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목민심서

양장본 Hardcover
현암 이을호 전서 9
한국학술정보 · 2015년 06월 19일
2.5
10점 중 2.5점
(1개의 리뷰)
(null%의 구매자)
  • 목민심서 대표 이미지
    목민심서 대표 이미지
  • A4
    사이즈 비교
    210x297
    목민심서 사이즈 비교 152x225
    단위 : mm
01 / 02
무료배송 소득공제
10% 28,800 32,000
적립/혜택
1,600P

기본적립

5% 적립 1,600P

추가적립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1,600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300원
배송안내
무료배송
배송비 안내
국내도서/외국도서
도서 포함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도서+사은품 또는 도서+사은품+교보Only(교보굿즈)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교보Only(교보배송)
각각 구매하거나 함께 20,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20,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해외주문 서양도서/해외주문 일본도서(교보배송)
각각 구매하거나 함께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업체배송 상품(전집, GIFT, 음반/DVD 등)
해당 상품 상세페이지 "배송비" 참고 (업체 별/판매자 별 무료배송 기준 다름)
바로드림 오늘배송
업체에서 별도 배송하여 1Box당 배송비 2,500원 부과

1Box 기준 : 도서 10권

그 외 무료배송 기준
바로드림, eBook 상품을 주문한 경우, 플래티넘/골드/실버회원 무료배송쿠폰 이용하여 주문한 경우, 무료배송 등록 상품을 주문한 경우
4/2(수) 출고예정
기본배송지 기준
배송일자 기준 안내
로그인 : 회원정보에 등록된 기본배송지
로그아웃 : '서울시 종로구 종로1' 주소 기준
로그인정확한 배송 안내를 받아보세요!

이달의 꽃과 함께 책을 받아보세요!

1권 구매 시 결제 단계에서 적용 가능합니다.

알림 신청하시면 원하시는 정보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책 소개

이 책이 속한 분야

다산 정약용(1762∼1836) 연구의 권위자인 현암 이을호 선생이 일생 동안 연구한 한국의 사상과 문화에 대한 업적을 정리한 「현암 이을호 전서」 제9권 『목민심서』. 책은 원문의 번역과 문장의 교열을 통해 그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고 서세(逝世) 후에 발견된 여러 글들을 보완하고 추모의 글도 함께 실어서 그 학문세계뿐 아니라 선생에 대한 이해의 폭을 더욱 넓히는 데 참고가 되도록 하였다.

작가정보

저자(글) 이을호

저자 현암 이을호는 전남 영광 출생, 중앙고보를 거쳐 서울약학전문학교를 졸업하였다. 중앙고보 때, 東武 李濟馬의 제자 崔承達에게 사상한의학을 공부하고 『동의수세보원』을 번역하여 최초로 사상한의학설을 체계화시켰다. 24세에 영광에서 한약국을 운영하면서 「조선일보」와 『동양의학』 논문집에 의학 및 약학에 관한 많은 논문을 발표하고 민족운동에 투신하여 세인의 관심을 끌었다. 27세에 영광체육단 사건으로 체포되어 독립운동을 주동한 혐의로 2년여의 옥고를 치렀다. 옥중에서 다산 정약용의 『여유당전서』를 접하고 한국실학사상을 연구하기 시작하였다. 광복 후, 사재를 들여 영광민립남녀중학교를 설립하고 초대 교장이 되었다. 39세에 광주의과대학 부속병원 약국장에 취임하였다. 49세에 전남대학교 인문대학 철학과 교수로 부임하여 후학을 양성하면서 정약용 연구에 전념하여 다산학을 체계화시켰다. 58세에 서울대학교에서 「다산경학사상연구」로 철학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한국학 연구에 독보적 업적을 남겼다. 정년퇴임 후, 광주박물관장에 취임하고 호남의 유물, 유적을 발굴하여 호남의 사상과 문화를 새롭게 정립하는 한편 다산학연구원을 설립하여 실학정신으로 사회정화운동을 일으켰다. 다산학을 출발점으로 실학정신을 발굴하고 나아가 한국철학을 연구하여 한민족의 고유한 정신과 사상적 독자성을 밝히고 한국 문화의 나아갈 바를 제시하여 현대 한국학의 아버지가 되었다.
저서로는 논문 등 수백 편을 모아서 펴낸 『이을호 전서』 24권 9책이 전한다.

목차

  • 간행사
    일러두기
    다산의 목자상과 현대 공직자상의 모색

    목민심서의 이해
    1. 민(民)의 개념(槪念)
    2. 목민(牧民)의 도(道)
    3. 율기(律己)
    1) 칙궁(飭躬)
    2) 청심(淸心)
    3) 제가(齊家)
    4) 절용(節用)
    5) 낙시(樂施)
    4. 애민지도(愛民之道)
    1) 양로(養老)
    2) 자유(慈幼)
    3) 진궁(振窮)
    4) 관질(寬疾)
    5) 구재(救災)
    5. 위민(爲民)은 구호가 아니라 실천이다

    자서(自序)

    총론(總論)
    1. 목민의 의미
    2. 목민윤리
    3. 목자상
    4. 총평

    1. 부임육조(赴任六條)?목민의 첫걸음
    1. 조심스러운 벼슬길 ― 제배(除拜)
    2. 책을 한 수레 싣고 ― 치장(治裝)
    3. 오가는 인사 ― 사조(辭朝)
    4. 신관 부임의 여정 ― 계행(啓行)
    5. 새로운 임지에서 ― 상관(上官)
    6. 취임 첫날 첫솜씨 ― 이사(?事)

    2. 율기육조(律己六條)?먼저 그 마음의 자세(姿勢)를
    1. 청아(淸雅) 장중(莊重)한 몸가짐 ― 칙궁(飭躬)
    2. 탁류(濁流) 속의 맑은 빛 ― 청심(淸心)
    3. 법도(法度)의 울타리 ― 제가(齊家)
    4. 피할 사람 만날 손님 ― 병객(屛客)
    5. 백성의 그 피와 땀을 ― 절용(節用)
    6. 선심(善心)의 덕(德)과 특혜(特惠) ― 낙시(樂施)

    3. 봉공육조(奉公六條)?일상적(日常的)인 집무(執務)
    1. 상명(上命)과 민의(民意)를 잇는 구름다리 ― 선화(宣化)
    2. 굽히지도 빼앗지도 말라 ― 수법(守法)
    3. 공손하고 깨끗한 대인관계(對人關係) ― 예제(禮際)
    4. 서류작성의 문안(文案)과 격식(格式) ― 문보(文報)
    5. 농간(弄奸) 적폐(積弊)의 일소(一掃) ― 공납(貢納)
    6. 솔선(率先) 헌신(獻身)을 ― 요역(?役)

    4. 애민육조(愛民六條)?사랑의 손길
    1. 순풍(淳風) 미속(美俗)의 지름길 ― 양로(養老)
    2. 어버이처럼 어린이에게 ― 자유(慈幼)
    3. 이 외로운 인생들을 ― 진궁(振窮)
    4. 애달픈 죽음 앞에서 ― 애상(哀喪)
    5. 병마(病魔)로부터의 구호(救護) ― 관질(寬疾)
    6. 병해(災害) 그 선후책(先後策) ― 구재(救災)

    5. 이전육조(吏典六條)?관기(官紀) 숙정(肅正)의 길
    1. 강유(剛柔) 은위(恩威)를 아울러서 ― 속리(束吏)
    2. 준엄(峻嚴)한 채찍과 신의(信義)의 고삐 ― 어중(馭衆)
    3. 적재(適材) 적소(適所)의 묘(妙) ― 용인(用人)
    4. 인재(人材)의 추천(推薦) ― 거현(擧賢)
    5. 암행(暗行) 청보망(淸報網) ― 찰물(察物)
    6. 신상(信賞) 필벌(必罰) ― 고공(考功)

    6. 호전육조(戶田六條)?농촌(農村) 진흥(振興)의 바탕
    1. 기본적(基本的)인 실태(實態) 파악(把握) ― 전정(田政)
    2. 세정(稅政)의 함정(陷穽) ― 세법(稅法)
    3. 탐관(貪官) 오리(汚吏)의 온상(溫床) ― 곡부(穀簿)
    4. 인구(人口)의 유동(流動)과 통제(統制) ― 호적(戶籍)
    5. 시폐(時弊)의 규명(糾明)과 근절(根絶) ― 평부(平賦)
    6. 지원(支援), 활기(活氣)를 ― 권농(勸農)

    7. 예전육조(禮典六條)?교육(敎育)의 진로(進路)
    1. 경건한 자세(姿勢) ― 제사(祭祀)
    2. 향응(饗應)의 예법(禮法) ― 빈객(賓客)
    3. 시정(施政)의 마지막 목표(目標) ― 교민(敎民)
    4. 지덕일치(知德一致)의 지향(志向) ― 흥학(興學)
    5. 조직(組織) 사회(社會) 속의 인간(人間) 관계(關係) ― 변등(辨等)
    6. 영재(英才)의 육성(育成) ― 과예(課藝)

    8. 병전육조(兵典六條)?지역(地域) 방위(防衛) 체제(體制)의 강화(强化)
    1. 양병(養兵)의 암(癌) ― 첨정(簽丁)
    2. 상시(常時) 임전(臨戰) 태세(態勢)를 ― 연졸(練卒)
    3. 군(軍)의 생명 ― 수병(修兵)
    4. 시급(時急)한 국민(國民) 총무장(總武裝) ― 근무(勤武)
    5. 비상(非常) 사태(事態)의 조용한 수습(收拾) ― 응변(應變)
    6. 외침(外侵) 그 허실(虛實)의 전략(戰略) ― 어구(禦寇)

    9. 형전육조(刑典六條)?법제(法制)와 사회(社會) 정의(正義) 구현(具現)
    1. 정상(情狀)의 추궁(追窮) ― 청송(聽訟)
    2. 하늘을 우러러 부끄럼 없이 ― 단옥(斷獄)
    3. 형벌(刑罰), 그 경중(輕重)과 정상(情狀) ― 신형(愼刑)
    4. 온정(溫情)의 형정(刑政) ― 휼수(恤囚)
    5. 난무(亂舞)하는 폭력(暴力) ― 금포(禁暴)
    6. 사회(社會) 정화(淨化)의 강행군(强行軍) ― 제해(除害)

    10. 공전육조(工典六條)?국부(國富) 민리(民利)의 이정표(里程標)
    1. 푸른 꿈의 자원(資源) ― 산림(山林)
    2. 흐르는 물의 경제(經濟) ― 천택(川澤)
    3. 보수와 환경미화 ― 선해(繕?)
    4. 유사시(有事時)의 안보(安保) 대책(對策) ― 수성(修城)
    5. 선치(善治)의 척도(尺度) ― 도로(道路)
    6. 개발(開發)과 이용후생(利用厚生) ― 장작(匠作)

    11. 진황육조(賑荒六條)?구호(救護) 정책(政策)의 수립(樹立)
    1. 흉년(凶年) 대책(對策) ― 비자(備資)
    2. 재해(災害) 의연(義捐)의 장려(?勵) ― 권분(勸分)
    3. 응급(應急) 조처(措處) 및 난민(難民) 구제책(救濟策) ― 규모(規模)
    4. 구호(救護) 기관(機關)의 운영(運營) ― 설시(設施)
    5. 재화(災禍)의 고비를 넘기며 ― 보력(補力)
    6. 결산(決算), 유종(有終)의 미(美)를 ― 준사(竣事)

    12. 해관육조(解官六條)?목민(牧民), 그 영광(榮光)의 결실(結實)
    1. 부운(浮雲) 같은 벼슬길 ― 체대(遞代)
    2. 청풍(淸風)을 한 수레 싣고 ― 귀장(歸裝)
    3. 귀로(歸路)를 막는 추모(追慕)의 정(情) ― 원류(願留)
    4. 구명(救命)을 호소(呼訴)하는 민심(民心) ― 걸유(乞宥)
    5. 벼슬길에서의 선종(善終) ― 은졸(隱卒)
    6. 송덕(頌德)의 선정비(善政碑) ― 유애(遺愛)

    13. 총결
    천명(天命)을 지각하는 목민관

    부록 ― 다산 정약용 연보
    발문
    편집 후기
    『현암 이을호 전서』27책 개요

출판사 서평

다산학(茶山學)의 개척자인 현암 이을호 선생의 전언을 통해
독자적인 한국학의 방향을 제시한다


『현암 이을호 전서(전27권)』는 다산 정약용(1762∼1836) 연구의 권위자인 현암 이을호 선생(1910∼1998)이 일생 동안 연구한 한국의 사상과 문화에 대한 모든 업적을 망라한 것이다. 현암 이을호 선생은 일제와 광복의 시대를 거치는 동안 한국의 문화와 사상이 단절되었던 시대에서, 민족 자강의 의지로서 우리들이 걸어갈 새로운 미래 문화의 정신적 방향을 제시하는데 일생을 바친 선각자였다. 민족 자강 운동을 펴다가 체포당한 이을호 선생은 옥중에서 1938년에 처음 간행된 다산의『여유당전서』를 연구한 것을 시작으로 다산의 학문에 심취하였다. 오로지 다산의 사상을 기초로 하여 실학사상을 밝히고, 우리 민족의 지혜와 그 혼을 발굴하여 우리의 고유한 ‘한’ 사상으로부터 근대 민족종교의 가르침에 이르기까지의 일관된 정신에 나타난 한국의 철학과 사상을 새롭게 정립하였다.

이 책은 본래 2000년에 9책으로 간행되었던 『이을호 전서』의 큰 틀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각 책을 독립시켜 각 권의 특색이 드러나도록 하였다. 특히 원문의 번역과 문장의 교열을 통해 그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고 서세(逝世) 후에 발견된 여러 글들을 보완하고 추모의 글도 함께 실어서 그 학문세계뿐 아니라 선생에 대한 이해의 폭을 더욱 넓히는 데 참고가 되도록 하였다.

『현암 이을호 전서(전27권)』는 다산학의 시작과 완결이며, 동시에 한국철학을 재구성함으로써 우리의 주체적 사관으로 중국의 사상을 이해하는, 새로운 한국사상 정립의 새로운 지평을 열게 되었다. 이 책을 통해 이을호 선생의 학문이 한국사상 연구의 현대적 기반과 앞으로 새롭게 전개될 한국문화의 미래적 방향을 제시하는 새로운 이정표로서 손색이 없기를 간절히 기대한다.

기본정보

상품정보 테이블로 ISBN, 발행(출시)일자 , 쪽수, 크기, 총권수, 시리즈명을(를) 나타낸 표입니다.
ISBN 9788926868836
발행(출시)일자 2015년 06월 19일
쪽수 396쪽
크기
152 * 225 * 30 mm
총권수 1권
시리즈명
현암 이을호 전서

Klover 리뷰 (1)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10점 중 2.5점
목민심서 원문과 번역문이 실려 있는 책으로 생각하고 주문했는데, 저자의 목민심서에 대한 현대적 실용적 해석이 주로 된 책입니다. 학술용으로 목민심서를 찾으시는 분은 절대 구입하지 마십시오.

문장수집 (0)

문장수집 안내
문장수집은 고객님들이 직접 선정한 책의 좋은 문장을 보여주는 교보문고의 새로운 서비스입니다. 마음을 두드린 문장들을 기록하고 좋은 글귀들은 "좋아요“ 하여 모아보세요. 도서 문장과 무관한 내용 등록 시 별도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리워드 안내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드립니다.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판매가 5,000원 미만 상품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이 책의 첫 기록을 남겨주세요.

교환/반품/품절 안내

  • 반품/교환방법

    마이룸 > 주문관리 > 주문/배송내역 > 주문조회 > 반품/교환 신청, [1:1 상담 > 반품/교환/환불] 또는 고객센터 (1544-1900)
    * 오픈마켓, 해외배송 주문, 기프트 주문시 [1:1 상담>반품/교환/환불] 또는 고객센터 (1544-1900)
  • 반품/교환가능 기간

    변심반품의 경우 수령 후 7일 이내,
    상품의 결함 및 계약내용과 다를 경우 문제점 발견 후 30일 이내
  • 반품/교환비용

    변심 혹은 구매착오로 인한 반품/교환은 반송료 고객 부담
  • 반품/교환 불가 사유

    1) 소비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상품 등이 손실 또는 훼손된 경우
    (단지 확인을 위한 포장 훼손은 제외)
    2)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악세서리 포함) 등
    3)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예) 음반/DVD/비디오,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4)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1)해외주문도서)
    5) 디지털 컨텐츠인 ebook, 오디오북 등을 1회이상 ‘다운로드’를 받았거나 '바로보기'로 열람한 경우
    6)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7)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8) 세트상품 일부만 반품 불가 (필요시 세트상품 반품 후 낱권 재구매)
    9) 기타 반품 불가 품목 - 잡지, 테이프, 대학입시자료, 사진집, 방통대 교재, 교과서, 만화, 미디어전품목, 악보집, 정부간행물, 지도, 각종 수험서, 적성검사자료, 성경, 사전, 법령집, 지류, 필기구류, 시즌상품, 개봉한 상품 등
  • 상품 품절

    공급사(출판사) 재고 사정에 의해 품절/지연될 수 있으며, 품절 시 관련 사항에 대해서는 이메일과 문자로 안내드리겠습니다.
  • 소비자 피해보상 환불 지연에 따른 배상

    1) 상품의 불량에 의한 교환, A/S, 환불, 품질보증 및 피해보상 등에 관한 사항은 소비자분쟁 해결 기준 (공정거래위원회 고시)에 준하여 처리됨
    2) 대금 환불 및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함

상품 설명에 반품/교환 관련한 안내가 있는 경우 그 내용을 우선으로 합니다. (업체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기분 좋은 발견

이 분야의 베스트

이 분야의 신간

드라이브
이벤트
  • [sam] 교보문고 북앤플러스알파 요금제
  • [sam] 12주년 이벤트
01 / 02
TOP