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혜빈궁일기

현전 유일의 궁궐 여성처소 일지 | 양장본 Hardcover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한국학자료 27
정병설 역주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2020년 01월 10일
0.0
10점 중 0점
(0개의 리뷰)
최고예요 (0%의 구매자)
  • 혜빈궁일기 대표 이미지
    혜빈궁일기 대표 이미지
  • A4
    사이즈 비교
    210x297
    혜빈궁일기 사이즈 비교 197x265
    단위 : mm
01 / 02
무료배송 소득공제
24,000
적립/혜택
720P

기본적립

3% 적립 720P

추가적립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720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300원
배송안내
무료배송
배송비 안내
국내도서/외국도서
도서 포함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도서+사은품 또는 도서+사은품+교보Only(교보굿즈)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교보Only(교보배송)
각각 구매하거나 함께 20,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20,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해외주문 서양도서/해외주문 일본도서(교보배송)
각각 구매하거나 함께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업체배송 상품(전집, GIFT, 음반/DVD 등)
해당 상품 상세페이지 "배송비" 참고 (업체 별/판매자 별 무료배송 기준 다름)
바로드림 오늘배송
업체에서 별도 배송하여 1Box당 배송비 2,500원 부과

1Box 기준 : 도서 10권

그 외 무료배송 기준
바로드림, eBook 상품을 주문한 경우, 플래티넘/골드/실버회원 무료배송쿠폰 이용하여 주문한 경우, 무료배송 등록 상품을 주문한 경우
4/4(금) 출고예정
기본배송지 기준
배송일자 기준 안내
로그인 : 회원정보에 등록된 기본배송지
로그아웃 : '서울시 종로구 종로1' 주소 기준
로그인정확한 배송 안내를 받아보세요!

이달의 꽃과 함께 책을 받아보세요!

1권 구매 시 결제 단계에서 적용 가능합니다.

알림 신청하시면 원하시는 정보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혜빈궁일기』를 통해 본 궁궐 여성의 일상
- 궁중 여성풍속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인 『혜빈궁일기』 역주서 출간
현전 유일의 조선시대 궁궐 여성처소 일지인 『혜빈궁일기』가 정병설 교수(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의 역주로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에서 출간되었다. 정치, 행정, 문화적으로 조선의 중심이었던 궁궐에서 여성이 어떻게 살아갔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매우 적다. 이런 상황에서 사도세자의 부인 혜빈궁 홍씨가 머물렀던 처소의 공식 일지인 『혜빈궁일기』의 역주서를 통해 궁궐 여성의 일상에 관해 엿볼 수 있게 되었다.
『혜빈궁일기』는 혜빈궁에서 어떤 일이 있었는지를 알려주는데, 첫 번째는 문안 인사와 제사 등 궁중 의식이고, 두 번째는 의식주와 관련된 기본 생활 정보이며, 세 번째는 담당 내관, 내인, 여종 및 별감 등에 대한 인사 관리다. 구체적으로 보면 간장과 김치를 담그는 일, 옷감을 나누고 염색을 하는 것 등에 대한 것과 단오, 유두, 중양절에 진상하고 하사한 물건 등 흥미로운 내용이 적지 않다. 특히 내관과 내인이 어떻게 근무했고 어떻게 살았는지 등은 다른 기록에서는 좀처럼 볼 수 없는 내용이다.
『혜빈궁일기』는 1764년과 1765년, 두 권에 불과한 기록이지만 유사한 다른 자료가 없다는 점에서 독보적 가치를 지닌다. 이 자료는 이두식 한문에 행초로 필사된 부분이 많고 공문서 투식과 당대의 정치,역사적 배경까지 알아야 이해가 가능해 그간 제대로 활용되지 못했다. 따라서 꼼꼼하게 주석과 해설을 추가하여 당대의 정치, 문화적 배경을 알 수 있도록 한 주석서의 출간은 의미가 크다.

이 책의 총서 (32)

작가정보

역주 정병설

정병설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
『완월회맹연』과 같은 한글고전소설로부터 출발하여 다양한 문학작품을 통해 조선시대의 인간과 문화를 탐구해 왔다. 기생의 삶과 문학을 다룬 『나는 기생이다』(문학동네, 2007), 그림과 소설의 관계를 연구한 『구운몽도』(문학동네, 2010), 음담에 나타난 저층문화의 성격을 밝힌 『조선의 음담패설』(예옥, 2010), 사도세자의 죽음을 통해 조선정치사의 이면을 살핀 『권력과 인간』(문학동네, 2012), 조선 후기 천주교 수용을 다룬 『죽음을 넘어서』(민음사, 2014) 외에 『조선시대 소설의 생산과 유통』(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6), 『한국고전문학 수업』(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9) 등의 책을 펴냈으며, 『한중록』과 『구운몽』을 새롭게 해석하고 번역한 책을 출간하기도 했다. 현재 한국문화의 위상과 성격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목차

  • 머리말
    일러두기

    해제: ?혜빈궁일기?와 궁궐 여성처소의 일상

    혜빈궁일기 1권: 1764년
    혜빈궁일기 2권: 1765년

    참고문헌
    찾아보기
    Abstract
    발간사



    [해설 차례]

    ‘혜빈(惠嬪)’이라는 이름 단오
    기록 시점의 혜빈궁 상황 기우제
    문안(問安)의 종류 사도세자의 대상일(大祥日)
    혜빈궁 내관의 정수와 임무 사도세자 사후의 재정 문제
    영조와 혜빈궁의 거처 위치 사도세자의 담제(?祭)
    혜빈궁은 어디에? 사도세자 생모 선희궁의 죽음
    세자와 세자빈에게 쓴 궁중 용어 친정의 도움으로 사는 궁녀들
    인일(人日) 궁궐에 딸을 넣은 아버지의 심정
    세손 정조의 휴가 과거 합격 동기생
    사도세자의 생일 제사상 준비를 소홀히 한 수모
    금남의 공간 궁궐
    메주로 간장 담그는 날
    정조의 아버지 바꾸기
    대보단의 제사

책 속으로

궁궐의 기록이야 무수히 많지만, 그중에서도 궁궐의 역사, 문화, 풍속을 가장 잘 보여 주는 것은 일기를 비롯한 편년체 자료이다. 그 대표적인 것으로 『승정원일기』를 들 수 있다. 『승정원일기』는 임금의 비서실 일지로, 임금의 공식적 언행은 물론 일거수일투족까지 낱낱이 기록되어 있어서, 임금의 취향과 감정, 사고방식까지 엿볼 수 있는 소중한 기록이다. 임금에게 『승정원일기』가 있다면 세자에게는 『동궁일기』가 있다. 이 밖에 『조선왕조실록』이나 『비변사등록』과 같은 편년체 기록들에도 다른 자료에서 찾아볼 수 없는 중요한 정보가 가득 담겨 있다.
그런데 이들 기록에는 임금과 세자 등 남성 지존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정보가 있지만 대비, 왕비, 세자빈, 후궁 등 궁궐 여성의 삶은 거의 적혀 있지 않다. 『계축일기』, 『산성일기』, 『한중록』 등에 궁중 여성의 삶이 어느 정도 그려져 있으나, 정보량이 적을 뿐만 아니라 제한적이고 특수한 상황과 사람에 국한된 것이라서 일상의 삶은 찾아보기 어렵다. 이 밖에 여성 지존과 그들의 친정 식구들이 주고받은 편지도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는데, 영조비 정순왕후, 순조비 순원왕후, 고종비 명성황후 등 남아 있는 자료의 양이 많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 내용도 문안 인사가 중심이고, 주요 관심 사항이 궁궐 밖의 문제라서 궁궐의 일상과 관련된 부분은 적다. 『혜빈궁일기』와 같은 궁궐 여성처소의 일지는 궁궐 여성의 일상에 관한 정보를 보완할 수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가치가 있다.(3-4쪽)

? 메주로 간장 담그는 날
2월 10일은 간장을 담글 메주를 나누어 주는 날이다. 1765년 같은 날에도 메주를 나누어 주었다. 『만기요람』을 보면 해마다 각궁에 지급하는 정례가 기록되어 있는데, 임금, 왕비, 왕대비 외에는 혜빈궁과 가순궁(嘉順宮)만 기록되어 있다. 이 책은 순조 대의 것이므로 임금의 어머니 가순궁과 할머니 혜빈궁까지 특별히 기록했는데, 일정 기간(날, 달, 넉 달, 해)마다 공상하는 물품 외에 간장과 김치[沈醬沈菹]는 별도로 적었다. 『승정원일기』 1824년 2월 26일 조를 보면, 혜빈궁이 죽은 다음 그 궁궐에 공상하던 것을 줄이는 기사가 있는데, 거기서도 매일 바치는 것 외에 간장과 김치는 따로 기록했다. 그만큼 한국인의 식생활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간장과 김치이다. [???] 『혜빈궁일기』에서 메주는 2월 10일, 김치 담글 재료는 8월 10일에 공상하니, 메주와 김치 재료를 봄, 가을에 나누어 공상함을 볼 수 있다. (47쪽 해설)

2월 29일
겸승언빗 이흥록. 대전과 중궁전에 일차문안을 드렸다. 자비내관 안상형이 갔다가 돌아와 복명하였다. 왕세손이 궁관을 보내 문안을 드렸다.
二十九日. 兼承言色李興祿. 大殿中宮殿, 日次問安. 差備內官安相衡, 往還復令. 王世孫, 遣宮官問安.(58쪽)

5월 4일
대전과 중궁전에 일차문안을 드렸다. 자비내관 임봉휴가 갔다가 돌아와 복명하였다.
관상소(觀象所)에서 부적 스무 장을 올렸다. 다인(多人)이 부적을 각자 스무 장씩 진상하였다. 내자시(內資寺)에서 생쑥과 생마를 올렸다. 내섬시에서 생쑥을 올렸다. 답이 없으셨다.
임금이 우리 궁 출입번내관 여덟 명에게 유별선(油別扇)을 한 자루씩 내리셨다. 사복시(司僕寺)에서 창포를 올렸다. 다인이 창포를 각각 삼 동씩 진상하였다. 답이 없으셨다.
初四日. 大殿中宮殿, 日次問安. 差備內官林鳳休, 往還復令.
觀象所符作 二十張, 封進. 多人供上, 符作各二十張, 進排. 內資寺生艾生麻, 封進. 內贍寺生艾, 封進. 對答幷無. 大殿, 賜給, 宮出入番內官八員處, 別油扇 各一把. 司僕寺菖蒲, 封進. 多人供上, 菖蒲各三同, 進排. 對答無. (82쪽)

9월 1일
혜빈궁의 명령에 다음 내용이 있다. “용동궁의 서원 김성경이 자식을 내인으로 들인 후, 가난하여 치장을 잘해 주지 못하여, 안에서 해 들이라 하는 것이나 해줄 뿐, 들인 후에는 한번 돌아보지 않으니, 짐승이라도 자식을 사랑할 줄 알 것인데, 이것은 어떤 인정이기에, 어린 자식을 중요한
곳에 들이고도, 추위와 더위를 염려하지 않게 하기는커녕, 궐내에서 지어 들이라 하는 것도 즉시 하는 일이 없으니 잘못이라. 무상(無狀)한 사람으로 보고 늘 괘씸히 여겼더니, 지금은 자식을 이미 궐내에 들이고 임금을 업신여기는 뜻이 무상하니, 장 오십 대만 쳐 엄히 다스리되, 무슨 뜻으로 스스로 자식을 들여놓고 형편이 어려우니 치장은 많이는 못해 준다고 해도, 옷가지를 해 들이라는 것도 들인 일이 없고, 서답하러 나간 것도 해서 들인 것이 없으니, 그것은 무슨 뜻이냐. 이제야 자식을 내어 달라 하니, 제 임의로 들이고 싶으면 들이고 내가고 싶으면 내가니, 행사가 절통하니, 지금도 자식의 치장을 때에 미쳐서야 해주면서 감히 내달라 말을 할까. 하나하나 물어 살펴, 엄히 다스리라.” 가승언빗 최석담. “황공하오되 명령에 따라 김성경에게 태장 오십을 치는 것으로 아뢰나이다.(137쪽)

기본정보

상품정보 테이블로 ISBN, 발행(출시)일자 , 쪽수, 크기, 총권수, 시리즈명을(를) 나타낸 표입니다.
ISBN 9788952120533
발행(출시)일자 2020년 01월 10일
쪽수 250쪽
크기
197 * 265 * 28 mm / 877 g
총권수 1권
시리즈명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한국학자료

Klover 리뷰 (0)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Klover리뷰를 작성해 보세요.

문장수집 (0)

문장수집 안내
문장수집은 고객님들이 직접 선정한 책의 좋은 문장을 보여주는 교보문고의 새로운 서비스입니다. 마음을 두드린 문장들을 기록하고 좋은 글귀들은 "좋아요“ 하여 모아보세요. 도서 문장과 무관한 내용 등록 시 별도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리워드 안내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드립니다.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판매가 5,000원 미만 상품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이 책의 첫 기록을 남겨주세요.

교환/반품/품절 안내

  • 반품/교환방법

    마이룸 > 주문관리 > 주문/배송내역 > 주문조회 > 반품/교환 신청, [1:1 상담 > 반품/교환/환불] 또는 고객센터 (1544-1900)
    * 오픈마켓, 해외배송 주문, 기프트 주문시 [1:1 상담>반품/교환/환불] 또는 고객센터 (1544-1900)
  • 반품/교환가능 기간

    변심반품의 경우 수령 후 7일 이내,
    상품의 결함 및 계약내용과 다를 경우 문제점 발견 후 30일 이내
  • 반품/교환비용

    변심 혹은 구매착오로 인한 반품/교환은 반송료 고객 부담
  • 반품/교환 불가 사유

    1) 소비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상품 등이 손실 또는 훼손된 경우
    (단지 확인을 위한 포장 훼손은 제외)
    2)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악세서리 포함) 등
    3)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예) 음반/DVD/비디오,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4)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1)해외주문도서)
    5) 디지털 컨텐츠인 ebook, 오디오북 등을 1회이상 ‘다운로드’를 받았거나 '바로보기'로 열람한 경우
    6)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7)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8) 세트상품 일부만 반품 불가 (필요시 세트상품 반품 후 낱권 재구매)
    9) 기타 반품 불가 품목 - 잡지, 테이프, 대학입시자료, 사진집, 방통대 교재, 교과서, 만화, 미디어전품목, 악보집, 정부간행물, 지도, 각종 수험서, 적성검사자료, 성경, 사전, 법령집, 지류, 필기구류, 시즌상품, 개봉한 상품 등
  • 상품 품절

    공급사(출판사) 재고 사정에 의해 품절/지연될 수 있으며, 품절 시 관련 사항에 대해서는 이메일과 문자로 안내드리겠습니다.
  • 소비자 피해보상 환불 지연에 따른 배상

    1) 상품의 불량에 의한 교환, A/S, 환불, 품질보증 및 피해보상 등에 관한 사항은 소비자분쟁 해결 기준 (공정거래위원회 고시)에 준하여 처리됨
    2) 대금 환불 및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함

상품 설명에 반품/교환 관련한 안내가 있는 경우 그 내용을 우선으로 합니다. (업체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기분 좋은 발견

이 분야의 베스트

이 분야의 신간

침묵의 퍼레이드
이벤트
  • 4월 단말기 북꽃축제 패키지
  • 25년 4월 북드림
01 / 02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