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주문/바로드림/제휴사주문/업체배송건의 경우 1+1 증정상품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패키지
북카드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작가정보
1943년 충북 제천에서 태어났다. 고려대 영문과와 대학원 국문과를 졸업하고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육사 교수부(1971-1974)와 수도여사대(1974-1978)를 거쳐 1978년부터 2008년까지 고려대 국어교육과 교수로 재직하며 현대문학을 강의하였다. 1966년 동아일보(동화), 1967년 중앙일보(시), 1969년 대한일보(소설) 신춘문예로 등단하였다. 현재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이다. 창작집으로 『처형의 땅』(일지사, 1974), 『내가 만난 여신』(물결, 1977), 『새와 십자가』(고려원, 1978), 『절망과 기교』(1981, 예성), 『저녁연기』(정음사, 1985), 『혼례』(고려원, 1987), 『겨울의 꿈은 날 줄 모른다』(문학사상사, 1988) 등이 있다. 50년간 써온 소설들을 묶어 『오탁번 소설』(전6권, 태학사, 2018)을 냈다. 시집으로 『아침의 예언』(조광, 1973), 『너무 많은 가운데 하나』(청하, 1985), 『생각나지 않는 꿈』(미학사, 1991), 『겨울강』(세계사, 1994), 『1미터의 사랑』(시와시학사, 1999), 『벙어리장갑』(문학사상사, 2002), 『손님』(황금알, 2006), 『우리 동네』(시안, 2009), 『시집보내다』(문학수첩, 2014) 등이 있으며, 문학선 『순은의 아침』(나남, 1992)과 시선집 『사랑하고 싶은 날』(시월, 2010), 『밥 냄새』(지식을만드는지식, 2012), 『눈 내리는 마을』(시인생각, 2013), 그리고 『오탁번 시전집』(태학사, 2003)이 있다. 산문집으로 『현대문학산고』(고려대 출판부, 1976), 『한국현대시사의 대위적 구조』(고려대 민연, 1988), 『현대시의 이해』(청하, 1990), 『시인과 개똥참외』(작가정신, 1991), 『개정/현대시의 이해』(나남, 1998), 『오탁번 시화』(나남, 1998), 『헛똑똑이의 시읽기』(고려대 출판부, 2008), 『작가수업-병아리시인』(다산북스, 2015), 『두루마리』(태학사, 2020) 등이 있다. 한국문학작가상(1987) 동서문학상(1994) 정지용문학상(1997) 한국시협상(2003) 김삿갓문학상(2010) 은관문화훈장(2010) 고산문학상(2011), 동리목월문학상(2019) 등을 받았다.
목차
- 001. 둥근 과일과 떠오르는 달
002. 곰고미 따져 깊이 읽기
003. 시의 삶과 시인의 삶
004. 장치와 수사 또는 거부와 초월
005. '현대시 교실' 의 뜻과 말
006. 꽃수풀과 마른 국화
출판사 서평
작품 소개
오탁번 교수의 [현대시의 이해]는 매우 특이하게 설계된 시의 안내서이다. 이 안내서의 특이함 가운데 가장 특징적인 것은 책의 내부 공간이 바로 현대시에 관한 강의가 이루어지는 '현대시 교실'의 공간으로 된다는 점이다.
이 책에서 구축된 '현대시 교실'에서는 시에 관한 사변이 난삽한 개념어를 통해 강제적으로 주입되지 않으며, 한 편의 시가 그 구성성분으로 토막질쳐지지도 않는다. '현대시 교실'은 자유스럽고 자연스러운 대화의 공간이다. 한 편의 시에 대한 자기 나름의 생각과 의견들을 학생들이 자유롭게 펼쳐 보이고, 교사는 말하는 자가 아니라 듣는 자가 되어 그들의 자유분방한 이야기를 경청한다.
'현대시 교실'에는 시인들이 초빙되어 시와 삶에 관한 이야기를 육성으로 들려주기도 하는데, 그 이야기들은 생생한 체험을 동반한 것이어서 모두가 살아있는 언어의 탄력과 활력을 지니고 있다. [현대시의 이해]를 통해 저자가 독자에게 전하려는 의미는 어쩌면 매우 단순한 것일 수도 있다. 시에 관한 강압적이고 권위적인 도그마에 주눅들지 말고 자기 스스로의 힘으로 시작품에 다가가 그것과의 세심한 대화를 통해 그 실체를 만나라는 것, 그것이 바로 저자가 독자들에게 전하려고 하는 바의 요체이다.
저자는, 시는 진정으로 시에 대한 이론적 해명이나 구조를 위하여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시를 그냥 있는 그대로 그냥 '있게' 내버려 두는 것이 시에 대한 가장 바람직한 독법이라고 말한다. 그럼에도 시의 진실에 다가가기 위한 일종의 지형도가 아주 없을 수는 없음은 물론이다. 그러나 그것은 몇 개의 단순화된 공식이나 요령있는 방법으로 요약될 수 있는 성질의 것은 아니다.
저자는 "시는 한 마리의 나비와도 같다"고 말한다. 나비를 잡는 데에는 빗자루나 몽둥이가 아니라 거미줄이나 망사로 만든 포충망이 필요하듯이, 시에 다가가기 위해서는 시의 바깥에서 가져온 틀에 작품을 짜맞추는 우격다짐이 아니라 작품의 짜임관계를 이루는 언어들을 곰곰이 따져 읽는 섬세함이 필요하다. 그 자체가 '현대실 교실'의 진지하면서도 발랄한 공간이 되는 이 책의 내재적 공간 안에서는 시에 관한 지금까지의 선입견이나 알량한 지식은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한다.
거기서는 오히려 시작품 속으로 무턱대고 푹 빠져드는 자세가 요청된다. 그럼으로써, 시 때문에 목숨까지 걸었던, 이제는 역사가 돼버린 시인들의 작품을 죄지은 기분으로 읽게 되고, 또 아직까지는 역사가 되지 않은 살아 있는 시인의 작품을 읽으면서 그들이 타고난 슬픈 운명을 나의 운명으로 껴안게 되기도 한다; 전에는 무심코 지나쳤던 작품들의 생명력을 재발견하기도 하고, 소문만 요란하게 난 작품의 안팎을 찬찬히 들여다 보면서 작품의 알맹이는 하나도 없고 빈껍데기뿐이라는 사실을 알아차리게 되기도 한다.
저자에 따르면, 시는 살아 있는 생명체와도 같다;자기를 사랑하는 사람에게는 감았던 눈을 살포시 뜨고 그 비의를 속삭여 주지만 사랑하지 않는 사람에게는 전혀 그 모습을 보여주지 않는다. 이 책은 바로 시에 대한 사랑을 일깨워주고 그 사랑을 통해 눈 내린 다음날의 순은(純銀)처럼 빛나는 아침햇살과도 같은 시의 눈을 볼 수 있게 해준다.
기본정보
ISBN | 9788930036061 ( 8930036066 ) |
---|---|
발행(출시)일자 | 2004년 03월 15일 (1쇄 1998년 02월 04일) |
쪽수 | 404쪽 |
크기 |
148 * 210
mm
|
총권수 | 1권 |
Klover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리뷰 종류별로 구매한 아이디당 한 상품에 최초 1회 작성 건들에 대해서만 제공됩니다.
판매가 1,000원 미만 도서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일부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불편을 끼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래에 해당하는 Klover 리뷰는 별도의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리뷰는 1인이 중복으로 작성하실 수는 있지만, 평점계산은 가장 최근에 남긴 1건의 리뷰만 반영됩니다.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문장수집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