.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판매가 5,000원 미만 상품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나무의 생장을 돕는 치료
수목의학
초본식물과 목본식물의 구분 기준은 형성층에 의해 직경이 굵어지는 현상의 유무이다
수목의학

교환/반품/품절 안내

  • 반품/교환방법

    마이룸 > 주문관리 > 주문/배송내역 > 주문조회 > 반품/교환 신청, [1:1 상담 > 반품/교환/환불] 또는 고객센터 (1544-1900)
    * 오픈마켓, 해외배송 주문, 기프트 주문시 [1:1 상담>반품/교환/환불] 또는 고객센터 (1544-1900)
  • 반품/교환가능 기간

    변심반품의 경우 수령 후 7일 이내,
    상품의 결함 및 계약내용과 다를 경우 문제점 발견 후 30일 이내
  • 반품/교환비용

    변심 혹은 구매착오로 인한 반품/교환은 반송료 고객 부담
  • 반품/교환 불가 사유

    1) 소비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상품 등이 손실 또는 훼손된 경우
    (단지 확인을 위한 포장 훼손은 제외)
    2)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악세서리 포함) 등
    3)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예) 음반/DVD/비디오,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4)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1)해외주문도서)
    5) 디지털 컨텐츠인 ebook, 오디오북 등을 1회이상 ‘다운로드’를 받았거나 '바로보기'로 열람한 경우
    6)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7)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8) 세트상품 일부만 반품 불가 (필요시 세트상품 반품 후 낱권 재구매)
    9) 기타 반품 불가 품목 - 잡지, 테이프, 대학입시자료, 사진집, 방통대 교재, 교과서, 만화, 미디어전품목, 악보집, 정부간행물, 지도, 각종 수험서, 적성검사자료, 성경, 사전, 법령집, 지류, 필기구류, 시즌상품, 개봉한 상품 등
  • 상품 품절

    공급사(출판사) 재고 사정에 의해 품절/지연될 수 있으며, 품절 시 관련 사항에 대해서는 이메일과 문자로 안내드리겠습니다.
  • 소비자 피해보상 환불 지연에 따른 배상

    1) 상품의 불량에 의한 교환, A/S, 환불, 품질보증 및 피해보상 등에 관한 사항은 소비자분쟁 해결 기준 (공정거래위원회 고시)에 준하여 처리됨
    2) 대금 환불 및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함

상품 설명에 반품/교환 관련한 안내가 있는 경우 그 내용을 우선으로 합니다. (업체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기분 좋은 발견

이 분야의 베스트

이 분야의 신간

공간 인간
이벤트
  • 4월 단말기 북꽃축제 패키지
  • 25년 4월 북드림
01 / 02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